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rall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newly established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or reservedly rather than positively to the questions which ask whether integration will be successful. As f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utonomous high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tents were both high. Nevertheless, teacher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ere more likely than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Fourth,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consider linking with university education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need to link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Fifth, many teachers answered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would affect both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tha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linked to university education.
      Finally,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also affect college education, which they recognized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major education than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universi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 velop policies for link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29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0점 수준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3.86점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두 제도의 정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교사가 문·이과 통합의 경우 64.9%, 고교학점제의 경우 7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성과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교사들은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을 고려하여 교육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 가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는 다수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개혁에서 두 가지 제도가 가져올 영향력에 유의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학문적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희,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39-63, 2015

      2 이미미,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4개 대학 교양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5-307, 2014

      3 김대석,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교육연구소 12 (12): 55-73, 2011

      4 이시우, "대학과 고등학교의 연계를 통한 미래인재 육성" 175 : 122-126, 2012

      5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2017

      6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성과발표회"

      7 이광우, "고교학점제 실행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43-567, 2018

      8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41 : 77-144, 2018

      9 김상유, "고교-대학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 인식조사" 4 : 207-227, 2015

      10 황규호,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71-92, 2018

      1 최정희,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39-63, 2015

      2 이미미,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4개 대학 교양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5-307, 2014

      3 김대석,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교육연구소 12 (12): 55-73, 2011

      4 이시우, "대학과 고등학교의 연계를 통한 미래인재 육성" 175 : 122-126, 2012

      5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2017

      6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성과발표회"

      7 이광우, "고교학점제 실행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43-567, 2018

      8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41 : 77-144, 2018

      9 김상유, "고교-대학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 인식조사" 4 : 207-227, 2015

      10 황규호,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71-92, 2018

      11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12 교육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