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인성교육에 관한 대학 교·직원, 지역사회 구성원 및 대학생 집단의 인식 비교 = A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University Employees, Community Members & College Students on Character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4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faculty staff and community members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lso analyzed. In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ajor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y programs used for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activities such as 'understanding others,' 'self-understanding,' 'listening and convers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about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listening and convers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eveloping and designing curriculum.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interest in positive self-concept and character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support at school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faculty staff and community members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lso analyzed. In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ajor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y programs used for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activities such as 'understanding others,' 'self-understanding,' 'listening and convers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about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listening and convers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eveloping and designing curriculum.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interest in positive self-concept and character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support at school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성 함양의 중요성과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과 교수⋅직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집단 별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P 지역 일 개 대학의 대학생과 교⋅직원,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의 중요도와 필요성, 주요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세 집단 모두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에서 대학생의 올바른 인성함양을 위하여 주로 활용하고 있는 주요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결과 [타인이해], [자기이해], [경청 및 대화기술] 등의 활동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모델 구축,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경청 및 대화기술 등에 대한 콘텐츠 개발 및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인성교육에 관한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성 함양의 중요성과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성 함양의 중요성과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과 교수⋅직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집단 별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P 지역 일 개 대학의 대학생과 교⋅직원,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의 중요도와 필요성, 주요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세 집단 모두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에서 대학생의 올바른 인성함양을 위하여 주로 활용하고 있는 주요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결과 [타인이해], [자기이해], [경청 및 대화기술] 등의 활동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모델 구축,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경청 및 대화기술 등에 대한 콘텐츠 개발 및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인성교육에 관한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주, "학교인성교육의 의의와 과제"

      2 교육부,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2021~2025)"

      3 조연순,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Ⅱ: 교사와 학부모가 지각하는 인성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교육과학연구소 29 (29): 329-347, 1999

      4 조연순,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1: 철학적 심리학적 접근에 기초한 인성교육의 구성요소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28 (28): 131-152, 1998

      5 박미랑,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77-95, 2019

      6 박미현, "인성교육을 위한 언택트 시대 원격교육 사례 연구 :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연구원 5 (5): 25-42, 2020

      7 김세영, "예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탐구" 한국인격교육학회 14 (14): 5-28, 2020

      8 박숙희, "대학생의 자아실현 함양을 위한 융복합 교육 실천 사례: 성찰저널 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8 (8): 43-58, 2014

      9 김용하,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 모델과 설계" 인성교육연구원 1 (1): 1-24, 2016

      10 이기용, "대학생의 인성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인성교육연구원 1 (1): 1-18, 2016

      1 현주, "학교인성교육의 의의와 과제"

      2 교육부,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2021~2025)"

      3 조연순,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Ⅱ: 교사와 학부모가 지각하는 인성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교육과학연구소 29 (29): 329-347, 1999

      4 조연순,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1: 철학적 심리학적 접근에 기초한 인성교육의 구성요소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28 (28): 131-152, 1998

      5 박미랑,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77-95, 2019

      6 박미현, "인성교육을 위한 언택트 시대 원격교육 사례 연구 :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연구원 5 (5): 25-42, 2020

      7 김세영, "예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탐구" 한국인격교육학회 14 (14): 5-28, 2020

      8 박숙희, "대학생의 자아실현 함양을 위한 융복합 교육 실천 사례: 성찰저널 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8 (8): 43-58, 2014

      9 김용하,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 모델과 설계" 인성교육연구원 1 (1): 1-24, 2016

      10 이기용, "대학생의 인성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인성교육연구원 1 (1): 1-18, 2016

      11 성명희,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과 요구도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38 : 177-202, 2015

      12 김혜숙,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핵심역량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심리학회 55-62, 2020

      13 이청민,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09-121, 2020

      14 최은주,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징과 인성함양교육의 필요성"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269-288, 2019

      15 김대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 활용 방안" 인성교육연구원 5 (5): 1-23, 2020

      16 강선보,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0) : 1-3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