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朝儀(조회의례) 운영과 절차에 관한 세부 조항은 일차적으로 『高麗史』 禮志 嘉禮에 수록되어 있다. 禮主刑補 관계로 미루어 고려 禮의 상당은 『高麗圖經』에서 광화문 남문에 방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朝儀(조회의례) 운영과 절차에 관한 세부 조항은 일차적으로 『高麗史』 禮志 嘉禮에 수록되어 있다. 禮主刑補 관계로 미루어 고려 禮의 상당은 『高麗圖經』에서 광화문 남문에 방시...
고려 朝儀(조회의례) 운영과 절차에 관한 세부 조항은 일차적으로 『高麗史』 禮志 嘉禮에 수록되어 있다. 禮主刑補 관계로 미루어 고려 禮의 상당은 『高麗圖經』에서 광화문 남문에 방시한 儀制令에 편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고려사』 예지에는 송대와 같이 지방관인 상호간의 내부 기강을 단속하는 相見禮 비중이 높다. 한편 고려의제령 단독으로는 당ㆍ송 의제령에 제시한 拜禮의 구체적 동작은 확인되지 않는다. 朔朝때 祥瑞 보고체계도 禮志보다는 천문ㆍ오행지에 산견한다. 朔朝에 마땅히 있어야 할 일식이 없는 경우 관인이 축하 표문을 올리는 의식은, 당ㆍ일본 의제령 규정처럼 조의 거행때의 상서보고절차에 해당한다. 조의 개최 당시의 祥瑞 보고절차는 현종ㆍ정종쯤 마련된 듯하다.
便殿視坐ㆍ5日一見ㆍ儀制令이 방시된 『高麗圖經』, 이 책의 편찬과 가까운 시기에 등장한 伏閤上疏ㆍ入閤禮는 고려 朝儀 운영에 관한 몇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편전시조ㆍ입합례는 문무상창관 이상을 왕이 부르면, 신료가 자문에 응하고 왕이 從之, 許ㆍ不許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복합상소는 대간ㆍ재추가 閤에 대기하다가 왕이 不應하면 退朝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복합상소ㆍ입합례 모두 召對ㆍ侍制, 換仗ㆍ立仗 절차, 내전의 전반적 외조화라는 제반 여건의 구축 이후에 추진할 수 있었다.
당시는 이자겸 난과 금의 침입으로 현종대 갖추어진 복수의 正殿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궁궐복구에 꽤 긴시간이 소요된데다 지정된 정무공간까지 전소하여 궁궐 운영에 일정한 변동을 초래하였다. 閤(便殿)에서는 중기 이후부터 군사업무ㆍ聽政ㆍ중형의 판결같은 정무행위의 비중이 늘어난다. 복합시조ㆍ입합례는 內ㆍ外 경계가 불분명하던 閤(편전)이 外朝的 기능을 강화해가던 추이 가운데 나타났다. 정무장소의 유동에 부수하여 국왕 주도로 군신간 常時聽政을 위한 노력은 의제령 잣구를 목각하여 광화문 남문에 걸어두거나, 복합상소ㆍ입합례의 실시에서 구체화된 셈이다. 조의에서 상시청정(후일 常參朝啟儀)을 위한 제반 채비, 이를테면 召對ㆍ引見, 편전의 외조적 기능 강화와 그 분화, 換仗ㆍ立仗 절차는 성종 이전 착근되어 문종ㆍ의종 정도에 일단락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2 김택민, "천성령역주" 혜안 2013
3 강제훈, "만남의 제도화, 조선시대 조정의례" 민속원 2017
4 "국역원전 高麗史"
5 장지연, "고려후기 개경 궁궐 건설 및 운용방식" 한국역사연구회 (60) : 207-243, 2006
6 채웅석, "고려중기 정치사의재조명" 일조각 2021
7 김보광, "고려전기 궁궐 구조와 국왕의 정치 공간- ‘합문(閤門)’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119) : 19-50, 2021
8 신안식, "고려전기 개경의 파괴와 위상 유지" 한국중세사학회 (24) : 75-103, 2008
9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국학연구원 (189) : 31-57, 2019
10 위은숙, "고려시대의 格과 式" 민족문화연구소 (78) : 365-408, 2021
1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2 김택민, "천성령역주" 혜안 2013
3 강제훈, "만남의 제도화, 조선시대 조정의례" 민속원 2017
4 "국역원전 高麗史"
5 장지연, "고려후기 개경 궁궐 건설 및 운용방식" 한국역사연구회 (60) : 207-243, 2006
6 채웅석, "고려중기 정치사의재조명" 일조각 2021
7 김보광, "고려전기 궁궐 구조와 국왕의 정치 공간- ‘합문(閤門)’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119) : 19-50, 2021
8 신안식, "고려전기 개경의 파괴와 위상 유지" 한국중세사학회 (24) : 75-103, 2008
9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국학연구원 (189) : 31-57, 2019
10 위은숙, "고려시대의 格과 式" 민족문화연구소 (78) : 365-408, 2021
11 김당택, "고려시대의 參職" (20) : 1989
12 위은숙,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2009
13 최종석, "고려시대 朝賀儀 의례 구조의 변동과 국가 위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223-264, 2010
14 이정희, "고려시대 暇寧令과 급가제도 - 중,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41) : 5-49, 2017
15 이진한, "고려시대 參上․參外職의 구분과 녹봉" (99․100) : 1997
16 채웅석, "고려시대 刑政의 ‘原情’認識과 「月令」 활용" 한국중세사학회 (27) : 285-314, 2009
17 이민기, "고려시대 元正朝賀儀의 구성과 의미" 국학연구원 (189) : 59-84, 2019
18 홍영의, "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 한국중세사학회 (28) : 289-340, 2010
19 채웅석, "고려사 형법지 역주" 신서원 2009
20 김아네스, "고려 전기 老人賜設儀 설행과 정치적 의미" 대구사학회 135 : 35-75, 2019
21 김아네스, "고려 전기 大宴의 정치적 의미-『고려사』 예지 大觀殿宴群臣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57) : 185-220, 2019
22 남창근, "고려 본궐 만월대 주요전각 위치와 배치체계" 중앙문화재연구원 (32) : 105-140, 2020
23 김창현, "고려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의 비교연구" 새문사 2017
24 박재우, "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 신구문화사 2005
25 정은정, "고려 開京․京畿 연구" 혜안 2018
26 정은정, "고려 朝儀 구성과 정비" 역사문화연구소 (80) : 31-62, 2021
27 豊島悠果, "高麗王朝の儀禮と中國" 汲古書院 2017
28 박용운, "高麗時代 官階 官職 硏究" 고려대출판부 1997
29 "高麗圖經"
30 "高麗史節要"
31 "高麗史"
32 오치훈, "高麗 田柴科와 唐 官人永業田의 분급대상 비교" 민족문화연구원 (81) : 41-74, 2018
33 "資治通鑑"
34 김택민, "譯註 唐六典 上 中 下" 신서원 2003
35 "經國大典"
36 "東國李相國集"
37 大隅淸陽, "日本律令制論集 上" 吉川弘文館 1993
38 笹山先生還曆紀念會, "日本律令制論集 上․下" 吉川弘文館 1993
39 "新唐書"
40 "宋史"
41 와다나베 신이치로, "天空의 玉座" 신서원 2002
42 松本保宣, "唐王朝宮城の御前會議–唐代聽政制度の展開" 晃洋書房 2006
43 "唐六典"
44 仁井田陞, "唐令拾遺" 東京大出版部 1933
45 金澔, "唐 前期 황제의 朝會儀禮와 그 威儀" 동양사학회 (87) : 71-110, 2004
46 淸原夏野, "令義解 譯註 상․하" 세창출판사 2014
47 大隅淸陽, "中國禮法と日本律令制" 東方書店 1992
48 桑野榮治, "ソウルの儀禮空間-朝鮮世祖代の望闕禮と圜丘壇祭祀" (34) : 2001
49 渡邊信一郞, "『大唐開元禮』 皇帝元正冬至受朝賀君臣朝賀をめぐって" (19) : 2002
고려시대 여행기록 ‘유기(遊記)’와 여행 문화 : 여행길과 교통수단, 마을에서 만난 백성의 삶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