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국의 직업성 암 = Occupational Cancer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139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은 직업성 질환과 일반 암에 대한 자료는 구하기 쉽지만 직업성 암에 대하여는
      통계가 산출되고 있지 않다. 미국에서 1996년 25세 이상에서 매년 발생하는 전체 암
      의 6-10%를 직업상 암으로 추정하면 8만 명부터 13만 명의 직업성 암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연간 3만 명에서 5만 명이 직업성 암으로 사망하는 것
      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업성 암의 대부분 보상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이는 잠재기간이
      길어 퇴직 후 오랜 기간이 지나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Statute of limitations에 의
      하여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연방 정부 공무원에 대하여는 상해, 사망, 장애 또는 업
      무 관련성을 인지하고 3년까지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퇴직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 암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으면, 평생 보상을 받는데 한계가 없다. 그
      러나 주 정부에서 운영하는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면 주별로 각각 퇴직 후 60일, 1년, 2년, 3년까지만(Statute of limitations) 장애 보상이 가능하다고 명기되어 있어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일반 업무상 재해와 질병의 단지 5% 만이 보상이 실시되고 있다고 추정한다. 직업성
      암은 그 특성, Statute of limitations 및 업무 관련성 입증이 어려워 직업성 암의
      일부분만 보상 혜택을 받고 있다고 추정한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들은 사회보장
      제도에 흡수되어 SSDI, SSI에 의하여 생계비를 보조받고 있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 중 극히 일부는 제조물 책임법에 따라 제 3자(발암물질 제조회사)를 소송하여
      보상을 받고자 노력한다.
      번역하기

      미국은 직업성 질환과 일반 암에 대한 자료는 구하기 쉽지만 직업성 암에 대하여는 통계가 산출되고 있지 않다. 미국에서 1996년 25세 이상에서 매년 발생하는 전체 암 의 6-10%를 직업상 암...

      미국은 직업성 질환과 일반 암에 대한 자료는 구하기 쉽지만 직업성 암에 대하여는
      통계가 산출되고 있지 않다. 미국에서 1996년 25세 이상에서 매년 발생하는 전체 암
      의 6-10%를 직업상 암으로 추정하면 8만 명부터 13만 명의 직업성 암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연간 3만 명에서 5만 명이 직업성 암으로 사망하는 것
      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업성 암의 대부분 보상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이는 잠재기간이
      길어 퇴직 후 오랜 기간이 지나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Statute of limitations에 의
      하여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연방 정부 공무원에 대하여는 상해, 사망, 장애 또는 업
      무 관련성을 인지하고 3년까지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퇴직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 암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으면, 평생 보상을 받는데 한계가 없다. 그
      러나 주 정부에서 운영하는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면 주별로 각각 퇴직 후 60일, 1년, 2년, 3년까지만(Statute of limitations) 장애 보상이 가능하다고 명기되어 있어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근로자 보상 제도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일반 업무상 재해와 질병의 단지 5% 만이 보상이 실시되고 있다고 추정한다. 직업성
      암은 그 특성, Statute of limitations 및 업무 관련성 입증이 어려워 직업성 암의
      일부분만 보상 혜택을 받고 있다고 추정한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들은 사회보장
      제도에 흡수되어 SSDI, SSI에 의하여 생계비를 보조받고 있다. 보상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 중 극히 일부는 제조물 책임법에 따라 제 3자(발암물질 제조회사)를 소송하여
      보상을 받고자 노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Cancer Act was signed in 1971, and it established the national cancer progra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is responsible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program
      that includes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1970,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stablish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especially recommended exposure limits and appropriated preventive measures
      that were designed to reduce adverse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chemicals in
      accordance with the OSHA rulemaking process. OSHA has issued regulations for
      occupational carcinogens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ategorizes four groups of
      carcinogenicity based on the amount of evidence. Group 1 includes chemicals and
      processes established as human carcinogens based on epidemiologic studies in
      humans. In the United States, it would represent 80,897-134,828 new cancer cases
      and 33,018-55,030 deaths due to occupational exposures in 1996.
      Occup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f there is an exposure to
      certain carcinogenic agents, such as certain metals, dyes, organic and inorganic dusts, solvents, and pesticides. Since carcinogenesis is a multisequential process, reductions in exposures to carcinogens at the workplace are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ancer prevention in the workplace.
      New biologic markers of exposures and cancer-related outcomes need to be
      identified and integrated into epidemiologic studies. Because epidemiologic data
      regarding the carcinogenicity of many exposures are not available, research methods to evaluate and improve the predictive value of animal and in vitro systems must be develope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trends will require further research on occupational cancer risks and means of prevention.
      번역하기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Cancer Act was signed in 1971, and it established the national cancer progra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is responsible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program th...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Cancer Act was signed in 1971, and it established the national cancer progra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is responsible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program
      that includes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1970,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stablish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especially recommended exposure limits and appropriated preventive measures
      that were designed to reduce adverse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chemicals in
      accordance with the OSHA rulemaking process. OSHA has issued regulations for
      occupational carcinogens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ategorizes four groups of
      carcinogenicity based on the amount of evidence. Group 1 includes chemicals and
      processes established as human carcinogens based on epidemiologic studies in
      humans. In the United States, it would represent 80,897-134,828 new cancer cases
      and 33,018-55,030 deaths due to occupational exposures in 1996.
      Occup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f there is an exposure to
      certain carcinogenic agents, such as certain metals, dyes, organic and inorganic dusts, solvents, and pesticides. Since carcinogenesis is a multisequential process, reductions in exposures to carcinogens at the workplace are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ancer prevention in the workplace.
      New biologic markers of exposures and cancer-related outcomes need to be
      identified and integrated into epidemiologic studies. Because epidemiologic data
      regarding the carcinogenicity of many exposures are not available, research methods to evaluate and improve the predictive value of animal and in vitro systems must be develope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trends will require further research on occupational cancer risks and means of prev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업무상 질병의 정의
      • 1.직업병 기록
      • 2.산업재해의 정의
      • 3.직업성 암의 정의
      • Ⅱ.미국 주요 직업성 암의 역사
      • Ⅰ.업무상 질병의 정의
      • 1.직업병 기록
      • 2.산업재해의 정의
      • 3.직업성 암의 정의
      • Ⅱ.미국 주요 직업성 암의 역사
      • 1.Radium dial worker and cancer
      • 2.염료 공장과 방광암
      • 3.석면과 폐암
      • 4.비닐 클로라이드와 혈관육종(angiosarcoma)
      • 5.핵실험과 암
      • 6.고엽제와 암
      • 7.Mustard Gas (sulfur and nitrogen mustard, Lewsite)
      • Ⅲ.직업성 암의 통계
      • 1.산업재해의 통계
      • 2.암 통계
      • 3.직업성 암 통계
      • Ⅳ.국가적 예방 전략
      • Ⅴ.직업성 암에 대한 논란
      • 1.발암물질의 특정 부위 감수성
      • 2.건강근로자 효과(Health worker effect)
      • 3.전자기파와 암
      • 4.농약과 암(Pesticides and cancers)
      • 5.라돈과 암(Radon and cancers)
      • 6.걸프전 증후군과 암(Persian Gulf War and cancers)
      • Ⅵ.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