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전문대학 디자인교육 = Education of Design to Junior College Students for the Era of Conver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자인의 영향력이 미약하여 양질의 디자인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세분화된 디자인 분야의 학과나 전공의 학생들은 졸업 후 같은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각각 다른 전공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자인 분야의 학과와 전공은 서로 융합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융합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4년제 종합대학이나 대학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2년제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국내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과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융합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검토, 분석된 결과와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으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가 산업사회를 대비하여 기초조형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듯이 융합의 시대적 변화를 대비하여 문화, 창조,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은 각각의 주변 학문과 연련되어 융합디자인 교육의 발판이 되었다. 즉 소비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자인의 속성과 함께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등의 분야와 융합이 이루진다. 전문대학에서의 짧은 교육 기간 등의 여건에 맞추어 문화의 이해, 창조적 능력 발휘, 소통에 의한 협력의 단계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결론 산업과 디자인 교육의 관련성,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은 실무 형 디자인 교육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활용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자인의 영향력이 미약하여 양질의 디자인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세분화된 디자인 분야의 학과나 전공의 학생들은 졸업 후 같은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각각 다른 전공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자인 분야의 학과와 전공은 서로 융합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융합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4년제 종합대학이나 대학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2년제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국내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과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융합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검토, 분석된 결과와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으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가 산업사회를 대비하여 기초조형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듯이 융합의 시대적 변화를 대비하여 문화, 창조,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은 각각의 주변 학문과 연련되어 융합디자인 교육의 발판이 되었다. 즉 소비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자인의 속성과 함께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등의 분야와 융합이 이루진다. 전문대학에서의 짧은 교육 기간 등의 여건에 맞추어 문화의 이해, 창조적 능력 발휘, 소통에 의한 협력의 단계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결론 산업과 디자인 교육의 관련성,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은 실무 형 디자인 교육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활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fusion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executing the curricula.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re usually carried out superficially. The influence of design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quality designs. Currently, there are many design departments which are subdivided with minute differences. As a result, students graudated from these different departments tend to work together on a same job.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ny subdivided departments to be integrat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eed of convergence design were all focused on regula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Thus, a new study is needed for 2-year junior colleges. The present study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for junior college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direction.
      Methods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evious studies on design educa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The surveyed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roposed is a new design education curriculum for 2-yea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a junior college.
      Result Bauhaus considered it very important to teach the basic modelling in preparation of the coming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effectively carry out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 such, a new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creativity, culture, and communicaiton is necessary in preparation of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reativity, culture, communication became the basis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other branches of surrouding disciplines. That is, to meet the desires of customers and clients, the inherent properties of design is conv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rts, humanities, social sciences, management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the duration of education is short in junior colleges, proposed is the curriculum compopsed of three steps consisting of demonstration of creativity,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cooperaton based on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oncepts on the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and on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are defined. Aft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was reviewed, and afte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improved, proposed is the curriculum that can be executed in junior colleges. The proposed design curricula for junior college suitable for the era of convergence is very practical so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urriculum would be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in industries.
      번역하기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fusion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executing the curricula.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re usually carried out superficially. The influence of design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quality designs. Currently, there are many design departments which are subdivided with minute differences. As a result, students graudated from these different departments tend to work together on a same job.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ny subdivided departments to be integrat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eed of convergence design were all focused on regula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Thus, a new study is needed for 2-year junior colleges. The present study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for junior college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direction.
      Methods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evious studies on design educa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The surveyed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roposed is a new design education curriculum for 2-yea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a junior college.
      Result Bauhaus considered it very important to teach the basic modelling in preparation of the coming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effectively carry out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 such, a new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creativity, culture, and communicaiton is necessary in preparation of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reativity, culture, communication became the basis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other branches of surrouding disciplines. That is, to meet the desires of customers and clients, the inherent properties of design is conv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rts, humanities, social sciences, management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the duration of education is short in junior colleges, proposed is the curriculum compopsed of three steps consisting of demonstration of creativity,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cooperaton based on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oncepts on the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and on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are defined. Aft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was reviewed, and afte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improved, proposed is the curriculum that can be executed in junior colleges. The proposed design curricula for junior college suitable for the era of convergence is very practical so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urriculum would be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in indust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원, "행복의 디자인" 지콜론북 2015

      2 엘빈 토플러, "제3물결" 한국경제신문 1989

      3 이항구, "융합의 촉매 디자인 산업" 산업연구원 2013

      4 김승인, "융합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127-136, 2013

      5 Frank, W., "바우하우스" 시공사 2000

      6 강희정, "디자인융합교육 필요성과 흐름" 328-331, 2013

      7 "디자인 이야기"

      8 나 건, "농사와 디자인" 컬쳐코드 2014

      9 채승진, "근대디자인의 지식 구성, 디자인과 지식" 디자인 네트 1999

      10 윤민희,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431-444, 2014

      1 김지원, "행복의 디자인" 지콜론북 2015

      2 엘빈 토플러, "제3물결" 한국경제신문 1989

      3 이항구, "융합의 촉매 디자인 산업" 산업연구원 2013

      4 김승인, "융합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127-136, 2013

      5 Frank, W., "바우하우스" 시공사 2000

      6 강희정, "디자인융합교육 필요성과 흐름" 328-331, 2013

      7 "디자인 이야기"

      8 나 건, "농사와 디자인" 컬쳐코드 2014

      9 채승진, "근대디자인의 지식 구성, 디자인과 지식" 디자인 네트 1999

      10 윤민희,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431-444, 2014

      11 이상원, "국내 대학 사례 조사를 통한 디자인 융합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디자인학회 26 (26): 219-238, 2013

      12 김향원, "‘융합’개념의 이해와 디자인 환경에서의 의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9) : 241-250, 2013

      13 "http://www.snu.ac.kr"

      14 "http://www.rca.ac.uk"

      15 "http://www.mit.edu"

      16 "http://www.hongik.ac.kr"

      17 "http://www.bauhaus.de.de"

      18 "http://www.bauhaus-dessau.de/de"

      19 Howard, D., "Inside the Bauhaus" Architectura Press 1986

      20 Arthur S. Pier., "BAUHAUS, Walter Gropius and the Influence of the Bauhaus" 48 (48): 1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