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별 및 혼인 여부에 따른 시간, 비용, 동반자의 여가만족 영향력 비교 =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Time, Expenditure, and Companions on Leisure Satisfaction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7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3년 국민여가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 및 혼인 여부에 따른 네 가지의 인구집단(미혼남성, 미혼여성, 기혼남성, 기혼여성)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시간 관련 변인(평일/휴일 여가시간, 여가시간 충분도 및 자유도,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경제적 자원 관련 변인(여가 지출액 및 충분도), 동반자 관련 변인(동호회 참여 여부 및 여가 동반자 제약)을 중심으로 빈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영향을미칠 수 있는 연령, 동거인(자녀) 수, 교육수준, 거주지 규모, 평균 근로시간 등의영향력은 통제한 후,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평일 여가시간 충분도, 여가활동 월평균 지출액, 여가비의 충분도, 동호회 참여는 모든 집단에서 여가만족에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평일 여가시간 자유도는 미혼남성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 휴일 여가시간 충분도는 미혼 여성을 제외한 집단에서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기혼 집단에서는 주 평균 근무시간이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혼 집단에서는 휴일 여가시간 자유도가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기기 이용 시간은 기혼 남성에서만 유의하였으며, 평일에는 긍정적 영향을, 휴일에는 여가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성별과 혼인상태에 따라시간, 경제, 동반자 관련 변인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보여주며, 따라서 이러한 집단별 특성에 따라 여가정책 및 제도적 방안이 논의되고 마련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3년 국민여가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 및 혼인 여부에 따른 네 가지의 인구집단(미혼남성, 미혼여성, 기혼남성, 기혼여성)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

      본 연구는 2023년 국민여가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 및 혼인 여부에 따른 네 가지의 인구집단(미혼남성, 미혼여성, 기혼남성, 기혼여성)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시간 관련 변인(평일/휴일 여가시간, 여가시간 충분도 및 자유도,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경제적 자원 관련 변인(여가 지출액 및 충분도), 동반자 관련 변인(동호회 참여 여부 및 여가 동반자 제약)을 중심으로 빈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영향을미칠 수 있는 연령, 동거인(자녀) 수, 교육수준, 거주지 규모, 평균 근로시간 등의영향력은 통제한 후,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평일 여가시간 충분도, 여가활동 월평균 지출액, 여가비의 충분도, 동호회 참여는 모든 집단에서 여가만족에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평일 여가시간 자유도는 미혼남성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 휴일 여가시간 충분도는 미혼 여성을 제외한 집단에서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기혼 집단에서는 주 평균 근무시간이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혼 집단에서는 휴일 여가시간 자유도가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기기 이용 시간은 기혼 남성에서만 유의하였으며, 평일에는 긍정적 영향을, 휴일에는 여가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성별과 혼인상태에 따라시간, 경제, 동반자 관련 변인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보여주며, 따라서 이러한 집단별 특성에 따라 여가정책 및 제도적 방안이 논의되고 마련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leisure satisfaction across four demographic groups based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factors affecting leisure satisfaction included time-related variables (weekday/weekend leisure time, leisure time adequacy and freedom, and smart device usage time), economic resource-related variables (leisure expenditure and adequacy), and companion-related variables (club participation and constraints related to leisure companions). Frequenc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employ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leisure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such as age, number of cohabitants(children), education level, size of residential area, and average working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equacy of weekday leisure time, average monthly leisure expenditure, adequacy of leisure expenditure, and club participation were common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across all groups. However, the freedom of weekday leisure time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in all groups except unmarried men, while the adequacy of weekend leisure time affected leisure satisfaction in all groups except unmarried women. In married group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while in unmarried groups, the freedom of weekend leisure time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Smart device usage time was significant only for married men,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during weekdays and a negative effect during weekend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fluence of time, economic, and companion-related variables on leisure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develop leisure polici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leisure satisfaction across four demographic groups based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factors affecting leisure satisfaction included time-...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leisure satisfaction across four demographic groups based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factors affecting leisure satisfaction included time-related variables (weekday/weekend leisure time, leisure time adequacy and freedom, and smart device usage time), economic resource-related variables (leisure expenditure and adequacy), and companion-related variables (club participation and constraints related to leisure companions). Frequenc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employ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leisure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such as age, number of cohabitants(children), education level, size of residential area, and average working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equacy of weekday leisure time, average monthly leisure expenditure, adequacy of leisure expenditure, and club participation were common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across all groups. However, the freedom of weekday leisure time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in all groups except unmarried men, while the adequacy of weekend leisure time affected leisure satisfaction in all groups except unmarried women. In married group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while in unmarried groups, the freedom of weekend leisure time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Smart device usage time was significant only for married men,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during weekdays and a negative effect during weekend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fluence of time, economic, and companion-related variables on leisure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develop leisure polici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