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인도 불교설화 도깨비의 기원을 밝히고자 한 연구다. 불교설화 도깨비인 쿠베라, 야차와 나찰의 캐릭터는 다른 여러 신들과 함께 본래 인도 고유의 정령사상과 자연현상을 의인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0635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9-180(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인도 불교설화 도깨비의 기원을 밝히고자 한 연구다. 불교설화 도깨비인 쿠베라, 야차와 나찰의 캐릭터는 다른 여러 신들과 함께 본래 인도 고유의 정령사상과 자연현상을 의인화...
본 논문은 인도 불교설화 도깨비의 기원을 밝히고자 한 연구다. 불교설화 도깨비인 쿠베라, 야차와 나찰의 캐릭터는 다른 여러 신들과 함께 본래 인도 고유의 정령사상과 자연현상을 의인화 하면서 비롯되었다. 야차와 나찰은 쿠베라(kubera)와 함께 B.C. 15?B.C. 5세기에 걸쳐 베다(Veda) 경전과 서사시 「마하바르따(Mah?bh?rata)」「라마야나(Ramayana)」 등에 수용되어 베다시대, 브라흐만시대, 힌두시대를 거쳐 불교시대의 신격으로 수용되었다. 쿠베라·야차·나찰의 캐릭터 중 사람을 부자가 되게 하는 능력, 자유자재로 이동하고 변신하며, 선신과 악신의 기능을 가진 남성으로서 방망이를 가졌다는 점은 불교에서도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러나 설화의 풍토화 법칙으로 부의 수호신이 불법수호의 신으로 바뀌고, 복식과 형상이 불교화되었으며, 거처가 숲·궁궐에서 사천왕천으로 변한 것은 달라진 점이다. 이로써 불교설화 도깨비의 기원은 인도 경전에 나타나는 쿠베라·야차·나찰임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igin of dokkaebi in Buddhist folktales. Yaksa(夜叉) and R?k?asa(羅刹), which are dokkaebis from Buddhism tales, are originated from personification of spirits, natural phenomenon and various gods in India. Along w...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igin of dokkaebi in Buddhist folktales. Yaksa(夜叉) and R?k?asa(羅刹), which are dokkaebis from Buddhism tales, are originated from personification of spirits, natural phenomenon and various gods in India. Along with kubera(毘沙門天王), yaksa and r?k?asa were included in Veda scriptures and epic poems such as Mah?bh?rata and Ramayana for five centuries from B.C. 15 to B.C. 5. and then recognized as gods in buddhism through Vedic, Brahmanic and Hindu period.
Some of divinity that yaksa and r?k?asa have, such as making people rich, teleportation and transformation, having a bat in the form of a male god and including both good and evil aspects. was handed down to the same characters in buddhism.
However, folk tales are always changed to be suited to the region’s characteristics, which means there are some changes in several aspects as well. For example, yaksa and r?k?asa, which were god of wealth, were turned into god of buddhism, and their figure and clothes were changed to buddhist way, Also, they were described to live in the Four Devas’ heaven instead of forest or palace. Considering al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t is certain that the origin of dokkaebi in Buddhist folktales came from kubera, yaksa and r?k?asa in Indian scriptur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넬리제, 페터 카링하우어, "힌두교의 그림언어" 동문선 280-281, 2008
2 가빈 플러드, "힌두교, 사상에서 실천까지" 산지니 46-47, 2008
3 김진영, "힌두 죽음의례의 유형과 철학적 사유체계" 철학연구소 36 : 41-65, 2014
4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42-, 1994
5 이은구, "인도의 신화" 세창미디어 24-29, 2012
6 류경희, "인도신화의 계보" 살림 10-11, 2012
7 베로니카 이온스, "인도신화" 범우사 92-, 2012
8 한정섭, "인도 신화와 불교" 불교정신문화원 21-22, 2013
9 김형준, "인도 신화" 청아출판사 32-37, 2012
10 박문성, "인도 고대 성전에 나타난 생명사상 ―'아타르바 베다' 12.1(대지 찬가)을 중심으로―" 신학과사상학회 (64) : 181-220, 2009
1 안넬리제, 페터 카링하우어, "힌두교의 그림언어" 동문선 280-281, 2008
2 가빈 플러드, "힌두교, 사상에서 실천까지" 산지니 46-47, 2008
3 김진영, "힌두 죽음의례의 유형과 철학적 사유체계" 철학연구소 36 : 41-65, 2014
4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42-, 1994
5 이은구, "인도의 신화" 세창미디어 24-29, 2012
6 류경희, "인도신화의 계보" 살림 10-11, 2012
7 베로니카 이온스, "인도신화" 범우사 92-, 2012
8 한정섭, "인도 신화와 불교" 불교정신문화원 21-22, 2013
9 김형준, "인도 신화" 청아출판사 32-37, 2012
10 박문성, "인도 고대 성전에 나타난 생명사상 ―'아타르바 베다' 12.1(대지 찬가)을 중심으로―" 신학과사상학회 (64) : 181-220, 2009
11 임근동, "우파니샤드" 을유문화사 58-59, 2012
12 안승준, "아함경에 나타난 초기불교의 天神觀" 보조사상연구원 288-, 1999
13 김종대, "서해안과 남해안지방 도깨비신앙의 전승양상과 그 변화" 한국민속학회 56 : 41-65, 2012
14 불공, "비사문천왕경(毘沙門天王經)" 1-8,
15 이거룡, "베다문헌 형성과정에서 비(非)아리야(Ārya)적 요소의 유입에 관한 연구" 인도연구소 15 (15): 73-97, 2009
16 이명권, "베다, 인류 최초의 거룩한 가르침" 한길사 113-, 2013
17 김진영, "베다 초기에 나타난 죽음(mṛtyu) 개념의 기원과 전개 양상" 인도철학회 (37) : 5-33, 2013
18 안양규, "베다 및 브라흐만교의 신화에 대한 붓다의 견해" 불교문화연구원 (41) : 45-67, 2004
19 박지명, "베다" 동문선 159-, 2010
20 박경숙, "메가두따" 지식산업사 100-142, 2002
21 박경숙, "마하바라따 5" 새물결출판사 657-, 2012
22 박경숙, "마하바라따 3" 새물결출판사 18-, 2012
23 박경숙, "마하바라따 2" 새물결출판사 621-, 2012
24 박경숙, "마하바라따 1" 새물결출판사 54-, 2012
25 R.K. 나라얀, "라마야나" 아시아 288-297, 2012
26 교양교재편찬위원회, "佛敎學槪論" 동국대 출판부 10-, 1993
27 이명권, "『베다』-인류 최초의 거룩한 가르침-" 한길사 446-, 2013
28 임근동,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의 문헌비교" 인도연구소 18 (18): 119-142, 2012
29 박기용, "『대장경』 간행 이후 불교 도깨비 수용 양상" 우리말글학회 60 : 217-247, 2014
30 박기용, "『고려대장경』 불교설화의 도깨비 연구 - 인도와 중국 불경의 도깨비 관련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7 : 191-221, 2013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사례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