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왕의 대외정책과 551년 전쟁 배경 = King Seong’s Foreign Policy and the Background of War in 55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0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looked into King Seong’s policy toward Gaya by reviewing a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Silla and Gaya in his reig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war around the Han River in 551 in competition with Silla and Gaya. Looking at King Seong’s foreign policy, you can see that he was the most active in advancing into the Gaya region.
      Unlike King Muryeong, there was no fierce battle the Han River area whereas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continued. As a result, the state of affairs in the reign of King Muryeong was maintained in general and Goguryeo’s attack in 529 resulted in a temporary loss of influence on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The competition in the Gaya region was gradually intensified while maintaining a superficially good military cooperation with Silla. Accordingly, King Seong tried to deter Silla’s advance into Gaya by drawing Japanese force. The entry into Gaya region seems to have been ver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However, King Seong, unlike King Muryeong, pushed ahead territorialization of some parts of Gaya region, and intended to expand his political influence and to block Silla’s advance by deploying military forces in there.
      By the way, Anla put the brakes on Baekje’s advance into Gaya by intriguing with Goguryeo. Thus, King Seong attacked the Han River area occupied by Goguryeo along with Silla in 551. It is understood that the background of carrying out the battle around the Han River was to prevent Anla from communicating secretly with Gogureyo, and to ward Silla off entering into Gaya region by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Han River area and inducing a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He tried to expand his influence on Gaya with a recognition that it defeated Goguryeo, a powerful kingdom.
      The plan of King Seong failed due to a secret agreement between Goguryeo and Silla which brought about the loss of the Han River area to Silla again. However, King Seong attempted to restore the formal relationship with Silla in his daughter’s marriage to Silla and to induce a confronting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illa but it was all in vain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looked into King Seong’s policy toward Gaya by reviewing a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Silla and Gaya in his reig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war around the Han River in 551 in competition with Silla and Gaya. Looking at...

      In this paper, I looked into King Seong’s policy toward Gaya by reviewing a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Silla and Gaya in his reig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war around the Han River in 551 in competition with Silla and Gaya. Looking at King Seong’s foreign policy, you can see that he was the most active in advancing into the Gaya region.
      Unlike King Muryeong, there was no fierce battle the Han River area whereas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continued. As a result, the state of affairs in the reign of King Muryeong was maintained in general and Goguryeo’s attack in 529 resulted in a temporary loss of influence on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The competition in the Gaya region was gradually intensified while maintaining a superficially good military cooperation with Silla. Accordingly, King Seong tried to deter Silla’s advance into Gaya by drawing Japanese force. The entry into Gaya region seems to have been ver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However, King Seong, unlike King Muryeong, pushed ahead territorialization of some parts of Gaya region, and intended to expand his political influence and to block Silla’s advance by deploying military forces in there.
      By the way, Anla put the brakes on Baekje’s advance into Gaya by intriguing with Goguryeo. Thus, King Seong attacked the Han River area occupied by Goguryeo along with Silla in 551. It is understood that the background of carrying out the battle around the Han River was to prevent Anla from communicating secretly with Gogureyo, and to ward Silla off entering into Gaya region by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Han River area and inducing a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He tried to expand his influence on Gaya with a recognition that it defeated Goguryeo, a powerful kingdom.
      The plan of King Seong failed due to a secret agreement between Goguryeo and Silla which brought about the loss of the Han River area to Silla again. However, King Seong attempted to restore the formal relationship with Silla in his daughter’s marriage to Silla and to induce a confronting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illa but it was all in v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구려・신라・가야와의 관계 속에서 성왕의 대가야정책을 살펴보고, 당시 신라와 가야를 둘러싼 경쟁관계 속에서 551년 한강유역 전쟁의 추진 배경을고찰한 것이다.
      성왕의 대외정책을 살펴보면, 가야지역 진출에 가장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알 수 있다. 고구려와는 대립적인 관계가 지속되었지만, 무령왕과는 달리 한강유역을 둘러싼 치열한 전쟁은 없었다. 그로 인해 무령왕대의 상황에서 큰 변화가 없었지만 529년에 고구려의 공략으로 한강 이북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일시적으로 상실했다. 신라와는 표면적으로 우호적인 군사적 협력관계를 유지하였지만 가야지역에서는 경쟁이 점차 심화되었다. 이에 성왕은 왜를 끌어들여 신라의 가야지역 진출을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백제의 가야지역 진출은 무령왕대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있다. 그렇지만 성왕은 무령왕과 달리 가야 일부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추진하고, 가야지역에 군사를 주둔시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신라의 진출을 차단하고자하였다.
      그러나 안라가 고구려와 내통하여 백제의 가야진출을 견제하려고 하였다. 이에 성왕은 551년에 신라를 끌어들여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유역을 공략하였다. 성왕이 한강유역 전쟁을 추진한 배경은 안라가 고구려와 내통하는 것은 막고, 신라의 관심을 한강유역으로 돌려 신라와 고구려의 대립관계를 유도함으로써 가야지역으로의 진출을 막으려는데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가야에는 강국인고구려를 물리쳤다는 인식을 줘서 백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성왕의 계획은 고구려와 신라의 밀약으로 실패하고, 신라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겼다. 그렇지만 성왕은 왕녀를 신라에 출가시켜 표면적으로 신라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대립구도로 전환시키려고 하였으나 의도한 바를이루지 못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고구려・신라・가야와의 관계 속에서 성왕의 대가야정책을 살펴보고, 당시 신라와 가야를 둘러싼 경쟁관계 속에서 551년 한강유역 전쟁의 추진 배경을고찰한 것이다. 성왕의 대외...

      이 논문은 고구려・신라・가야와의 관계 속에서 성왕의 대가야정책을 살펴보고, 당시 신라와 가야를 둘러싼 경쟁관계 속에서 551년 한강유역 전쟁의 추진 배경을고찰한 것이다.
      성왕의 대외정책을 살펴보면, 가야지역 진출에 가장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알 수 있다. 고구려와는 대립적인 관계가 지속되었지만, 무령왕과는 달리 한강유역을 둘러싼 치열한 전쟁은 없었다. 그로 인해 무령왕대의 상황에서 큰 변화가 없었지만 529년에 고구려의 공략으로 한강 이북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일시적으로 상실했다. 신라와는 표면적으로 우호적인 군사적 협력관계를 유지하였지만 가야지역에서는 경쟁이 점차 심화되었다. 이에 성왕은 왜를 끌어들여 신라의 가야지역 진출을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백제의 가야지역 진출은 무령왕대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있다. 그렇지만 성왕은 무령왕과 달리 가야 일부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추진하고, 가야지역에 군사를 주둔시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신라의 진출을 차단하고자하였다.
      그러나 안라가 고구려와 내통하여 백제의 가야진출을 견제하려고 하였다. 이에 성왕은 551년에 신라를 끌어들여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유역을 공략하였다. 성왕이 한강유역 전쟁을 추진한 배경은 안라가 고구려와 내통하는 것은 막고, 신라의 관심을 한강유역으로 돌려 신라와 고구려의 대립관계를 유도함으로써 가야지역으로의 진출을 막으려는데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가야에는 강국인고구려를 물리쳤다는 인식을 줘서 백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성왕의 계획은 고구려와 신라의 밀약으로 실패하고, 신라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겼다. 그렇지만 성왕은 왕녀를 신라에 출가시켜 표면적으로 신라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대립구도로 전환시키려고 하였으나 의도한 바를이루지 못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백, "한국사강좌(고대편)" 일조각 1982

      2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3 양기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4 선석열, "한강유역 쟁탈을 둘러싼 삼국의동맹과 외교" 효원사학회 44 : 81-119, 2013

      5 이근우,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가야(加耶)" 백제문화연구소 (37) : 37-53, 2007

      6 임기환,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 대외관계 기사의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37) : 5-21, 2007

      7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학회 (98) : 97-140, 2020

      8 전영래,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9 이용현, "전남지역 마한 소국과 백제" 학연문화사 2013

      10 이기백,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9 : 1978

      1 이기백, "한국사강좌(고대편)" 일조각 1982

      2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3 양기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4 선석열, "한강유역 쟁탈을 둘러싼 삼국의동맹과 외교" 효원사학회 44 : 81-119, 2013

      5 이근우,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가야(加耶)" 백제문화연구소 (37) : 37-53, 2007

      6 임기환,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 대외관계 기사의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37) : 5-21, 2007

      7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학회 (98) : 97-140, 2020

      8 전영래,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9 이용현, "전남지역 마한 소국과 백제" 학연문화사 2013

      10 이기백,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9 : 1978

      11 백미선, "웅진시대 백제의 郡令" 호서사학회 (87) : 37-76, 2018

      12 김수태, "연구논문 : 백제 성왕대의 군령과 성주" 백제문화연구소 (31) : 137-154, 2002

      1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1권)" 1992

      14 김병남,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한국사상문화학회 (53) : 77-106, 2010

      15 김주성, "사비천도와 지배체제의 재편" 6 : 1995

      16 김태식,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17 김수태, "백제의 전쟁" 주류성 2007

      18 김영관, "백제의 웅진천도 배경과 한성경영" 11・12 : 2000

      19 이영식, "백제의 대외교섭"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20 양기석, "백제의 국제관계" 서경문화사 2013

      21 정재윤, "백제와 섬진강" 2008

      22 이동희,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2008

      23 김수태, "백제와 가야" 2000

      24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백제사자료역주집-한국편Ⅰ-" 2008

      25 김주성, "백제사상의 전쟁" 서경문화사 2000

      26 노중국, "백제 정치사" 일조각 2018

      27 김수태, "백제 성왕대의 변경: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백제연구소 (44) : 125-140, 2006

      28 박민경, "백제 성왕대의 대왜관계 — 임나부흥회의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1-29, 2016

      29 김현숙,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 2003

      30 노중국, "고구려・백제・신라 사이의 역관계변화에 대한 일고찰" 28 : 1981

      31 노태돈, "고구려의 한성 지역 병탄과 그 지배 양태" 66 : 2005

      32 민덕식, "고구려의 도서현성고" 36 : 1983

      33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34 "隋書"

      35 이도학, "百濟 熊津期 漢江流域支配 問題와 그에 대한 認識" 서울역사편찬원 (73) : 51-98, 2009

      36 "梁職貢圖"

      37 "日本書紀"

      38 "新增東國輿地勝覽"

      39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古墳의 構造特徵과 歷史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139-176, 2011

      40 "北史"

      41 "三國遺事"

      42 "三國史記"

      43 박민경, "‘안라국제회의’ 개최와 참가국의 목적검토" 부경역사연구소 (47) : 37-65, 2020

      44 장창은, "6세기 중반 한강 유역 쟁탈전과 管山城 戰鬪" 진단학회 (111) : 1-43, 2011

      45 백승충, "6세기 전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31 : 2000

      46 장미애, "6세기 백제의 가야 진출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97) : 49-86, 2020

      47 김영관,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20) : 93-152, 2010

      48 주보돈, "5~6세기 중엽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관련하여-" 11 : 2006

      49 양기석, "5~6세기 백제의 북계-475~551년 백제의 한강유역 영유문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 : 2005

      50 양기석,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2007

      51 김영심,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2007

      52 백승옥,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2007

      53 노중국,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11 : 2006

      54 김태식, "5~6세기 고구려와 가야의 관계" 11 : 2006

      55 강민식, "552년 백제의 한강유역 포기[棄]와 신라ㆍ고구려의 밀약설(密約說)" 한국고대학회 (40) : 139-163, 2014

      56 위가야, "540년대 ‘사비국제회의’와 한반도 남부 정세" 백산학회 (116) : 157-188, 2020

      57 신가영, "4~6세기 가야 제국의 동향과 국제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