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역의 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방법인 주차상한제도는 규제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구역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도심지역의 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방법인 주차상한제도는 규제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구역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
도심지역의 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방법인 주차상한제도는 규제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구역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토지이용을 기준으로 한 면적(面的)인 방식은 개별건축물의 주차특성, 위치특성은 물론 교통량, 교통소통 수준 등 동적인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 기준을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차이용 행태적 특성, 대중교통이용 가능성, 토지이용 및 건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개별건물별로 적정한 주차상한대수 추정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사업대상지역에 적용하여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저자의 1차 연구를 보완한 것으로 모형구조를 재설정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재조사를 실시하여 1차 연구와는 달리 기존 도시에 적용이 가능한 보다 단순화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효과 분석방법에서도 시나리오를 보다 현실성있게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일지역에 위치한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주차이용특성은 개별건물의 특성, 구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 주차대수추정은 도시특성, 구역특성, 건물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추정모형을 설정하고, AHP기법을 이용한 추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173개 개별건물의 추정량을 기반으로 사회비용의 절감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95억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개별건물의 주차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주차상한제는 획일적 기준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제도시행의 합리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헌연, "평택시 주차특성 및 효율성 증진방안" (19) : 2000
2 오원만, "주차정책을 통한 교통수요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서울시, "주차장 설치 상한제 시행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4 이재영, "주차이용특성을 고려한 상한기준 설정모형의 정립 및 효과분석" 15 (15): 2008
5 김순관, "주차수요 관리방안 연구; 건축물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재정립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6 조근태,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89-91, 2005
7 이재영,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3, 2004
8 오윤표, "부산 도심지 주차문제 해결방안 연구" 부산경제 연구원 1990
9 황기연, "교통수요관리방안의 단기적 효과 분석모형의 구축" 17 (17): 173-185, 1999
10 Demetsky, M. J., "Role of Parking in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682 : 24-30, 1982
1 임헌연, "평택시 주차특성 및 효율성 증진방안" (19) : 2000
2 오원만, "주차정책을 통한 교통수요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서울시, "주차장 설치 상한제 시행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4 이재영, "주차이용특성을 고려한 상한기준 설정모형의 정립 및 효과분석" 15 (15): 2008
5 김순관, "주차수요 관리방안 연구; 건축물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재정립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6 조근태,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89-91, 2005
7 이재영,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3, 2004
8 오윤표, "부산 도심지 주차문제 해결방안 연구" 부산경제 연구원 1990
9 황기연, "교통수요관리방안의 단기적 효과 분석모형의 구축" 17 (17): 173-185, 1999
10 Demetsky, M. J., "Role of Parking in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682 : 24-30, 1982
11 Saaty, T. L., "Decision Making for Leaders, Ⅱ" RWS Publication 1995
12 Surrey county council, "A parking strategy for surrey-Supplementary planning guidance, Ⅱ, March. p20"
13 한국교통연구원, "2007년 전국 교통혼잡비용 추정과 추이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5 | 0.738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