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규원가류 가사의 문학교육적 의미 탐색 - 이용기 편 『(고대본)樂府』 소재 <閨怨歌> 異本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Gyuwonga(閨怨歌) group in late Choseon - Focused on different version of <Gyuwonga> in the 『Akbu(樂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4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educational value of late Gasa(歌辭), which is widely possessed in late Choseon dynasty. And it focused on Gyuwonga group of Gasa.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changes in the way of possession that is resu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educational value of late Gasa(歌辭), which is widely possessed in late Choseon dynasty. And it focused on Gyuwonga group of Gasa.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changes in the way of possession that is resulted from expansion of charging group in late Choseon period and confirmed the context of possession about 『Akbu(樂府)』.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compilation is basis for understanding the texts in the Gasa-Anthologies. Gyuwonga group of Gasa in 『Akbu(樂府)』 are almost the same as <Gyuwonga>, which is written by Heonanselheon. But changes in way of possession brought about the change in discourse. It is similar to the popular love lyrics of that period. For this reason,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ventional love song. <Chyeongruwon-byeolgok> is the most unique version of Gyuwonga group of Gasa. It has added lines the back of the original text. With the added text, we can see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of late Gasa.
      We can rediscover the value of Canon in literary education by looking through the Gyuwonga(閨怨歌) group of Gasa. It also helps us understand the popular cultural properties of late Gasa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iterary culture centered on those who enjoy it. These are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of the late Gas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 후기에 널리 향유된 규원가류 가사를 중심으로 후기 가사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조선 후기 가사 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향유방식의...

      이 연구는 조선 후기에 널리 향유된 규원가류 가사를 중심으로 후기 가사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조선 후기 가사 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향유방식의 변화를 살피고, 이용기 편 『(고대본)樂府』의 향유 맥락을 확인하였다. 가사집의 편찬 방향과 목적은 가사 향유의 정황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해당 가집 소재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고대본)樂府』 소재의 규원가류 가사는 허난설헌의 <규원가>와 내용과 형식면에서 거의 동일하나 향유층의 확대에 따른 향유목적 및 방법의 변화로 인한 담론의 전환을 보여준다. 또한 당대 유행했던 상사가류들과의 친연성에서 통속적 사랑 노래로의 이해 가능성을 보여준다. <쳥루원별곡(靑褸怨別曲)>은 가장 특이성을 보이는 이본으로 결사 뒤에 덧붙여진 텍스트를 통해 풍류의 공간에서 불린 대중적 가창물의 성격을 보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조선 후기 규원가류 가사를 통해 정전 텍스트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재탐색할 수 있다는 점과, 가사가 지닌 대중문화적 속성을 이해하고 향유자 중심의 문학적 문화 형성의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후기 가사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희, "허난설헌시론" 새문사 1987

      2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3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2

      4 강명관,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민족문학사학회 2 : 181-207, 1992

      5 고순희, "조선후기 가사문학 연구" 박문사 2016

      6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7 조윤제, "조선시가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8 정재호, "잡가집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한국시가학회 8 : 361-398, 2000

      9 이동연, "이세보의 기녀등장 시조를 통해 본 19세기 사대부의 풍류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9 : 7-38, 2003

      10 신경숙, "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 민족어문학회 (62) : 62-90, 2010

      1 이숙희, "허난설헌시론" 새문사 1987

      2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3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2

      4 강명관,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민족문학사학회 2 : 181-207, 1992

      5 고순희, "조선후기 가사문학 연구" 박문사 2016

      6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7 조윤제, "조선시가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8 정재호, "잡가집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한국시가학회 8 : 361-398, 2000

      9 이동연, "이세보의 기녀등장 시조를 통해 본 19세기 사대부의 풍류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9 : 7-38, 2003

      10 신경숙, "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 민족어문학회 (62) : 62-90, 2010

      11 강전섭, "원부사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11 : 195-214, 1973

      12 강명관, "여항, 여항인, 여항문학" 한국한문학회 17 : 407-421, 1994

      13 김학성, "서민가사의 담론기반과 미학적 특성" 대동문화연구원 (47) : 163-192, 2004

      14 윤영옥, "상사계가사연구-규원가"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 53-83, 1984

      15 이석호, "동국세시기 외" 을유문화사 1969

      16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17 최홍원,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5) : 5-46, 2017

      18 김대용, "고등학교 문학" ㈜상문연구사 2015

      19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5

      20 조동일, "가사의 장르 규정" 한국어문학회 65-86, 1969

      21 조세형, "가사의 시적 담화 양식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교육학회 59 : 69-89, 1996

      22 김학성, "가사의 본질과 담론 특성" 한국문학회 28 : 183-209, 2001

      23 류해춘, "가사문학의 미학" 보고사 2009

      24 윤석창, "가사문학개론" 깊은샘 1991

      25 김대행, "가사 양식의 문화적 의미" 한국시가학회 3 : 397-419, 1998

      26 김대행, "詩歌詩學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27 정재호, "註解 樂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28 장정수, "樂府 高大本 소재 <樂府>와 玄鶴琴譜 <歌曲>의 관련 양상" 한국시조학회 (31) : 175-200, 2009

      29 정인숙, "『원부사』의 後代的 變貌 樣相 硏究"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5 : 289-306, 2000

      30 정인숙, "<원부사>군 가사의 전승과 향유에 관한 통시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36) : 263-291, 2004

      31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32 조희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2) : 63-118, 2016

      33 윤덕진, "19세기 가사집을 통해 본 가사 향유의 실상" 한국시가학회 13 : 9-, 2003

      34 김학성,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韓國詩歌硏究 第11輯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 여항-시정문화와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11 : 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