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에서 컬러를 관리한다는 의미는 고객이 요구하는 컬러, 즉 교정 인쇄물과 실제 인쇄물이 얼마나 가깝게 재현될 수 있느냐이다. 특히 국내 디지털 인쇄에서 인쇄물의 컬러 관리(Color Manag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51387
부산 : 부경대학교, 2011
2011
한국어
586 판사항(5)
부산
A Study on Comparison Evaluation between Proof Test Prints and Domestic Offset Prints
30p : 삽화 ; 26cm
부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구철회
참고문헌 :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쇄에서 컬러를 관리한다는 의미는 고객이 요구하는 컬러, 즉 교정 인쇄물과 실제 인쇄물이 얼마나 가깝게 재현될 수 있느냐이다. 특히 국내 디지털 인쇄에서 인쇄물의 컬러 관리(Color Manage...
인쇄에서 컬러를 관리한다는 의미는 고객이 요구하는 컬러, 즉 교정 인쇄물과 실제 인쇄물이 얼마나 가깝게 재현될 수 있느냐이다. 특히 국내 디지털 인쇄에서 인쇄물의 컬러 관리(Color Management)는 다른 인쇄 방식보다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인쇄 시에 장치 프로파일(Device Profile)의 적용은 장치적인 특성에 따라 재현할 수 있는 컬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인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입력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스캐너(Scanner)가 있으며, 출력 장치로는 모니터(Monitor), 교정용 프린터(Proof), CTP, 인쇄기 등이 있으며 이들 장치는 모두 다른 색역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장치적인 특성에 따른 인쇄물의 객관적인 이미지 분석 방법으로는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에서 제안된 색변환 규격이 ISO 표준 규격이 사용되어진다.1∼2)
장치 특성에 따른 교정 인쇄물이 오프셋 인쇄물의 색과 일치되기 위해서는 ISO 12647 표준 규격에 맞는 피인쇄체(Substrate), 잉크, 허용 오차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국내 인쇄 회사들은 ISO 규격에 맞추기보다는 좀 더 경제적인 방법을 택하고 있고, 표준 규격의 인쇄물 보다는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통한 색재현을 하고 있어, 교정 인쇄물의 재현에 있어 실제 인쇄물과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교정 인쇄물에서 재현된 컬러와 인쇄물에서 재현된 컬러의 차이를 육안으로도 직접 확인됨으로써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인쇄 현장에서 동일한 데이터로 제작되고 있는 교정 인쇄물과 오프셋 인쇄물을 규격화된 객관적인 컬러 데이터 분석과 시각적인 특성을 이용한 주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 평가함으로써 장치적인 특성에 의하여 나타나는 색차를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한 방법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정 인쇄시 사용하는 종이의 특성이 오프셋 인쇄물과의 비교 평가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 올바른 교정 용지의 선택을 확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