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사회와 ‘불교의 부재’ = Early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and “Absence of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the reason why Buddhism did not prosper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absence of Buddhism” observed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society can be accounted for the following two elements: First of all, Christianity was a nationalist religion for Korean immigrants that made them recognize as “Koreans.” Secondly, converting of Koreans to Christianity contributed to adopting the life style and culture of Americans. The majority of Korean migrants to Hawaii were urban young refugees who had strong consciousness as settlers. They read the “Americanizing” as “Christianizing.”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bsence of Buddhism” in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is a result of the identity of “Koreans” as the anti-Japanese nationalist and the consciousness of settlers in USA. The study gives special attention to Do, Jinho, who had arrived in Hawaii with clear goal of Buddhist missionary work, but failed to do anything. The fundamental background for his converting to Christianity is to be found in the religious nationalism led by Christianity prevailing the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번역하기

      This study researches the reason why Buddhism did not prosper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absence of Buddhism” observed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society can be accounted for the following two elements: First of all, Ch...

      This study researches the reason why Buddhism did not prosper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absence of Buddhism” observed in the early Hawaiian Korean society can be accounted for the following two elements: First of all, Christianity was a nationalist religion for Korean immigrants that made them recognize as “Koreans.” Secondly, converting of Koreans to Christianity contributed to adopting the life style and culture of Americans. The majority of Korean migrants to Hawaii were urban young refugees who had strong consciousness as settlers. They read the “Americanizing” as “Christianizing.”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bsence of Buddhism” in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is a result of the identity of “Koreans” as the anti-Japanese nationalist and the consciousness of settlers in USA. The study gives special attention to Do, Jinho, who had arrived in Hawaii with clear goal of Buddhist missionary work, but failed to do anything. The fundamental background for his converting to Christianity is to be found in the religious nationalism led by Christianity prevailing the Hawaiian Korean immigrant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기 하와이 한인사회에서 관찰된 ‘불교의 부재’는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설명된다. 우선 기독교는 모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상황에서 한인들에게 ‘한국인’임을느끼게 한 민족주의적 종교였다는 점이다. 그에 반해 불교는 일본인의 민족종교로인식되었다. 이와 동시에 한인의 기독교 수용은 새로운 이민지에서의 생활양식과문화를 수용하고 미국인들의 우호적인 관심을 끄는데 일조했다. 하와이로 이주한한인들은 농촌 출신의 일본 이민자들과는 달리 대체로 도시에서 삶을 영위하던젊은 피난민들로 정착민으로서 의식이 강하게 작동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미국은앞으로 자신은 물론 후손대대가 살아가야 할 생활 근거지였던 것이다. 그리하여‘미국화’는 ‘기독교화’로 읽혀졌다. 본 연구는 하와이 한인 이민사회에서 ‘불교의 부재’ 는 그들이 낯선 하와이 땅에서 반일 민족주의자로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보하게하고 아울러 미국에 정주하려는 정착민으로서의 의식이 낳은 결과임을 강조한다. 본 연구가 주목한 도진호는 불교 포교라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입국했음에도 불교포교사로서의 활동을 전혀 수행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당시 하와이 한인사회에팽배해 있던 기독교 중심의 종교적 민족주의에서 그의 개종이 진행된 근본적 배경을찾았다.
      번역하기

      초기 하와이 한인사회에서 관찰된 ‘불교의 부재’는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설명된다. 우선 기독교는 모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상황에서 한인들에게 ‘한국인’임을느끼게 한 민족주의...

      초기 하와이 한인사회에서 관찰된 ‘불교의 부재’는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설명된다. 우선 기독교는 모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상황에서 한인들에게 ‘한국인’임을느끼게 한 민족주의적 종교였다는 점이다. 그에 반해 불교는 일본인의 민족종교로인식되었다. 이와 동시에 한인의 기독교 수용은 새로운 이민지에서의 생활양식과문화를 수용하고 미국인들의 우호적인 관심을 끄는데 일조했다. 하와이로 이주한한인들은 농촌 출신의 일본 이민자들과는 달리 대체로 도시에서 삶을 영위하던젊은 피난민들로 정착민으로서 의식이 강하게 작동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미국은앞으로 자신은 물론 후손대대가 살아가야 할 생활 근거지였던 것이다. 그리하여‘미국화’는 ‘기독교화’로 읽혀졌다. 본 연구는 하와이 한인 이민사회에서 ‘불교의 부재’ 는 그들이 낯선 하와이 땅에서 반일 민족주의자로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보하게하고 아울러 미국에 정주하려는 정착민으로서의 의식이 낳은 결과임을 강조한다. 본 연구가 주목한 도진호는 불교 포교라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입국했음에도 불교포교사로서의 활동을 전혀 수행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당시 하와이 한인사회에팽배해 있던 기독교 중심의 종교적 민족주의에서 그의 개종이 진행된 근본적 배경을찾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구, "해방 이후 남한 개신교의 미국화 - 복음주의 우파의 신앙 수용을 중심으로" 78 : 4-11, 2007

      2 이덕희, "한인기독교회 한인기독학원 대한인동지회"

      3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5

      4 이만열, "한국 기독교와 미국의 영향. 한국과 미국3 : 사회문화관계"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425-476, 1988

      5 김광식, "한국 근대 불교사 연구" 민족사 1996

      6 유동식, "하와이의 한인과 교회: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백년사" 한들출판사 2006

      7 패터슨. 웨인, "하와이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 (1903-1973)" 들녁 2003

      8 이영호, "하와이 이민과 인천. 근대의 이민과 인천" 2004

      9 이선주, "하와이 이민 초창기 한인들의 감정 구조" 한국학연구소 (31) : 33-79, 2013

      10 김원용, "재미한인오십년사" 혜안 2004

      1 이진구, "해방 이후 남한 개신교의 미국화 - 복음주의 우파의 신앙 수용을 중심으로" 78 : 4-11, 2007

      2 이덕희, "한인기독교회 한인기독학원 대한인동지회"

      3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5

      4 이만열, "한국 기독교와 미국의 영향. 한국과 미국3 : 사회문화관계"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425-476, 1988

      5 김광식, "한국 근대 불교사 연구" 민족사 1996

      6 유동식, "하와이의 한인과 교회: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백년사" 한들출판사 2006

      7 패터슨. 웨인, "하와이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 (1903-1973)" 들녁 2003

      8 이영호, "하와이 이민과 인천. 근대의 이민과 인천" 2004

      9 이선주, "하와이 이민 초창기 한인들의 감정 구조" 한국학연구소 (31) : 33-79, 2013

      10 김원용, "재미한인오십년사" 혜안 2004

      11 박규환, "일제강점기 개신교 설교에 나타난 기독교 신앙과 민족ㆍ국가의식"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9) : 251-280, 2013

      12 카시와하라 유센, "일본불교사 근대"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13 윤기엽, "일본 近代佛敎의 北美지역 布敎" 한국사상문화학회 (48) : 411-437, 2009

      14 패터슨. 웨인, "아메리카로 가는 길: 한인 하와이 이민사, 1896-1910" 들녁 2002

      15 "불교 79"

      16 이덕희, "미주 한인의민족운동" 혜안 193-226, 2003

      17 성원,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와 과제" 65 : 2016

      18 이민용, "미국 속의 불교와 불교의 미국화" 2 : 105-140, 2002

      19 "금강저 20"

      20 "금강저 19"

      21 車培根, "布哇韓僑新聞史略攷" 13 : 55-82, 1980

      22 홍선표,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Dongji-Hoi before Korea’s liberation and its independence movement"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null (null): 417-463, 2009

      23 JongJin Kim, "The Subject of Literature Field and It’s Realization in Literary Works in Bulgyo magazine in the 1930’s - Focusing on the editors and reporters -"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48 (48): 31-63, 2016

      24 Van Zile, Judy, "The Public Face of Korean Dance in Hawai‘i: A Story of Three Wome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2

      25 신치호, "The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the Social Aspect of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Focused on the Filed Document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from 1928 to 1931" 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null (null): 237-263, 2010

      26 Kim, Bernice B. H., "The Koreans in Hawaii" University of Hawaii 1937

      27 Yu, Chae-Kun, "The Korean diaspora: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of Korean immigration and assimilation in North America" ABC-Clio 1977

      28 Cox, Oliver Cromwell, "Race Prejudice, Class Conflict, and Nationalism" 4 (4): 169-182, 2011

      29 Yoo, David K., "Nurturing Religious Nationalism: Korean Americans in Hawaii"

      30 Samu Sunim, "North America Korean Americans and Their Religions:Pilgrims and Missionaries from a Different Shor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1

      31 Choy, Bong-youn, "Koreans in America" Nelson Hall 1979

      32 Dolan, T, "Korean Ethnic Identity in the United States 1900-1945" 5 (5): 73-86, 2011

      33 Ama, Michihiro, "Immigrants to the Pure Land: The Acculturation of Shin Buddhism in Hawaii and North America, 1898-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2007

      34 Lind, Andrew W., "Hawaii’s People"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80

      35 Yu, K. Kale, "Hawaiian Connectionalism: Methodist Missionaries, Hawaii Mission, and Korean Ethnic Churches" 50 (50): 3-15, 2011

      36 Choi, Anne Soon, "Hawaii Has Been My America: Generation, Gender, and Korean Immigrant Experience in Hawai'i Before World War II" 45 (45): 139-155, 2004

      37 조은정, "19세기 말∼20세기 초 하와이 이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 0.71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