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가격과 거래량간의 동학적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서울시 25개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3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의 서울시 25개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실거래량을 이용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구성해 동학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결과, 매매 가격변동과 거래량 변동이 상호인과관계를 갖는 지역은 17개구, 매매가격이 거래량에 영향을 주는 지역은 5개구, 상호인과관계가 없는 지역은 3개구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대부분 매매가격 충격에 대해 매매가격이 크게 정(+)의 반응을 거래량은 부(-)의 반응을 보였고, 거래량 충격에 대해 거래량과 매매가격은 정(+)의 반응을 보이다 이후 0으로 수렴하였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매매가격과 거래량이 상호영향을 주는 지역의 경우는 거래량 변동의 설명력이 대부분 단기에서 장기로 가면서 증가하였으며, 상호영향을 주지 않는 지역은 거래량 변동 설명력이 타 지역에 비해 작았으며 단기에서 장기로 가면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매매가격 변동은 거래량 변동에 거래량 변동은 매매가격 변동에 상호인과관계가 있으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속적 정보가설이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정책 수립시 지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 집행을 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주택거래 활성화를 통한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경우 거래량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지만 이는 단기적인 영향에 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의 서울시 25개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실거래량을 이용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구성해 동학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결...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의 서울시 25개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실거래량을 이용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구성해 동학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결과, 매매 가격변동과 거래량 변동이 상호인과관계를 갖는 지역은 17개구, 매매가격이 거래량에 영향을 주는 지역은 5개구, 상호인과관계가 없는 지역은 3개구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대부분 매매가격 충격에 대해 매매가격이 크게 정(+)의 반응을 거래량은 부(-)의 반응을 보였고, 거래량 충격에 대해 거래량과 매매가격은 정(+)의 반응을 보이다 이후 0으로 수렴하였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매매가격과 거래량이 상호영향을 주는 지역의 경우는 거래량 변동의 설명력이 대부분 단기에서 장기로 가면서 증가하였으며, 상호영향을 주지 않는 지역은 거래량 변동 설명력이 타 지역에 비해 작았으며 단기에서 장기로 가면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매매가격 변동은 거래량 변동에 거래량 변동은 매매가격 변동에 상호인과관계가 있으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속적 정보가설이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정책 수립시 지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 집행을 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주택거래 활성화를 통한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경우 거래량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지만 이는 단기적인 영향에 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룡, "주택정책의 오해와 진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2 임재만,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토연구원 69 : 3-18, 2011

      3 전해정,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 서울 25개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 정주희, "주택가격과 거래량의 지역 간 인과관계 및 시・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9 (19): 177-203, 2011

      5 정홍일, "주택 거래량과 가격의 동조화 및 손실회피현상" 한국주택학회 20 (20): 77-101, 2012

      6 허윤경, "주택 거래량과 가격 간의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6 (16): 49-70, 2008

      7 이홍재, "금융경제 시계열분석" 경문사 2007

      8 송일호, "계량경제실증분석" 삼영사 2002

      9 Leung, C. K. Y., "What Drives the Property Price-Trading Volume Correlation? Evidence from a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31 : 241-255, 2005

      10 윤주현, "VAR모형 구축을 통한 토지 및 주택시장 전망연구" 국토연구원 2001

      1 박재룡, "주택정책의 오해와 진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2 임재만,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토연구원 69 : 3-18, 2011

      3 전해정,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 서울 25개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 정주희, "주택가격과 거래량의 지역 간 인과관계 및 시・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9 (19): 177-203, 2011

      5 정홍일, "주택 거래량과 가격의 동조화 및 손실회피현상" 한국주택학회 20 (20): 77-101, 2012

      6 허윤경, "주택 거래량과 가격 간의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6 (16): 49-70, 2008

      7 이홍재, "금융경제 시계열분석" 경문사 2007

      8 송일호, "계량경제실증분석" 삼영사 2002

      9 Leung, C. K. Y., "What Drives the Property Price-Trading Volume Correlation? Evidence from a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31 : 241-255, 2005

      10 윤주현, "VAR모형 구축을 통한 토지 및 주택시장 전망연구" 국토연구원 2001

      11 Bekovec, James A, "Turnover as a Measure of Demand for Existing Homes" 24 : 421-440, 1996

      12 Chen, Gong-meng,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Stock Returms, Trading Volume, and Volatility" 38 : 153-174,

      13 Anderson, T., "Return Volatility and Trading Volume: An Information Flow Interpretation of Stochastic Volatility" 51 (51): 169-204, 1996

      14 Stein, C. J.,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the Housing Market: a Model with Down-payment Effects" 110 : 379-406, 1995

      15 Clayton, J., "Price-volume Correlation in the Housing Market: Causality and Co-movements" 40 : 14-40, 2010

      16 Englehardt, G. V., "Nominal Loss Aversion, Housing Equity Constrains, and Household Mobility: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53 : 171-195, 2003

      17 Christopher A. Slims, "Money, Income, and Causality" 62 : 540-552, 1972

      18 Clive W. J. Granger.,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 by Econometric Models and Cross-Spectral Methods" 37 (37): 424-438, 1969

      19 Song Shi, "House price-volume dynamics : Evidence from12 cities in New Zealand" 32 (32): 75-98, 2010

      20 Gensove, D., "Equity and Time to Sale in the Real Estate Market" 87 : 255-269, 1997

      21 Jennings, R., "An Equilibrium Model of Asset trading with Sequential Imformation Arrival" 36 (36): 143-161, 1981

      22 Clark, P. K., "A Subordinate Stochastic Process Model with Finite Variance for Speculative Prices" 41 (41): 135-155, 1973

      23 Copeland, T., "A Model of Asset Trading Under the Assumption of Sequential Information Arrival" 31 (31): 1149-1168,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5 0.73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