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문화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5종의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문화 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48433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실용영어교육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4.74 판사항(6)
420.71 판사항(23)
부산
x, 94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동규
권말부록: 학생용 설문지 ; 교사용 문화 지도 관련 설문지
참고문헌: p. 85-8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문화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5종의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문화 내...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문화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5종의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문화 내용을 소재별, 유형별, 교수 ‧ 학습 활동 유형별, 배경별로 분석하고, 초등 영어 교사들과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과서의 문화 코너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 소재, 유형, 배경, 교수 ․ 학습 활동이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가?
둘째, 교사와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은 어떠한가?
셋째, 영어 교과서의 문화 코너에서 보완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검정교과서 5종의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있는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교사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과 영어를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 B, C, D, E 5종의 영어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A, B, E는 매 단원 뒤에 문화 코너가 있고, 문화 코너의 개수는 각각 14개, 13개, 13개였다. 교과서 D는 매 2단원 뒤에, C는 2~3단원 뒤에 문화 코너가 있으며 문화 코너의 개수는 공통적으로 6개였다. 문화 코너의 분량은 A, B, C, D, E 각각 1쪽, 1/2쪽, 1/3쪽, 1/2쪽, 1/2쪽으로 1쪽을 넘어가는 교과서는 없었다. 이처럼, 문화 코너가 차지하는 비중 분석을 통해 각 교과서에서 문화 교육을 전담하는 차시의 비중이 적고 언어기능 학습에 부수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내의 문화 내용을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언어 소재로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소재는 ‘8.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62.5%의 비율을 보였다.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것은 ‘9.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에 관한 것으로 전체 소재의 21.2%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7. 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이 6.7%를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10. 우리 문화와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내용’은 한 단원에서도 소개되지 않았다.
셋째, 검정교과서 5종의 영어 교과서 내의 문화 내용을 문화 유형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교생활’, ‘사회생활’, ‘법과 규범’ 등의 행동문화가 45.2%를 차지하였고,문물 · 풍경’,의식주등의 물질문화가 39.4%,언어’,인물’, ‘문학 · 예술’ 등의 정신문화가 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검정교과서 5종의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의 유형별 분석 결과, 5종의 교과서 모두 ‘1. 단편정보 기술 · 설명’, ‘2. 사진 · 그림’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사의 설명 이외에 학생 스스로 문화학습을 심화하는 방법으로 ‘5. 말하기 · 대화 연습’이나 ‘8. 탐구 · 조사 · 발표’ 활동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교과서에 ‘~에 대해 말해봅시다.’ 또는 ‘~에 대해 조사해봅시다.’ 와 같이 한 줄 정도의 지시문으로 제시될 뿐 지도서를 통한 자세한 활동 예시나 안내는 없었다. 그 밖에 ‘4. 게임’, ‘6. 노래 · 춤 · 챈트’, ‘7. 역할놀이 ․ 드라마’를 이용한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이 2종의 교과서에서 나타났으나 그 횟수가 1회 뿐이었고, ‘10. 토론’ 활동을 제시한 교과서는 전혀 없었다.
다섯째, 교과서의 내용을 문화 배경별로 분석해 본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지역은 영어권 국가로 전체 96회, 30.3%의 비율을 보였다. 영어권 국가 내에서의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이 45%로 가장 높았고, 영국 · 아일랜드, 호주 · 뉴질랜드, 캐나다의 순이었다. 영어권 국가 다음으로 제시 빈도수가 많은 지역은 28.4% 비율로 나타난 유럽이었고, 뒤이어 우리나라가 속해있는 아시아 대륙이 17%의 비율을 보였다. 아시아 대륙 가운데서도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북아시아 국가인 중국, 일본 등의 제시 빈도가 높았고 인도, 태국 등이 속한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의 순으로 제시되었다. 이밖에 중남미와 아프리카 국가는 5%이내의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원하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조사해 본 결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수준이 높고 문화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또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문화학습 현황과 문화 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교사들은 영어교육에 있어 문화 지도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서의 문화 교육 내용 및 자료 부족으로 인해 멀티미디어나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하여 간헐적으로 문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내 문화 학습내용을 늘리고 실질적인 활동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언어기능을 학습하는 것과 동등하게 문화 학습 차시를 확보하고, 문화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 붙임자료 등을 제시하여 문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문화 내용을 균형적으로 소개해야 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면에서 문화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교과서의 문화 코너에 문화 소재와 유형, 배경이 골고루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하고 체계적인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교과서에 제시해야 한다. 일부 활동에 치중된 5,6학년 교과서의 문화 교수 · 학습활동 유형을 다양화 하고, 단순 지식의 전달 및 정보제공 방식의 교과서 구성을 구체적인 탐구 ․ 심화활동을 이끄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문화 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영어 문화 학습 교재 및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최신의 영어 문화 교육 자료 및 문화 관련 연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