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비무장지대(DMZ)의 무장화 과정과 배경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무장지대는 남북 분단의 경계로서 정전협정을 토대로 정전체제가 작동하는 핵심적인 공간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군사력 집중과 군사충돌이라는 정전협정 위반으로 응축된 공간이다. 비...

      비무장지대는 남북 분단의 경계로서 정전협정을 토대로 정전체제가 작동하는 핵심적인 공간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군사력 집중과 군사충돌이라는 정전협정 위반으로 응축된 공간이다. 비무장지대는 어떻게 이처럼 모순되어 보이는 정전협정 위반과 정전체제 유지가 가능한 공간이 되었을까. 또한, 비무장지대는 약 250km 길이, 4km 폭의 정지된 공간이 아니라 정전 직후부터 계속해서 변화해 온 공간이다. 비무장지대의 변화 배경은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이 글은 한국전쟁 정전 이후 1960년대까지 비무장지대의 무장화 과정을 단계적으로 살핌으로써, 오늘날의 철책으로 둘러싸인 비무장지대 모습과 비무장지대를 통한 정전체제의 유지 원리가 1960년대에 만들어졌음을 주장한다. 1960년대 비무장지대의 무장화는 전반기 공동감시소조의 無力化와 감시초소(GP) 강화를 거쳐, 후반기 철책선 설치, 초목 통제(vegetation control) 등의 對침투 체계 구축을 핵심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대침투 체계 구축은 단순한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베트남전쟁의 영향으로 계획되었음을 살펴본다. 즉 남북관계, 한미관계, 국제정세 등과 맞물려 비무장지대의 변화가 진행되었음을 살피고, 비무장지대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유지되는 정전체제와 그 극복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또한, 비무장지대의 무장화 역사를 성찰함으로써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전환하는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ilitarized Zone is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Koreas, a key space where the armistice system works based on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a space condensed for viol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namely concentration of ...

      The Demilitarized Zone is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Koreas, a key space where the armistice system works based on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a space condensed for viol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namely concentration of military force and military conflict. How did the zone become such a contradictory space where viol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e maintenance of the armistice regime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DMZ is not a stationary space of about 250 kilometers long and 4 kilometers wide, but one that has been changing since shortly after the blackout. What was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in the zone, and how did it change?
      The article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DMZ surrounded by today’s iron fences and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armistice system through the DMZ were created in the 1960s. The militarization of the DMZ in the 1960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n counter-infiltration system of iron fences, herbicides and mines, which was not done simply as a response to North Korean provocations, but as a result of the Vietnam War. In other words, I want to examine the progress of the change in the DMZ in line with inter-Korean relations, Korea-U.S. relations, and international affairs, and look for clues to the armistice system and its overcoming, which is maintained around that space. Hopefully, by reflecting on the DMZ’ armed history, i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discussions on turning the DMZ into a peace z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정전 이후~1960년대 전반, 정전협정의 비무장지대 조항과 공동감시소조의 無力化
      • Ⅱ. 1960년대 후반, 남북의 비무장지대 충돌과 유엔군사령부
      • III. 비무장지대의 對침투 체계 구축과 무장화
      • 요약
      • 머리말
      • Ⅰ. 정전 이후~1960년대 전반, 정전협정의 비무장지대 조항과 공동감시소조의 無力化
      • Ⅱ. 1960년대 후반, 남북의 비무장지대 충돌과 유엔군사령부
      • III. 비무장지대의 對침투 체계 구축과 무장화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방부, "한국전쟁사1: 해방과 건군"

      2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국방현대화 과정 분석" (67) : 2011

      3 "한겨레"

      4 "통일뉴스"

      5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이밍턴위원회 청문록"

      6 홍석률, "위기 속의 정전협정 ―`푸에블로 사건과 판문점 도끼살해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63) : 57-76, 2003

      7 "연합뉴스"

      8 홍석률, "분단의 히스테리" 창비 2012

      9 정근식, "분단․냉전 경관과 평화-군사분계선 표지판과 철책을 중심으로" 100 : 2018

      10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1 국방부, "한국전쟁사1: 해방과 건군"

      2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국방현대화 과정 분석" (67) : 2011

      3 "한겨레"

      4 "통일뉴스"

      5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이밍턴위원회 청문록"

      6 홍석률, "위기 속의 정전협정 ―`푸에블로 사건과 판문점 도끼살해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63) : 57-76, 2003

      7 "연합뉴스"

      8 홍석률, "분단의 히스테리" 창비 2012

      9 정근식, "분단․냉전 경관과 평화-군사분계선 표지판과 철책을 중심으로" 100 : 2018

      10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11 박태균, "베트남전쟁" 한겨레출판 2015

      12 "동아일보"

      13 육군보안사령부, "대공삼십년사"

      14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15 국방정보본부, "군사정전위원회편람"

      16 조성훈, "군사분계선과 남북한 갈등"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17 "경향신문"

      18 이창호, "간첩침투 분쇄를 위한 전략촌 설립" 국방대학원 1967

      19 한국국방연구원, "韓美安保關聯協定要略集: 1948~1989. 9"

      20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G3, Eighth U.S. Army APO 96301(EAGO-MH) 19 Aug 67, RG 550, Classified Organizational History Files, 1959-1974, Entry A1 2, Box 100"

      21 "RG 59, 1967-69 SNF, Central Foreign Policy Files, POL 23-7 KOR S 6/1/67"

      22 이문항, "JSA-판문점(1953~1994)" 소화 2001

      2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68, volume XXIX, Korea"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9

      24 홍석률, "1968년 푸에블로 사건과 남한․북한․미국의 삼각 관계" 113 : 2001

      25 한모니까, "1960년대 북한의 경제 국방병진노선의 채택과 대남정책" 50 : 2003

      26 김보영, "1960년대 군사정전위원회와 ‘정전체제’" 50 : 2003

      27 박태균, "1950년대 미국의 정전협정 일부조항 무효선언과 그 의미" 역사문제연구소 (63) : 40-5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