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영향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56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s and Purpose:
      Today's nursing is to provide nursing care, covering aspects of both a holistic approach corresponds to the physical, physiological, mental, psychological, spiritual and social needs of the person and an individual tailored approach to perceiving patients as individuals with various needs. The Sasang Constitution theory, which comprehends innate emotions, physical symptoms, and responding methods for each constitu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nursing science that aims toward both holistic and individual care. Therefore, applying Sasang Constitution theory in nursing care for cancer survivors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both nursing quality and in pati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Sasang Constitution(Soyangin, Taeumin, and Soeumin) to prepare fundament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therefore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survivors under each Sasang Constitution.
      .
      Method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each Sasang Constitution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Wilson and Cleary(1995). The data were collected in the mode of self-report surveys from February 15 till March 31, 2016, from 254 outpatients randomly selected in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epartments of surgery, radiology, thoracic surgery,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scales used for the study is included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est(QSCCⅡ+),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perceived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0.0, as well as real numbers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mean age of the total 254 subjects was 59.29±10.87, distributed in the following ratios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43.3%(110), Taeumin 42.5%(108), and Soeumin 14.2%(36). Female 70.1%(178) and male 9.9%(76) were distributed.
      2) Th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he following types of cancer: breast cancer 45.7%(116), colon cancer/rectal cancer 28%(71), stomach cancer 15.7% (40), and other cancer types 10.6%(27)
      3) Regarding breast cancer within constitution types,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39.1%(43), Taeumin 50.9%(55), and Soeumin 50.0%(18). Regarding colon/rectal cancer,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30%(33), Taeumin 29.6%(32), and Soeumin 16.7%(6). Regarding stomach cancer,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15.5%(17), Taeumin 13%(14), and Soeumin 25%(9). Regarding other cancer types,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17.5(17), Taeumin 6.5%(7), and Soeumin 25%(3).
      4) A mean of quality of life in total cancer survivors scored 75.55±11.25 and the following scores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76.13±10.84, Taeumin 75.13±10.67, and Soeumin 75.03±14.11.
      5)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in total cancer survivors, depression (β=-0.494, p<.0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β=0.337, p<.0001)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lower depression and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59.5%.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female’ (B=-3.281, p=0.014) than in ‘male’, and quality of life was higher as ‘age increased’(B=0.116, p=0.013). Regarding diagnostic stages,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stage 2’ (B=-3.289, p=0.005) and ‘stage 3’ (B=-3.214, p=0.025) than in ‘stage 1’.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other types of cancer’ (B=4.371, p=0.018)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Regarding the treatment methods,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patients having ‘three or more types of treatment’ (B=3.547, p=0.055) than those having ‘one type of treatment’.
      6)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Soyangin, perceived health s tatus (β=0.417, p<.0001), depression (β=-0.339, p<.0001) and self efficacy(β =0.193, p=0.015)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lower depression and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56.4%.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stomach cancer’(B=6.162, p=0.053) and ‘colon/rectal cancer’(B=6.117, p=0.025)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As for treatment methods,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three or more types of treatment’(B=8.541, p=0.008) than those with ‘one type of treatment’, and with shorter ‘treatment periods’(B=-0.367, p=0.037).
      7)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aeumin, depression (β=-0.600, p<.0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β=0.345, p<.0001)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lower depression,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64.8%. Also, quality of life was higher as ‘age’ increased(B=0.218, p=0.001). Regarding diagnostic stages,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individuals in ‘stage 2’(B=-3.204, p=0.053) than those in ‘stage 1’.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other types’(B=6.415, p=0.026)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8)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Soeumin, depression (β=-0.705, p=0.002)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lower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47.4%.

      Conclusion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Taeumin, and Soeumin).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all constitu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to quality of life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in cancer survivors in the future.
      번역하기

      Backgrounds and Purpose: Today's nursing is to provide nursing care, covering aspects of both a holistic approach corresponds to the physical, physiological, mental, psychological, spiritual and social needs of the person and an indivi...


      Backgrounds and Purpose:
      Today's nursing is to provide nursing care, covering aspects of both a holistic approach corresponds to the physical, physiological, mental, psychological, spiritual and social needs of the person and an individual tailored approach to perceiving patients as individuals with various needs. The Sasang Constitution theory, which comprehends innate emotions, physical symptoms, and responding methods for each constitu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nursing science that aims toward both holistic and individual care. Therefore, applying Sasang Constitution theory in nursing care for cancer survivors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both nursing quality and in pati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Sasang Constitution(Soyangin, Taeumin, and Soeumin) to prepare fundament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therefore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survivors under each Sasang Constitution.
      .
      Method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each Sasang Constitution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Wilson and Cleary(1995). The data were collected in the mode of self-report surveys from February 15 till March 31, 2016, from 254 outpatients randomly selected in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epartments of surgery, radiology, thoracic surgery,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scales used for the study is included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est(QSCCⅡ+),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perceived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0.0, as well as real numbers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mean age of the total 254 subjects was 59.29±10.87, distributed in the following ratios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43.3%(110), Taeumin 42.5%(108), and Soeumin 14.2%(36). Female 70.1%(178) and male 9.9%(76) were distributed.
      2) Th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he following types of cancer: breast cancer 45.7%(116), colon cancer/rectal cancer 28%(71), stomach cancer 15.7% (40), and other cancer types 10.6%(27)
      3) Regarding breast cancer within constitution types,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39.1%(43), Taeumin 50.9%(55), and Soeumin 50.0%(18). Regarding colon/rectal cancer,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30%(33), Taeumin 29.6%(32), and Soeumin 16.7%(6). Regarding stomach cancer,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15.5%(17), Taeumin 13%(14), and Soeumin 25%(9). Regarding other cancer types, patients were distributed Soyangin 17.5(17), Taeumin 6.5%(7), and Soeumin 25%(3).
      4) A mean of quality of life in total cancer survivors scored 75.55±11.25 and the following scores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76.13±10.84, Taeumin 75.13±10.67, and Soeumin 75.03±14.11.
      5)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in total cancer survivors, depression (β=-0.494, p<.0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β=0.337, p<.0001)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lower depression and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59.5%.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female’ (B=-3.281, p=0.014) than in ‘male’, and quality of life was higher as ‘age increased’(B=0.116, p=0.013). Regarding diagnostic stages,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stage 2’ (B=-3.289, p=0.005) and ‘stage 3’ (B=-3.214, p=0.025) than in ‘stage 1’.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other types of cancer’ (B=4.371, p=0.018)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Regarding the treatment methods,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patients having ‘three or more types of treatment’ (B=3.547, p=0.055) than those having ‘one type of treatment’.
      6)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Soyangin, perceived health s tatus (β=0.417, p<.0001), depression (β=-0.339, p<.0001) and self efficacy(β =0.193, p=0.015)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lower depression and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56.4%.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stomach cancer’(B=6.162, p=0.053) and ‘colon/rectal cancer’(B=6.117, p=0.025)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As for treatment methods,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three or more types of treatment’(B=8.541, p=0.008) than those with ‘one type of treatment’, and with shorter ‘treatment periods’(B=-0.367, p=0.037).
      7)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aeumin, depression (β=-0.600, p<.0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β=0.345, p<.0001)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quality of life with lower depression, with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ir explanation power was 64.8%. Also, quality of life was higher as ‘age’ increased(B=0.218, p=0.001). Regarding diagnostic stages,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individuals in ‘stage 2’(B=-3.204, p=0.053) than those in ‘stage 1’. By the types of canc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other types’(B=6.415, p=0.026) than in those with ‘breast cancer’.
      8)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Soeumin, depression (β=-0.705, p=0.002)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lower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47.4%.

      Conclusion
      Regardi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based on each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Taeumin, and Soeumin).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all constitu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to quality of life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in cancer survivor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간호는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요구까지 파악하여 대응하는 전인적 간호측면과 대상자를 다양한 요구를 가진 개개인으로 인식하는 개인별 맞춤식 간호측면을 지향하고 있다. 체질에 따라 선천적으로 타고난 감정, 신체적 증상, 대처방법 등을 이해하는 사상체질이론은 전인적이고 개별적인 간호를 지향하는 간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암 생존자에게 사상체질이론에 근거한 간호를 적용한다면 간호의 질 향상과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리라 사료되며 그 필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사상체질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Wilson과 Cleary(1995)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토대로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S특별 시에 위치하고 있는 일개 K 대학병원 외과, 방사선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외래를 통원하고 있는 환자 254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 보고식 설 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사상체질분류검사(QSCCⅡ+),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우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20.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 254명에서 전체 연령 평균은 59.29±10.87점이며 체질별로 소 양인은 43.3%(110명), 태음인 42.5%(108명), 소음인 14.2%(36명)으로 분포하며 성별에서 여성 70.1%(178명)이 남성 9.9%(76명)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
      2) 전체 대상자의 암 진단명은 유방암 45.7%(116명), 대장암/직장암 28%(71명), 위암 15.7%(40명), 기타암 10.6%(27명) 순이며 유방암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3) 체질별로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순으로 살펴보면 유방암은 39.1%(43명), 50.9%(55명), 50.0%(18명)으로, 대장/직장암은 30%(33명), 29.6%(32명), 16.7%(6명)으로 분포하고 있다. 위암은 15.5%(17명), 13%(14명), 25%(9명)로, 기타암은 17.5%(17명), 6.5%(7명), 8.3%(3명)로 분포하고 있다.
      4)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은 75.55±11.25점이며 체질별로 소양인 76.13±10.84 점, 태음인 75.13±10.67점, 소음인 75.03±14.11점 순으로 나타났다
      5)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우울(B=-5.595, p<.0001)이 낮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B=1.751,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우울(β =-0.494), 지각된 건강상태(β=0.337)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9.5%이었다. ‘남성’에 비해 ‘여성’(B=-3.281, p=0.014)이 삶의 질이 낮았고, ‘연령’(B=0.116, p=0.013)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 며, 진단병기에서 ‘1기’에 비해 ‘2기’(B=-3.289, p=0.005), ‘3기 이상’(B=-3.214, p=0.025)이 삶의 질이 낮았다. 암 진단명은 ‘유방암’에 비해 ‘기타암’(B=4.371, p=0.018)이 삶의 질이 높았고, 치료방법은 ‘1가지 치료’에 비해 ‘3가지 이상 치료’(B=3.547.p=0.055)가 삶의 질이 높았다.
      6) 소양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자기효능감(B=3.267, p=0.015)이 높을수록, 우울(B=-0.425, p<.0001)이 낮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B=2.131,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지각된 건강상태(β=0.417), 우울(β =-0.339), 자 기효능감(β=0.193)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6.4%이었다. 암 진단명에 ‘유방암’에 비해 ‘위암’(B=6.162, p=0.053), ‘대장암/ 직장암’(B=6.117, p=0.025)이 삶의 질이 높았고 치료방법에서 ‘1가지 치료’에 비해 ‘3가지 이상 치료’(B=8.541, p=0.008)가 삶의 질이 높았으며 ‘치료기 간’(B=-0.367, p=0.037)이 짧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7) 태음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우울(B=-0.703, p<.0001)이 낮을수록, 지각 된 건강상태(B=1.624,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우울(β=-0.600), 지각된 건강상태(β=0.345)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 명력은 64.8%이었다. 또한 ‘연령’(B=0.218, p=0.001)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고, 진단병기에서 ‘1기’에 비해 ‘2기’(B=-3.204, p=0.053)가 삶의 질이 낮았 다. 암 진단명에서는 ‘유방암’에 비해 ‘기타암’(B=6.415, p=0.026)이 삶의 질이 높았다.
      8) 소음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으로 우울(B=-0.838, p=0.002)이 우울이 높을수 록 삶의 질이 낮았다. 우울(β=-0.705)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고 설명력은 47.4%이었다.

      결론적으로 전체 암 생존자는 우울(β=-0.494), 지각된 건강상태(β=0.337) 순으 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소양인은 지각된 건강상태(β=0.417), 우울(β =-0.339), 자기효능감(β=0.193)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소음인은 우울 (β=-0.705)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삶의 질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 다. 따라서 향후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관련된 간호중재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오늘날의 간호는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요구까지 파악하여 대응하는 전인적 간호측면과 대상자를 다양한 요구를 가진 개개인으로 인식하...

      오늘날의 간호는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요구까지 파악하여 대응하는 전인적 간호측면과 대상자를 다양한 요구를 가진 개개인으로 인식하는 개인별 맞춤식 간호측면을 지향하고 있다. 체질에 따라 선천적으로 타고난 감정, 신체적 증상, 대처방법 등을 이해하는 사상체질이론은 전인적이고 개별적인 간호를 지향하는 간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암 생존자에게 사상체질이론에 근거한 간호를 적용한다면 간호의 질 향상과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리라 사료되며 그 필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사상체질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Wilson과 Cleary(1995)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토대로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S특별 시에 위치하고 있는 일개 K 대학병원 외과, 방사선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외래를 통원하고 있는 환자 254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 보고식 설 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사상체질분류검사(QSCCⅡ+),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우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20.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 254명에서 전체 연령 평균은 59.29±10.87점이며 체질별로 소 양인은 43.3%(110명), 태음인 42.5%(108명), 소음인 14.2%(36명)으로 분포하며 성별에서 여성 70.1%(178명)이 남성 9.9%(76명)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
      2) 전체 대상자의 암 진단명은 유방암 45.7%(116명), 대장암/직장암 28%(71명), 위암 15.7%(40명), 기타암 10.6%(27명) 순이며 유방암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3) 체질별로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순으로 살펴보면 유방암은 39.1%(43명), 50.9%(55명), 50.0%(18명)으로, 대장/직장암은 30%(33명), 29.6%(32명), 16.7%(6명)으로 분포하고 있다. 위암은 15.5%(17명), 13%(14명), 25%(9명)로, 기타암은 17.5%(17명), 6.5%(7명), 8.3%(3명)로 분포하고 있다.
      4)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은 75.55±11.25점이며 체질별로 소양인 76.13±10.84 점, 태음인 75.13±10.67점, 소음인 75.03±14.11점 순으로 나타났다
      5)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우울(B=-5.595, p<.0001)이 낮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B=1.751,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우울(β =-0.494), 지각된 건강상태(β=0.337)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9.5%이었다. ‘남성’에 비해 ‘여성’(B=-3.281, p=0.014)이 삶의 질이 낮았고, ‘연령’(B=0.116, p=0.013)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 며, 진단병기에서 ‘1기’에 비해 ‘2기’(B=-3.289, p=0.005), ‘3기 이상’(B=-3.214, p=0.025)이 삶의 질이 낮았다. 암 진단명은 ‘유방암’에 비해 ‘기타암’(B=4.371, p=0.018)이 삶의 질이 높았고, 치료방법은 ‘1가지 치료’에 비해 ‘3가지 이상 치료’(B=3.547.p=0.055)가 삶의 질이 높았다.
      6) 소양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자기효능감(B=3.267, p=0.015)이 높을수록, 우울(B=-0.425, p<.0001)이 낮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B=2.131,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지각된 건강상태(β=0.417), 우울(β =-0.339), 자 기효능감(β=0.193)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6.4%이었다. 암 진단명에 ‘유방암’에 비해 ‘위암’(B=6.162, p=0.053), ‘대장암/ 직장암’(B=6.117, p=0.025)이 삶의 질이 높았고 치료방법에서 ‘1가지 치료’에 비해 ‘3가지 이상 치료’(B=8.541, p=0.008)가 삶의 질이 높았으며 ‘치료기 간’(B=-0.367, p=0.037)이 짧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7) 태음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우울(B=-0.703, p<.0001)이 낮을수록, 지각 된 건강상태(B=1.624, p<.0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우울(β=-0.600), 지각된 건강상태(β=0.345)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 명력은 64.8%이었다. 또한 ‘연령’(B=0.218, p=0.001)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고, 진단병기에서 ‘1기’에 비해 ‘2기’(B=-3.204, p=0.053)가 삶의 질이 낮았 다. 암 진단명에서는 ‘유방암’에 비해 ‘기타암’(B=6.415, p=0.026)이 삶의 질이 높았다.
      8) 소음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으로 우울(B=-0.838, p=0.002)이 우울이 높을수 록 삶의 질이 낮았다. 우울(β=-0.705)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고 설명력은 47.4%이었다.

      결론적으로 전체 암 생존자는 우울(β=-0.494), 지각된 건강상태(β=0.337) 순으 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소양인은 지각된 건강상태(β=0.417), 우울(β =-0.339), 자기효능감(β=0.193)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소음인은 우울 (β=-0.705)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삶의 질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 다. 따라서 향후 암 생존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관련된 간호중재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10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10
      • 1. 사상체질 10
      • 2. 암 생존자의 삶의 질 15
      • 3. 암 생존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변인 21
      • 1) 자기효능감 21
      • 2) 사회적지지 24
      • 3) 우울 27
      • 4)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30
      • 5) 지각된 건강상태 34
      •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37
      • Ⅳ.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42
      • 1. 연구설계 42
      • 2. 연구대상 42
      • 3. 연구도구 44
      • 4.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 47
      • 5.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48
      • 6. 자료분석 48
      • 7. 연구의 윤리성 48
      • V. 연구결과 50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적 특성 50
      • 1)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50
      • 2)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질병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53
      • 2.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과 관련 요인들 정도 55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56
      • 1)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56
      • 2) 사상체질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58
      • 4. 질병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60
      • 1) 전체 대상자의 질병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60
      • 2) 사상체질별 질병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61
      • 5 삶의 질 관련 요인간의 상관관계 62
      • 6.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3
      • 1) 전체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63
      • 2) 소양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66
      • 3) 태음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69
      • 4) 소음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72
      • Ⅵ. 논의 74
      • 1. 사상체질별 진단명 분포 및 특성 74
      • 2 전체 대상자와 사상체질별 삶의 질 정도 77
      • 3. 대 상 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79
      • 1)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영향요인: 질병 특성 79
      • 2)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영향요인: 우울 83
      • 3) 전체 대상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영향요인: 지각된 건강상태 87
      • 4) 전체 사상자의 사상체질별 삶의 질 영향요인: 자기효능감 90
      • 4. 연구의 의의 94
      • 5. 연구의 제한점 94
      • Ⅶ. 결론 및 제언 96
      • 1. 결론 96
      • 2. 제언 98
      • 참고문헌 99
      • 부록 125
      • 영문초록 149
      • 감사의 글 1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