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기쁨, "핵에너지의 공포와 매혹: 한국인의 핵 경험과 기억의 정치" 종교문화비평학회 28 (28): 23-80, 2015
2 이순기, "합천에서 자라기 시작한 히로시마 평화의 나무" 57 : 197-248, 2007
3 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 "합천군 원자폭탄 피해자 구술증언 조사사업 결과보고서" 합천군 2017
4 김광열, "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 1910-1940년대" 논형 2010
5 이지영, "한인원폭피해자문제 관련 연구와 자료현황" 12 : 229-246, 2012
6 허광무,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제연구의 문제점" 한일민족문제학회 (6) : 93-122, 2004
7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인 원폭피해자 실태조사 보고서" 1984
8 곽귀훈, "한국인 원폭 피해자의 수난과 승리" 50 : 8-19, 2006
9 이치바 준코, "한국의 히로시마" 역사비평사 2003
10 박성실, "한국원폭피해자의 사회적 고통, 그 구성과 대물림 : 원폭2세 환우 가족을중심으로" 성공회대 2015
1 유기쁨, "핵에너지의 공포와 매혹: 한국인의 핵 경험과 기억의 정치" 종교문화비평학회 28 (28): 23-80, 2015
2 이순기, "합천에서 자라기 시작한 히로시마 평화의 나무" 57 : 197-248, 2007
3 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 "합천군 원자폭탄 피해자 구술증언 조사사업 결과보고서" 합천군 2017
4 김광열, "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 1910-1940년대" 논형 2010
5 이지영, "한인원폭피해자문제 관련 연구와 자료현황" 12 : 229-246, 2012
6 허광무,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제연구의 문제점" 한일민족문제학회 (6) : 93-122, 2004
7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인 원폭피해자 실태조사 보고서" 1984
8 곽귀훈, "한국인 원폭 피해자의 수난과 승리" 50 : 8-19, 2006
9 이치바 준코, "한국의 히로시마" 역사비평사 2003
10 박성실, "한국원폭피해자의 사회적 고통, 그 구성과 대물림 : 원폭2세 환우 가족을중심으로" 성공회대 2015
11 이우정, "한국원폭피해자 실태보고"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75
12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한국원폭피해자 65년사"
13 오은정, "한국 원폭피해자의 일본 히바쿠샤(被爆者) 되기 : 피폭자 범주의 경계 설정과 통제에서 과학·정치·관료제의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4 이지영, "한·일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 연대와 균열"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2) : 45-74, 2017
15 이영남,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한 젊은 역사가의 사색노트" 푸른역사 2008
16 강제숙, "태평양전쟁시기 원폭피해자 문제와 한일시민연대" 13 : 219-259, 2014
17 박경섭, "조선인원폭피해자와 초국적 시민권" 13 : 153-166, 2009
18 이상화, "재한 원폭피해자 생활과 남아 있는 보상문제" 7 : 192-210, 1995
19 이현정, "세월호 참사와 사회적 고통: 표상, 경험, 개입에 관하여" 한국보건사회학회 (43) : 63-83, 2016
20 이치바 준코, "삼중고를 겪어온 한국인 원폭피해자들" 49 : 153-218, 1999
21 전진성,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 : 원폭2세 환우 김형률 평전" 휴머니스트 2008
22 아서 클라인만, "사회적 고통" 그린비 2002
23 김형률, "나는 反核人權에 목숨을 걸었다 : 반핵인권운동에 목숨을 바친 원폭2세故 김형률 유고집" 행복한책읽기 2016
24 황동남, "나가사키(長崎)에 살고있는 원폭피해 한인들" 7 : 132-142, 2000
25 한국교회여성연합회, "그날 이후 : 한국인 원폭피해자들에 대한 기록"
26 폴 파머, "권력의 병리학" 65-94, 2009
27 오은정, "관료제적 문서주의 속에서 기록과 기억: 한국 원폭피해자의 일본 피폭자건강수첩 취득 과정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7 (47): 159-199, 2014
28 김명희, "고통의 의료화: 세월호 트라우마 담론에 대한 실재론적 검토" 한국보건사회학회 (38) : 225-245, 2015
29 정근식, "고통의 역사 : 원폭의기억과 증언" 선인 2005
30 진주, "고통의 역사 : 원폭의 기억과 증언" 선인 2005
31 허광무, "戰時期 朝鮮人 勞務者 强制動員과 原爆被害 -히로시마·나가사키의 地域的 特徵을 中心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20) : 5-55, 2011
32 Hae jeong Yu, "Vagabond Institution and Social Pain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victim survivors" Institute of Korean Democracy (IKD) 39 : 387-436, 2018
33 Won Kim, "Stow away, Border and Nationality - In focus of Sohn-Jindu Accident" Korean Studies Institute 62 : 245-304, 2017
34 윤충로, "Routinization of Military Activities and Reconstruction of Suffering-Focus on the Maehyang-ri Case"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null (null): 14-46, 2014
35 Kleinman, A., "Everything That Really Matters : Social Suffering, Subjectivity, and the Remaking of Human Experience in a Disordering World" 90 (90): 315-336,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