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초등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 The Role and Advancement of the Female Elementary Principal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1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를 위해 여성주의의 흐름을 고찰해 보고, 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론부터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교육 이론, 생태 여성주의 교육 이론에 이르기까지의 여성주의 동향을 살펴보고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초등 여교장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지도성을 고찰한 후, 초등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특히 생태 지향적 여교장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생태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교육 현장에서 초등 여교장의 지도성은 맥락 지향적, 교육 지향적, 상징 지향적 지도성으로 크게 집약되었다. 생태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성 소외 현상이나 환경 위기 상황의 극복을 위한 지원 체제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여성의 전문성과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이나 여교장 진출을 위한 제도 등 적극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를 위해 여성주의의 흐름을 고찰해 보고, 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

      본 연구는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를 위해 여성주의의 흐름을 고찰해 보고, 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론부터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교육 이론, 생태 여성주의 교육 이론에 이르기까지의 여성주의 동향을 살펴보고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초등 여교장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지도성을 고찰한 후, 초등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특히 생태 지향적 여교장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생태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교육 현장에서 초등 여교장의 지도성은 맥락 지향적, 교육 지향적, 상징 지향적 지도성으로 크게 집약되었다. 생태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성 소외 현상이나 환경 위기 상황의 극복을 위한 지원 체제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여성의 전문성과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이나 여교장 진출을 위한 제도 등 적극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방범
      • II. 생태 여성주의와 교육
      • 1.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론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방범
      • II. 생태 여성주의와 교육
      • 1.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론
      • 2.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교육
      • 3. 생태 여성주의 교육 이론
      • III. 사례 분석을 통한 여교장의 지도성
      • 1. 맥락 지향적 지도성
      • 2. 교육 지향적 지도성
      • 3. 상징 지향적 지도성
      • IV. 초등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
      • 1. 자생단체를 통한 정책
      • 2. 국가 차원의 정책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문화 전통과 여성지도력의 방향" 131-147, 2004

      2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교직의 여성화 동향과 전망" 14 (14): 57-79, 1997

      3 "종교적 영성 페미니즘 에코페미니즘" 영산원불교대학교 출판국 1999

      4 "여성주의 교육의 연구 동향과 실천 과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002

      5 "여성종교 생명공동체" 영산원불교대학교 출판국 2000

      6 "여교장의 지도성 효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0

      7 "여교사의학교행정가ㆍ교육전문직 진출 촉진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6

      8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dings) : 1984

      9 "Women educators employees of schools in western countr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10 "Ways women lead" november/december : 1990

      1 "한국 문화 전통과 여성지도력의 방향" 131-147, 2004

      2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교직의 여성화 동향과 전망" 14 (14): 57-79, 1997

      3 "종교적 영성 페미니즘 에코페미니즘" 영산원불교대학교 출판국 1999

      4 "여성주의 교육의 연구 동향과 실천 과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002

      5 "여성종교 생명공동체" 영산원불교대학교 출판국 2000

      6 "여교장의 지도성 효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0

      7 "여교사의학교행정가ㆍ교육전문직 진출 촉진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6

      8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dings) : 1984

      9 "Women educators employees of schools in western countr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10 "Ways women lead" november/december : 1990

      11 "The female advantage:Women's ways of leadership" Doubleday 1990

      12 "The basisof the Bargain" Allen and Unwin 1984

      13 "The Process Worldview and a Vision of Korean Education" 8 (8): 26-14, 2004

      14 "The Ethnographic Interview" 시그마프레스 2003

      15 "Schooling for girls Schooling for women's work" 1980

      16 "Reframing Organization" John Wiley& Sons. Inc 2003

      17 "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 Prentice Hall 2004

      18 "Feminist theory and the study of gender and education" 33 : 1987

      19 "Educating women in science tradition in higher education" Collier Macmillan Publishers 1989

      20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to character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2002

      21 "A cloud over co-education An analysis of the forms of transmission of class and gender relations" Falmer Press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