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목회자의 우울과 고독감, 그리고 대처자원 실태를 파악하며, 은퇴목회자가 보유한 대처자원이 고독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79347
손의성 (배재대학교)
2013
-
은퇴목회자 ; 우울 ; 고독감 ; 대처자원 ; Retired Pastors ; Depression ; Loneliness ; Coping Resource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42(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목회자의 우울과 고독감, 그리고 대처자원 실태를 파악하며, 은퇴목회자가 보유한 대처자원이 고독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목회자의 우울과 고독감, 그리고 대처자원 실태를 파악하며, 은퇴목회자가 보유한 대처자원이 고독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65세 이상 은퇴목회자 140명이 최종분석대상으로 표집되었으며,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은퇴목회자의 대처자원 중 경제자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목회자의 고독감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자원 중 사회자원은 고독감을 완전매개로 하여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화 시대에 노후준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은퇴목회자의 대처자원과 정신건강을 위한 교단 및 교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과,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표준화 연구" 1 (1): 61-72, 1997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 종교현황" 2008
4 朴仁玉, "한국노인의 우울요인"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5 김동배,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25 (25): 167-187, 2005
6 서국희, "한국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위험인자" 2 (2): 49-60, 1998
7 서정창, "침례교목회자의 노후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8 이재모, "중년과 노인들의 관광유형에 의한 관광만족과 우울, 고독감 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209-226, 2007
9 이승원, "중ㆍ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07-125, 2008
10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제62회 총회보고서" 2012
1 정인과,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표준화 연구" 1 (1): 61-72, 1997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 종교현황" 2008
4 朴仁玉, "한국노인의 우울요인"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5 김동배,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25 (25): 167-187, 2005
6 서국희, "한국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위험인자" 2 (2): 49-60, 1998
7 서정창, "침례교목회자의 노후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8 이재모, "중년과 노인들의 관광유형에 의한 관광만족과 우울, 고독감 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209-226, 2007
9 이승원, "중ㆍ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07-125, 2008
10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제62회 총회보고서" 2012
11 成耆月, "정서적 지지간호를 병행한 집단 등공예작업이 시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3
12 김남초, "일부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건강 상태와 우울" 31 (31): 1012-1020, 2001
13 朴鍾一, "은퇴목회자의 생활실태와 복지연구에 관한 조사연구 : 예장통합 충청, 충북노인 은퇴목회자 및 공주원로원을 중심으로" 平澤大學校 社會開發大學院 1998
14 변은미, "은퇴목회자 노후생활에 관한 연구 : 신앙, 여가, 경제, 주거 생활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15 진삼식, "은퇴 교역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한국 감리교 교역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16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17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 "연금미가입 은퇴목회자 생활실태조사 연구" 2008
18 전겸구, "생활스트레스-우울증과 관련된 개인적 그리고 대리적 대처자원의 속성" 8 (8): 77-96, 1989
19 손의성, "배우자 사별 노인의 대처자원, 배우자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선택, 최적화, 보상(SOC)의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65-86, 2007
20 김홍근, "목회자의 정신건강, 그 진단과 증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0
21 강명환, "목회자의 은급제도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측)목회자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1
22 송창국, "목회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 결정요인 연구 : 교단 은급제도·국민연금과 사적 준비를 중심으로" 평택대학교 대학원 2009
23 이수애,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6, 2002
24 조유향, "농촌노인의 고독감, 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27 (27): 87-98, 2002
25 김태현, "노인이 지각한 세대적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16 (16): 110-129, 1996
26 김도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13 : 113-144, 2001
27 고승덕,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6 (6): 3-15, 2001
28 주병애, "노인의 의존성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29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3 : 7-35, 2002
30 박장근,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고독감 및 우울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6 (46): 577-588, 2007
31 김도훈, "노인의 여가기능이 우울척도에 미치는 영향" 1 (1): 73-80, 1997
32 김미옥, "노인의 소외감과 신체적 노화에 관한 연구" 17 (17): 64-78, 1986
33 안계일,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여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34 이성철,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5 이혜경,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315-336, 2009
36 김인혜, "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34 (34): 60-62, 1995
37 신미화,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 5 (5): 78-87, 1996
38 D. B. Bromley, "노인심리학" 도서출판 성원사 1990
39 이영자, "노인부양자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인자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할머니와 며느리의 비교 연구" 12 (12): 1-18, 1992
40 최성재, "노인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41 김재필, "노인 스포츠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우울간의 인과분석" 9 (9): 261-274, 2000
42 이인수, "노년기 생활과학" 양서원 2001
43 김효정,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3-89, 2008
44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5 통계청, "고령자통계"
46 송지은, "결혼 및 은퇴 상태가 노년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30 (30): 25-47, 2007
47 Blazer, D., "“Epidemiology of Dysphoria and Depression in an Elderly Population" 137 : 439-444, 1980
48 Russell, D., "ULCA Loneliness Scale(version 3) :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66 (66): 20-40, 1996
49 Slivinske, L., "The Wellness Index : Developing an Instrument to Assess Elders' Well-being" 25 : 185-204, 1996
50 Russell, D.,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39 : 427-480, 1980
51 Hobfoll, S. E., "The Influence of Culture, Community, and the Nested Self in the Stress Process: Advanc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50 : 337-370, 2001
52 Anderson, K., "The Eexperience of Bereavement in Older Adults" 22 : 308-315, 1995
54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 636-654, 2003
55 Wheaton, B., "Stress,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Psychiatric-Symptoms : An Investigation of Interactive Models" 24 : 208-229, 1983
56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the Coping Process" Springer 1984
57 Moberg, D. O., "Social Indicators of Spiritual Well-Being”. pp. 20-37. in Spiritual Well-Being of the Elderly" Charles, C. Thomas 1980
58 Mullins, L. C., "Social Determinants of Loneliness among Older Americans. Genetic" 122 (122): 453-473, 1996
59 Wethington, E., "Situations and Processes of Coping, In The Social Context of Coping" Plenum Press 1991
60 West, G. E., "Sex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Resources, and Illness among the Elderly" 5 (5): 208-229, 1983
61 Butterworth, P., "Retirement and Mental Health: Analysis of the Australian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62 (62): 1179-1191, 2006
62 Arling, G., "Resistance to Isolation among Elderly Widows" 7 (7): 67-86, 1976
63 Rutter, M.,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147 : 598-611, 1985
64 Flett, R., "Psychosocial Aspects of Chronic Lower Leg Ulceration in the Elderly" 16 (16): 183-192, 1994
65 Martikainen, P., "Mortality after the Death of a Spouse: rates and Causes of Death in a Large Finnish Cohort" 86 (86): 1087-1093, 1996
66 Kessler, R. C., "Marital Status and Depression : The Importance of Coping Resources" 61 (61): 484-507, 1982
67 Hammer, A. L., "Manual for the Coping Resources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8
68 McWhirter, B., "Loneliness: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and Research" 68 (68): 417-422, 1990
69 Alpass, F. M., "Loneliness, Health and Depression in Older Males" 7 (7): 212-216, 2003
70 Hojat, M., "Loneliness as a Function of Selected Personality Variables" 38 : 137-141, 1982
71 Akerlind, I., "Loneliness and Alcohol Abuse: A Review of Evidence of an Interplay" 34 (34): 405-414, 1992
72 Creecy, R. F., "Loneliness among the Elderly : a Causal Approach" 40 : 487-493, 1985
73 Peplau L. A., "Loneliness :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Wiley Interscience 1982
74 Copel, L. C., "Loneliness" 26 (26): 14-19, 1988
75 Higginbottom, S. F., "Linking Retirement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tion : A Mediational Model" 8 (8): 508-516, 1993
76 Weiss, R., "Issues in the study of loneliness, In Loneliness :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John Wiley and Sons 71-80, 1982
77 Rathbone-McCuan, E., "Isolated Elders" Aspen Publishers 1982
78 Antonovsky, A., "Health, Stress, and Coping" Jossey-Bass Publishers 1979
79 Lewis, K., "Grief in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49 (49): 8-11, 1983
80 Antonucci, Toni C.,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ocial Relations, Resource Deficit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During Late Life in Four Nations" 58 (58): 767-783, 2002
81 De Jong-Gierveld, J.,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Loneliness" 53 : 119-128, 1987
82 Fry, P. S., "Death, Grief, and Social Recuperation" 1 : 23-28, 1986
83 Grenier, A. M., "Creating and Sustaining Disadvantage : the Relevance of a Social Exclusion Framework" 17 (17): 116-124, 2009
84 Hobfoll, S. E.,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44 : 513-524, 1989
85 Pearlin, L. I.,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 An Overview of Concrpts and Their Measure" 30 : 583-594, 1990
86 Peters, A., "Beyond Maritalstatus : Partner History and Well-being in Old Age" 59 (59): 687-699, 1997
87 Stroebe, W., "Bereavement and Health :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sequences of Partner Lo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88 Antonucci, T., "An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Menand Women" 17 : 737-749, 1987
89 Brent, D. A., "Alcohol, Firearms, and Suicide among Youth" 257 : 3369-3372, 1987
90 Butler, R., "Aging and Mental Health : Positive Psychosocial and Biomedical Approaches" Macmillan 1991
91 Lawton, M. P., "A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46 (46): 181-189, 1991
92 Allen, S. E., "A Model for Predicting Bereavement Outcome in Widowhood" University North Texas 199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성적 탄력성의 조절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