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도덕신학의 정초와 도덕과 종교 관련 내용의 집필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종교 영역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종교의 순기능은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종교가 지닌 역기능은 도덕교육과의 관계에서 해결해야 할 난점이다. 도덕신학의 정초는 도덕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종교 영역의 논의에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도덕신학은 도덕의 관점에서 초감성적인 존재(신)의 문제를 이성의 한계 내에서 논의한다. 소크라테스의 도덕신학이 신의 명령과 반성적 사유를 결합하고 있다면, 칸트의 도덕신학은 도덕의 완성, 즉 도덕성과 행복의 일치를 위해 영혼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한다. 도덕신학은 종교 영역의 확신을 인식론적 차원이 아니라 실천이성의 믿음의 차원에서 다루며, 열린 대화와 다양한 신앙의 공존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아울러 도덕신학은 도덕과 개정교육과정(2007)의 내용체계 중 도덕적 주체와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다루거나 종교 관련 내용을 집필할 때, 종교 간 갈등 문제나 종교 간 관용 및 대화․협력, 건전한 종교의 기준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종교 영역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종교의 순기능은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종교가 지닌 역기능은 도덕교육과의 관계에서 해결해야 할...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종교 영역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종교의 순기능은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종교가 지닌 역기능은 도덕교육과의 관계에서 해결해야 할 난점이다. 도덕신학의 정초는 도덕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종교 영역의 논의에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도덕신학은 도덕의 관점에서 초감성적인 존재(신)의 문제를 이성의 한계 내에서 논의한다. 소크라테스의 도덕신학이 신의 명령과 반성적 사유를 결합하고 있다면, 칸트의 도덕신학은 도덕의 완성, 즉 도덕성과 행복의 일치를 위해 영혼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한다. 도덕신학은 종교 영역의 확신을 인식론적 차원이 아니라 실천이성의 믿음의 차원에서 다루며, 열린 대화와 다양한 신앙의 공존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아울러 도덕신학은 도덕과 개정교육과정(2007)의 내용체계 중 도덕적 주체와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다루거나 종교 관련 내용을 집필할 때, 종교 간 갈등 문제나 종교 간 관용 및 대화․협력, 건전한 종교의 기준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about the function and place of religious contents in moral education. Although the positive functions of religion give such a significance to moral education, there is a big problem by negative functions of religion. In this context, it is requested to found moral theology with a view to raising the effect of moral education through religion-related subjects. Moral theology refers to supernatural beings such as God within the limit of reason in moral perspective. Just as Socrates' moral theology has the unity of divine command and reflective thinking, so Kant's postulate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well as the existence of God in order to pursue the highest good which can be represented not only as perfect virtue, but also as happiness proportional virtue. Moral theology is a kind of belief based on practical reason, not on theoretical reason. And it can pave the way to open dialogue and symbiosis between the believers of various faiths. Moral theology is abl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natural and me or in writing religion-related contents of moral textbook in the revision of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2007). Especially, it can be useful not only for solving religious conflicts or presenting the ground of tolerance & cooperation between religions, but also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sound religion.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about the function and place of religious contents in moral education. Although the positive functions of religion give such a significance to moral education, there is a big problem by negative functions of religi...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about the function and place of religious contents in moral education. Although the positive functions of religion give such a significance to moral education, there is a big problem by negative functions of religion. In this context, it is requested to found moral theology with a view to raising the effect of moral education through religion-related subjects. Moral theology refers to supernatural beings such as God within the limit of reason in moral perspective. Just as Socrates' moral theology has the unity of divine command and reflective thinking, so Kant's postulate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well as the existence of God in order to pursue the highest good which can be represented not only as perfect virtue, but also as happiness proportional virtue. Moral theology is a kind of belief based on practical reason, not on theoretical reason. And it can pave the way to open dialogue and symbiosis between the believers of various faiths. Moral theology is abl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natural and me or in writing religion-related contents of moral textbook in the revision of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2007). Especially, it can be useful not only for solving religious conflicts or presenting the ground of tolerance & cooperation between religions, but also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sound reli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arroll J. M, "피흘린 발자취" 말씀보존학회 1997

      2 Plato, "플라톤의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울: 서광사 2003

      3 박찬구, "칸트의 인격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4 윤영돈, "칸트의 윤리학과 미학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인간학적 탐구" 한국윤리학회 (64) : 2007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3" 서울: (주)지학사 2006b

      6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2" 서울: (주)지학사 2006a

      7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a

      8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 교과서 집필 기준" 교육인적자원부 2007.8

      9 J, "종교철학의 체계적 이해" 1994

      10 최병학, "종교윤리교육, 폐쇄적 독선주의에서 화쟁의 미학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10) : 179-206, 2006

      1 Carroll J. M, "피흘린 발자취" 말씀보존학회 1997

      2 Plato, "플라톤의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울: 서광사 2003

      3 박찬구, "칸트의 인격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4 윤영돈, "칸트의 윤리학과 미학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인간학적 탐구" 한국윤리학회 (64) : 2007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3" 서울: (주)지학사 2006b

      6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2" 서울: (주)지학사 2006a

      7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a

      8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도덕 교과서 집필 기준" 교육인적자원부 2007.8

      9 J, "종교철학의 체계적 이해" 1994

      10 최병학, "종교윤리교육, 폐쇄적 독선주의에서 화쟁의 미학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10) : 179-206, 2006

      11 Eliade M, "종교 형태론" 서울: 한길사 2002

      12 Fromm, "정신분석과 종교" 1960

      13 Hospers J, "인간행위의 탐구: 현대 윤리학의 제문제" 서울: 지성의 샘 1996

      14 진교훈, "융 심리학의 인간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사범대학 66집 : 2003

      15 교육인적자원부, "윤리와 사상" 서울: (주)지학사 2006c

      16 윤영돈,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시민불복종" 한국윤리교육학회 (4) : 95-114, 2003

      17 김성호 역, "서양윤리학사" 서울: 서광사 2005

      18 M, "사람과 사람 사이" 1979

      19 Nietzsche F. W, "비극의 탄생" 서울: 책세상 2005

      20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4

      21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안 토론회" 교육인적자원부 2006.12

      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12

      23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도덕과 교과서 집필 기준안 9개 학?단체합동토론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4.28

      25 황경식, "대화와 관용" 철학과현실사 1995

      26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도덕" 서울: (주)지학사 2005

      27 황필호, "“소크라테스는 과연 궤변론자인가? 에 대한 비판적 고찰”" 1985

      28 이삼열, "“마틴 부버에서 본 대화의 철학” 대화의 철학" 1992

      29 Scientia Verlag Aalen, "trans. by F. Susemihl" 1978

      30 Amstutz Mark R, "The Ethics of Force" Lanham & Oxfor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9

      31 Plato, "The Collected Dialogues of Plato"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32 Vlastos Gregory, "Socratic P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3 Kant I Kant Werke in zehn W?nden W. Weischedel(Hg.), "Prolegomena zu einer jeden k?nftigen Metaphysik, die als Wissenschaft wird auftreten k?nnen (바이셰델판 5권)" 1983

      34 정진홍, "M. 엘리아데 종교와 신화" 서울: 살림 2003

      35 Kant I Kant Werke in zehn W?nden W. Weischedel(Hg.), "Kritik der reinen Vernunft (바이셰델판 3-4권)" 1983

      36 Kant I Kant Werke in zehn W?nden W. Weischedel(Hg.),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바이셰델판 6권)" 1983

      37 Kant I Kant Werke in zehn W?nden W. Weischedel(Hg.),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바이셰델판 6권)" 1983

      38 Kant I Kant Werke in zehn W?nden W. Weischedel(Hg.), "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βen Vernunft (바이셰델판 7권)" 1983

      39 Damon W, "Bringing in a New Era in Character Education" California: Hoover Institution Press 2002

      40 O′Neill, "A Companion to Ethics" Basil Blackwell. o (o):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