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교과교육학적 관점에서, 정부가 내놓은 교사 임용 제도와 그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교원 양성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행 교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087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80(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과교육학적 관점에서, 정부가 내놓은 교사 임용 제도와 그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교원 양성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행 교사 ...
본 논문은 교과교육학적 관점에서, 정부가 내놓은 교사 임용 제도와 그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교원 양성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행 교사 임용 시험의 실태와 그것의 문제점, 그리고 현행 교사 양성 과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임용 시험의 실태와 문제점에서는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의 학보 문제, 평가 방법의 적절성 문제, 학교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 기능의 유도 문제를 언급하였다. 그리고 현행 교사 양성 과정의 실태와 문제점에서는 양성 인원의 적정화 문제, 양성 과정의 전문화 문제, 양성 과정의 특성화 문제를 논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의 근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적 관점에서의 비판 및 제안을 전개하였다. 교과교육학적 관점은 교과의 전문성, 교사의 전문성, 사범대학의 존재 가치를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조속한 정립이 필요하며, 그러한 논리에 의하면 개정된 임용 시험 제도나 제안된 양성 과정이 몇 가지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우선, 교원 양성 과정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전공 영역 이수 학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견해를 피력하였고, 전공 이수 기준 내용에 대해서도 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재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과목 명칭과 관련하여 사범대학의 특성에 맞는 명칭과 교육 과정을 고려한 과목 개설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임용 시험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시험 과목과 관련하여 향후 양성 과정과 교육 과정을 반영한 과목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과목을 예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new improvement device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 teacher edu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edagogy of moral subject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discussed the practices and prob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new improvement device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 teacher edu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edagogy of moral subject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discussed the practices and problems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 teacher education system. First of all, in the practices and problems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we analyzed the recruit device of high qualified teacher,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method, the upheaval device of school education quality. Second, in the practices and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system,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reliability of teacher education quantity, the special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characterization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we proposed some points about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 teacher edu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edagogy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we argu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re to fulfil the more credits of moral subject education part. Second, the ratio of moral subject education are to be heightened in the major part. Third, The subjects are to fit the character of moral subject education. And, in th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we argued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subjects are to be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econd, we propose some examples of moral subjects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evalu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무, "현행 중등 도덕.윤리교사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13) : 141-164, 2007
2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11
3 박병기,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의 적절성" 한국윤리교육학회 (13) : 165-184, 2007
4 남영만, "임용고사 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7 (7): 1996
5 김태훈, "도덕윤리과 교사 임용 제도 및 교사 양성 체제의 개선 방안에 대한 논평1"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7
6 이영경, "도덕윤리 교사 양성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7 윤정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양성 체제의 발전 방향" 19 (19): 2002
8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육정책 개선 방안"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2006.8
9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 교육인적자원부 2007.10.1
10 신상명,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69-90, 2002
1 이경무, "현행 중등 도덕.윤리교사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13) : 141-164, 2007
2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11
3 박병기, "중등 도덕.윤리 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의 적절성" 한국윤리교육학회 (13) : 165-184, 2007
4 남영만, "임용고사 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7 (7): 1996
5 김태훈, "도덕윤리과 교사 임용 제도 및 교사 양성 체제의 개선 방안에 대한 논평1"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7
6 이영경, "도덕윤리 교사 양성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7 윤정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양성 체제의 발전 방향" 19 (19): 2002
8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육정책 개선 방안"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2006.8
9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 교육인적자원부 2007.10.1
10 신상명,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69-90, 2002
11 조동섭,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와 발전방안 검토"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499-516, 2004
12 정태범, "“중등교원양성 제도의 개선 방향” 중등교육연구" 6 : 1994
도덕교육에서 도덕신학의 정초와 도덕과 종교 관련 내용의 집필방향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적 인간과 도덕적 시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