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야은 길재에 대한 추숭과 비판에 대한 연구 = Research on Criticism and Posthumous Praise on Ya-eun Kil-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6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교국가인 조선시대 역사기록은 왕조중심으로 씌어졌고 자신이 속한 왕조의 입장에서 씌어질 수밖에 없었다. 길재는 왕조초기의 추숭, 사림시대도통의 제2인자로의 옹립과 추숭, 그리고 18...

      유교국가인 조선시대 역사기록은 왕조중심으로 씌어졌고 자신이 속한 왕조의 입장에서 씌어질 수밖에 없었다. 길재는 왕조초기의 추숭, 사림시대도통의 제2인자로의 옹립과 추숭, 그리고 18세기 왕들과 서민교화의 전범으로서의 추숭 등 조선 전시대에 걸쳐 절대적인 추숭을 받았다. 남효온, 박세채 등에 의해 은연 중에 신씨를 섬긴 인물, 삼년상을 치를 필요 없는 스승에 대해 삼년상을 행한 인물 등으로 평가받기도 했으나 이런 논란에 대해서도 이황, 정경세, 안정복 등 당대 인사들로부터 옹호를 받았다. 이황은 공민왕이 우왕을 후계로 인정하였으므로 신씨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고, 정 경세는 신씨설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였으며, 안정복은 신씨라는 설에 대해 논평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여 신씨설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나아가 길재와 정몽주와 같은 위인이 섬겼다면 신씨일리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신씨 조작설에 힘을 실어주었다. 본고에서는 길재 절의 추숭에 대한 시대적 변모를 정리했을 뿐 아니라 길재의 절의에 대한 논란을 통해 단편적으로 남아있는 역사기록의 한계, 세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역사기록의 맹점 등을 극복하는 과정도 확인할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ilt on the ideas of Confucianism, Chosun and it’s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around the kings. The historical records were only possible to be written in the perspective of the king during the time of documentation. It would not be considered...

      Built on the ideas of Confucianism, Chosun and it’s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around the kings. The historical records were only possible to be written in the perspective of the king during the time of documentation. It would not be considered overly exaggerated to state that Gil-Jae was praised after his death without further questioning during the entire Chosun Dynasty. Gil-Jae has been posthumously praised and enthroned as second-in-command of the Do-tong during the era of the Confucian scholars. He was also recognized after his death during the early years of Chosun, and recalled by his reformation act of the people and the kings during the 18th century. On the contrary, Kil-Jae was also denounced by critiques. He was well-known for serving Shin through Nam Hyo-on, Park sae-chae, etc and mourning a teacher, who did not need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of a third year memorial service, for three years. However, even after the negative judgements, the most recognized and eminent persons during the times of Chosun such as Lee Hwang, Ahn Jung-Bok, Jung Gyung-se, etc appraised that Kil-Jae should be highly respected by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Lee Hwang stated that King Gong-min has accepted King Woo as his successor and Jung Kyung-se announced that there are many who are doubtful towards the rumors of Shin. Ahn Jung-bok wanted more comments and further discussions regarding the rumors of Shin and heavily criticized such rumors. Ahn Jung-bok added his indication that if great men like Kil-Jae and Jung Mong-Joo served as followers, it would not have been Shin; Ahn empowered Shin’s fabricated story. This research will discuss the Kil-Jae’s posthumous praises about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have changed through tim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e affect of loopholes through different social conditions, etc of historical documents by looking into the arguments and controversies of Kil-Jae’s fide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여는 말
      • 2. 선행연구 검토
      • 3. 길재의 생애와 도통형성
      • 4. 절의에 대한 논란의 향방
      • 5. 맺는 말
      • 1. 여는 말
      • 2. 선행연구 검토
      • 3. 길재의 생애와 도통형성
      • 4. 절의에 대한 논란의 향방
      • 5.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2 한스 프랑켈, "중국의 역사인식, 상" 창작과 비평사 1985

      3 심영환, "조선초 吉再의 추증과 <追贈牒>의 復元" 포은학회 7 : 33-66, 2011

      4 조남욱, "조선조 초기 정몽주·길재 표창과 그 의의" 한국유교학회 (49) : 5-33, 2012

      5 "조선왕조실록"

      6 김훈식,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2) : 73-104, 2014

      7 조광조, "정암집"

      8 이장희, "여말선초의 선비군과 길재의 위상" 한국사상사학회 4-5 : 1993

      9 길재, "야은집"

      10 김훈식, "야은 길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2011

      1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2 한스 프랑켈, "중국의 역사인식, 상" 창작과 비평사 1985

      3 심영환, "조선초 吉再의 추증과 <追贈牒>의 復元" 포은학회 7 : 33-66, 2011

      4 조남욱, "조선조 초기 정몽주·길재 표창과 그 의의" 한국유교학회 (49) : 5-33, 2012

      5 "조선왕조실록"

      6 김훈식,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2) : 73-104, 2014

      7 조광조, "정암집"

      8 이장희, "여말선초의 선비군과 길재의 위상" 한국사상사학회 4-5 : 1993

      9 길재, "야은집"

      10 김훈식, "야은 길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2011

      11 박세채, "남계집"

      12 이태진, "길재 충절 추숭의 시대적 변천" 한국사상사학회 4 · 5 : 3-, 1993

      13 안장리, "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포은학회 15 : 135-160, 2015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國譯 冶隱集" 1980

      15 최영성, "冶隱 吉再와 그 門生들의 도학사상" 한국학연구원 (45) : 109-146, 2011

      16 남재철, "冶隱 吉再에 對한 歷代 讚詠詩 檢討(I)-太宗朝 諸賢의 讚詠詩를 中心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2 (42): 31-64, 2015

      17 남재철, "冶隱 吉再에 對한 歷代 讚詠詩 檢討(Ⅱ) - 15C 後期에서 17C 前期 사이의 作品 中心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7 (37): 15-49, 2016

      18 "『국역 추강집』(남효온), 『국역 포저집』(조익), 『국역 순암집』(안정복),고전번역서"

      19 안장리, "『東文選』의 選文意識에 나타난 문학의 개념과 가치" 국제어문학회 (29) : 5-34, 2003

      20 김석배, "『冶隱先生行錄』 硏究" 영남문화연구원 (27) : 211-240, 2015

      21 김훈식, "15세기 朝家의 吉再 追崇과 인식" 민족문화연구소 (50) : 3-3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