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 The Shijo Discourse and the Aspect of its Literature Textbooks in Haebang Period(1945~195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9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민족문화의 수용과 보급이 시급하였던 해방기에 시조가 어떠한 처우를 받았으며, 그것이 어떻게 교육 정전 속으로 편입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지금...

      이 논문은 민족문화의 수용과 보급이 시급하였던 해방기에 시조가 어떠한 처우를 받았으며, 그것이 어떻게 교육 정전 속으로 편입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던 시조문학 매체를 중심으로 해방기 시조의 정전화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해방기에 논의된 시조담론들을 검토하였다. 시조에 대한 논의는 해방기의 좌담회, 비평, 개인 시조집의 서문, 후기 동을 통해 다양하게 개진되었다. 이들은 ‘국민시’로서의 시조의 이상을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시조의 내용과 형식의 문제를 통해 시조 장르의 속성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이태준, 이호우, 김기림, 양주동 등이 그 대표적 논자들이었다. 이어서 본고는 시조담론과의 연계 하에 해방기 시조문학매체의 현황과 그것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주목한 것이 해방기에 많이 출판된 시조문학교재들이었다. 해방기에 출판된 시조 문학교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청구영언』이나 『해동가요』, 『가곡원류』처럼 고시조집을 재출간하거나 주해(註解)하는 책들이고, 다른 하나는 대중독자를 염두에 둔 시조보급형 교재류 책자들이다. 본고에서는 후자를 특히 주목하였는데 그 이유는 편찬자의 기준이나 시각에 맞게 시조가 정선되고 축약되는 과정에서 시조 정전이 탄생된다는 점 때문이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애송시조집』, 『조선시조집』, 『시조작시법』 같은 시조보급형 교재나 『민족문화독본』이나 『한글문예독본』 같은 ‘독본’류 교재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이어 시조 텍스트가 『초등국어교본』, 『중등국어교본』, 『중등국어』 같은 국어교재에 수록되기 시작하면서 그것의 선정과 배치에 교과서 편찬 주체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문 인식이나 계몽의 기획 수준에서 차츰 국어, 국민, 국가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기 적합한 시조 제재의 선택이 그것이라 할 수 있다. 시조보급형 교재와 달리 국어교재에 고시조 위주, 평시조 위주의 시조가 많이 실리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되풀이 되는 시조보급형 교재들의 출판을 통해 대표적 시조들이 선별되고, 그러한 작품들은 이후 국어교재의 정전으로 구성될 매개적 통로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hijo(時調) is included in education-canon in Haebang Period that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ational culture were needed. First, this study examined Shjjo discourses that were discussed in Haebang Period. The d...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hijo(時調) is included in education-canon in Haebang Period that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ational culture were needed.
      First, this study examined Shjjo discourses that were discussed in Haebang Period. The discussion on Shjjo was variously expressed throughout discussion meeting, criticism, prelude and epilogue of anthology. These often tried to express the property of Shjjo genre throughout the problem of the contents and forms in Shijo. Next,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hijo literature media in Haebang Period, related with Shijo discourse. Shijo literatur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Haebang Period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One republished and annotated Old Shijo anthology like ChunguYoungun(靑丘永言), HaedongKayo(海東歌謠), and Gagokwonryu(歌曲源流). The other was textbooks for spreading Shijo, considering common readers. This study especially noticed the latter. Because Shijo canon was made in the course of collecting Shijo, conforming to criterion and perspective of editors. Next, when Shijo texts begun to be found in the Korean textbooks such as Secondary Korean Textbooks(中等國語敎本), Secondary Korean(中等國語), the ideology of textbooks editors was reflected on its selection and arrangement.
      This study chiefly examined the aspect of organizing Shijo and its acceptance course at Shijo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Korean textbooks in Haebang Period. The contents of Shijo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its aspect of organizing canon after the Koran War will be the tasks of the next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해방기의 시조 담론
      • Ⅲ. 해방기 시조문학교재의 구성 양상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해방기의 시조 담론
      • Ⅲ. 해방기 시조문학교재의 구성 양상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6

      2 박용찬,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연구" 한국어문학회 91 (91): 413-435, 2006

      3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4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국어과 한문과 교육과정 기준표" 교육부 2000

      5 Guillory, John, "정전 (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한신문화사 1996

      6 이병기, "시조의 개설과 창작" 현대출판사 1957

      7 임선묵, "시조민속으로서의 시조놀이 (증보개정 시조시학서설)" 단대출판부 292-338, 1981

      8 김덕현, "시조문학교육론" 박이정 2004

      9 김선배, "시조문학 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1998

      10 김창원, "시교육과 정전의 문제" 한국시학회 19 (19): 63-85, 2007

      1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6

      2 박용찬,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연구" 한국어문학회 91 (91): 413-435, 2006

      3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4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국어과 한문과 교육과정 기준표" 교육부 2000

      5 Guillory, John, "정전 (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한신문화사 1996

      6 이병기, "시조의 개설과 창작" 현대출판사 1957

      7 임선묵, "시조민속으로서의 시조놀이 (증보개정 시조시학서설)" 단대출판부 292-338, 1981

      8 김덕현, "시조문학교육론" 박이정 2004

      9 김선배, "시조문학 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1998

      10 김창원, "시교육과 정전의 문제" 한국시학회 19 (19): 63-85, 2007

      11 한창훈, "시가교육의 가치론" 월인 2001

      12 Anderson, B.,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2

      13 상허학회, "반공주의와 한국문학" 깊은샘 2005

      14 Easthope,Antony, "문학연구에서 문화연구로" 현대미학사 1994

      15 송무, "문학교육의 ‘정전’ 논의" (창간) : 293-316, 1997

      16 박용찬, "문학교과서와 정전의 문제" 38 : 49-70, 2005

      17 Foucault,M., "담론의 질서" 새길 1993

      18 이정우, "담론의 질서" 새길 1997

      19 김진근,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20 박붕배, "국어교육전사(상)"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21 윤여탁, "국어교육 100년사 1,2"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2 노명완,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2000

      23 Adorno, Th. W.,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5

      24 Foucault, M.,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1997

      25 이병기,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