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宋代 靜志寺塔 地宮의 佛舍利 再埋納과 莊嚴方式 硏究 = The Re-enshrinement Process of the Buddhist Reliquaries of Jingzhisi Pagoda in Northern So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1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9년 중국 河北省 定縣에서 출토된 宋代의 靜志寺塔 地宮에서는 방대한양의 사리장엄구와 공양구가 출토되었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탑이 창건된 北魏때부터 시작하여 10세기 후반...

      1969년 중국 河北省 定縣에서 출토된 宋代의 靜志寺塔 地宮에서는 방대한양의 사리장엄구와 공양구가 출토되었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탑이 창건된 北魏때부터 시작하여 10세기 후반에 地宮이 폐쇄될 때까지의 오랜 기간 동안 5차례에 걸쳐 매납된 것이다. 즉 정지사탑 지궁 출토품은 각 시대별 불사리장엄 방식의 변천과정과 그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진신사리의 공양과 함께 세워진 탑이 내내 같은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지만, 대부분의 탑들은 戰亂이나 火災, 불교 탄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훼손되어서 후대에 다시 세워지거나 보수된 경우가 많다. 이때 탑내의 사리장엄구는 이전의 奉安品을 함께 봉안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봉안품과 봉안방식이 추가되면서 이것이 더 중요시되었다. 이러한 불사리의 재매납과정에서 일어나는 장엄방식의 변화에 대한 자료는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예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도 어려운 편이었다. 그러나 정지사탑 지궁의 경우에는 北魏時代, 隋代, 唐代, 宋代에 걸쳐 불사리장엄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과정과 관련된 명문들이 사리장엄구와 함께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 논문에서는 정지사탑 지궁에서 출토된 각종 사리장엄구와 이들의 재매납 과정에 대해서, 기존에 공개된 명문자료 및 관련 유물의 재정리를 시도하였다. 현재까지의 자료에 의하면 정지사탑의 창건은 北魏 453년이었으며, 이후 수나라 606년에 재건되었다. 唐代에는 858년과 889년에 불사리의 공양과 탑의 재건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지궁이 닫힌 것은 北宋代 977년이었다. 이러한 재매납 과정에서, 앞 시대의 사리장엄구 양식이 뒷 시대의 사리장엄방식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한편 현존하는 지궁내 출토 유물과 벽화는 대부분이 송대 유물이며, 특히 定窯에서 만들어진 백자와 동전 등과 같은 중요한 유물들이 상당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송대의 지궁 재매납 과정을 기록한 지석에는 백자나 동전의 봉안 등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지석에 기록된 물건들의 목록과 실제로 봉안된 공양구의 물품 목록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유물들은 지궁에서 발견되는 지석 명문의 내용과 출토품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불사리 자체의 聖物로서의 속성은 여러 시대에 걸쳐 존숭되었기 때문에 불사리의 재매납은 중국 및 동아시아의 불교문화에서는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지사탑 출토품과 같이 역대의 재매납 과정을 자세히 검토할 수 있는 명문자료와 공반 유물이 함께 발견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정지사탑 출토 사리장엄구의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지사탑 지궁에서는 당대 후기 유물과 북송대 초기 유물들이 함께 발견되면서 명문을 통해 그 관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당대와 송대 미술의 영향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69, large amount of Buddhist Reliquaries and votive objects were found from the underground palace of Jingzhisi (靜志寺) Pagoda in Dingxian (定縣) of Hebei Province, China. These remains had been buried from the first construction time of th...

      In 1969, large amount of Buddhist Reliquaries and votive objects were found from the underground palace of Jingzhisi (靜志寺) Pagoda in Dingxian (定縣) of Hebei Province, China. These remains had been buried from the first construction time of the pagoda in Northern Wei to the last enshrinement of the underground palace in the late tenth century. This underground palace was reconstructed more than 4 times after the first construction of the pagoda. Therefore, these remains are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re-enshrinement processes of the Buddhist reliquaries in East Asia.
      In most cases, the external shape of a Chinese pagoda built for offering of the Buddha's bodily relic has changed because of a war, a fire or the suppression of Buddhism by a government. During the changes of a pagoda, the relic enshrinement had subsequently changed the style of burial, because people had opened the underground palace for adding the offerings of the Buddha's relics inside the pagoda. The older items or Buddhist reliquaries which had been buried in the underground palace before were re-enshrined there again when the pagoda was reconstructed with the addition of new items and new Buddhist reliquaries. However, the newly buried items were more important for the people who opened and refurnished the pagoda and the Buddhist reliquaries than the old items found from the pagoda except the Buddhist relic itself. These repeated processes of the relic enshrinement of a pagoda had not been studied yet, because of the lack of the materials which showed the full processes of a pagoda. This underground of Jingzhisi Pagoda is very important and interesting since the Buddhist reliquaries and their inscriptions found from Jingzhisi Pagoda show the Buddhist relic enshrinement process from the Northern Wei to Northern Song dynasty.
      Here I reexamined the Buddhist reliquaries and their re-enshrinement process of Jingzhisi Pagoda. According to the materials which are known to the present, Jingzhisi Pagoda was first constructed in 453 of Northern Wei, destroyed in the unknown time, then reconstructed in 606 under Sui dynasty. But this pagoda was also collapsed and reconstructed again in 858 under Tang dynasty, and refurnished in 889. This Tang pagoda was totally damaged again during the war between Liao and Northern Song, and reconstructed in 977 by the monk Zhaoguo (昭果) and the emperors of Northern Song. During the refurnishment of the Buddhist reliquaries, the older style of the reliquaries had influenced on the new reliquaries. Most of the remaining items from the underground palace of Jingzhisi Pagoda are made in Northern Song dynasty, which are included the wall paintings of Buddhist Nirvana Scene, white porcelains of Dingyao (定窯) and many copper coins of Song. But these things did not appear in the stone inscription officially written in 977 and buried in the underground palace. It means that the official record on the Buddhist relic enshrinement shows only the highlights according to their views, 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recorded in the inscription and those really founded from the site could be found. This is a very important and unforgettable view in understanding the buddhist reliquaries which had been re-enshrined at the same spot over times during its long history.
      The Buddha's relic itself was believed as a sacred object for a long time, the re-opening and re-enshrinement of the Buddhist reliquaries inside a pagoda have happened very often. The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the Jingzhisi Pagoda site show the process of re-enshrinement of the buddhist relic and reliquaries for a long time in a very good condition. This is a very rare case to show the process of the relic enshrinement from the Northern Wei to the Northern Song. Also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buddhist arts and materials found from Jingzhisi Pagoda show the stylis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late Tang art and the early Northern Song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정지사탑 지궁 출토유물의 연구 현황
      • Ⅲ. 정지사탑 지궁의 불사리 재매납 관련유물
      • Ⅳ. 정지사탑 지궁의 사리장엄방식의 변천 과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정지사탑 지궁 출토유물의 연구 현황
      • Ⅲ. 정지사탑 지궁의 불사리 재매납 관련유물
      • Ⅳ. 정지사탑 지궁의 사리장엄방식의 변천 과정
      • Ⅴ. 맺음말
      • 부록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沈陽市文物考古硏究所, "沈陽新民遼濱塔塔宮淸理簡報" 599 : 2006

      2 李輝柄, "論定窯燒瓷工藝的發展與歷史分期" 243 : 1987

      3 주경미, "탑형 사리장엄구 - 건축 이미지의 공예적 변용"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5) : 224-249, 2006

      4 周炅美,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2003

      5 이주형, "인도 초기불교미술의 佛像觀" 15 : 2001

      6 국립중앙박물관, "불국사 석가탑 유물 2 - 중수문서, 시티파트너"

      7 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국사 삼층석탑 묵서지편" 불교문화재연구소 2009

      8 주경미, "불교미술과 물질문화 - 물질성, 신성성, 의례"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7) : 38-65, 2008

      9 임지현,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10 李柱亨, "간다라 佛像과 舍利 奉安" 중앙아시아학회 9 : 129-159, 2004

      1 沈陽市文物考古硏究所, "沈陽新民遼濱塔塔宮淸理簡報" 599 : 2006

      2 李輝柄, "論定窯燒瓷工藝的發展與歷史分期" 243 : 1987

      3 주경미, "탑형 사리장엄구 - 건축 이미지의 공예적 변용"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5) : 224-249, 2006

      4 周炅美,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2003

      5 이주형, "인도 초기불교미술의 佛像觀" 15 : 2001

      6 국립중앙박물관, "불국사 석가탑 유물 2 - 중수문서, 시티파트너"

      7 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국사 삼층석탑 묵서지편" 불교문화재연구소 2009

      8 주경미, "불교미술과 물질문화 - 물질성, 신성성, 의례"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7) : 38-65, 2008

      9 임지현,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10 李柱亨, "간다라 佛像과 舍利 奉安" 중앙아시아학회 9 : 129-159, 2004

      11 "魏書"

      12 中野徹, "隋․唐の遺跡と工藝. in: 世界美術大全集 東洋編 第4卷 隋․唐" 小學館 1997

      13 李輝柄, "關于“官”, “新官”款白瓷産地問題的探討" 343 : 1984

      14 安家瑤, "試探中國近年出土的伊斯蘭玻璃器" 279 : 1990

      15 定縣博物館, "河北定縣發現兩座宋代塔基" 195 : 1972

      16 陈文增, "定窑硏究" 华文出版社 2003

      17 山﨑淑子, "定州靜志寺 ․ 淨衆院舍利塔塔基地宮の壁畵. in: 地下宮殿の遺宝" 出光美術館 1997

      18 河北省文物局, "定州文物藏珍-河北文物精華之三" 岭南美術出版社 2003

      19 宿白, "定州工藝與靜志, 淨衆兩塔地宮文物. in: 地下宮殿の遺宝" 出光美術館 1997

      20 金沢陽, "定州の佛塔と塔基地宮發掘の成果. in: 地下宮殿の遺宝" 出光美術館 1997

      21 "地下宮殿の遺宝" 出光美術館 1997

      22 주경미, "唐代 慶山寺 地宮 出土 佛舍利莊嚴의 新硏究" 중국사학회 (29) : 71-106, 2004

      23 孫彦平, "北宋鑿花舍利金棺" 40 : 1998

      24 주경미,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의 硏究" 중국사학회 (60) : 69-117, 2009

      25 "佛祖統紀"

      26 閔斗基, "中國史 時代區分論" 創作과 批評 1984

      27 鎌田茂雄, "中國佛敎史 3-南北朝의 佛敎(上)" 도서출판 장승 1996

      28 "中國の金銀ガラス展" 大阪市立博物館 1992

      29 眞道洋子, "ガラス器. in: 世界美術大全集․東洋編 第5卷 五代․北宋․遼․西夏" 小學館 1998

      30 Schopen, Gregory, "Collected Papers on the Archaeology, Epigraphy, and Text of Monastic Buddhism in Ind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 0.83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