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엔 대북제재와 남북경협의 양립성 검토 : 대북제재 내용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currently stalled due to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cluding the United Nations’s. As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significantly strengthened since 2016, even i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lifts its own sanctions such as the “5·24 measures,” it is difficult to promo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unless the UN sanctions are lifted. In other words, the UN sanctions on North Korea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resump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In fac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S, is firmly opposed to the recent move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resu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ased on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n, will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e possible without lifting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approach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e issue of lifting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may be largely political and diplomatic, but it will be meaningful to research on it from legal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review the legal nature of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at could hinde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in what cases the sanctions on North Korea can be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lifting of the UN sanctions on North Korea.
      Mos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difficult to realize, given the contents of the UN Security Council's tough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ince 2016. South Korea should also join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as it is legally binding on member states and has priority over other treaty obligations.
      Then, is it possible to promo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exceptionally in the curren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s the phrase “in light of the DPRK’s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resolution,” so the possibility of lift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epends on the North's compliance and the acceptance of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objective rea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reviewed, it can be seen tha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re incompatible in both practical and legal aspects. At the same ti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difficult to realize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missile issue are advanced in the future. Therefore, new and realistic measures to resu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sought.
      번역하기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currently stalled due to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cluding the United Nations’s. As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significantly strengthened since 2016, even i...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currently stalled due to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cluding the United Nations’s. As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significantly strengthened since 2016, even i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lifts its own sanctions such as the “5·24 measures,” it is difficult to promo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unless the UN sanctions are lifted. In other words, the UN sanctions on North Korea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resump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In fac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S, is firmly opposed to the recent move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resu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ased on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n, will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e possible without lifting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approach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e issue of lifting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may be largely political and diplomatic, but it will be meaningful to research on it from legal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review the legal nature of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at could hinde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in what cases the sanctions on North Korea can be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lifting of the UN sanctions on North Korea.
      Mos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difficult to realize, given the contents of the UN Security Council's tough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ince 2016. South Korea should also join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as it is legally binding on member states and has priority over other treaty obligations.
      Then, is it possible to promo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exceptionally in the curren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s the phrase “in light of the DPRK’s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resolution,” so the possibility of lift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epends on the North's compliance and the acceptance of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objective rea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reviewed, it can be seen tha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re incompatible in both practical and legal aspects. At the same ti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difficult to realize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missile issue are advanced in the future. Therefore, new and realistic measures to resu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sou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남북경협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교착 상태에 있다. 2016년부터 유엔 대북제재가 대폭 강화되면서 한국 정부가 ‘5·24 조치’ 등 독자제재를 해제하더라도 유엔 대북제재가 해제되지 않으면 남북경협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시 말하면 유엔 대북제재는 향후 남북경협 재개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 것이다. 실제로 최근 우리 정부의 남북경협 재개 움직임에 대하여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유엔 대북제재에 근거하여 확고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없이 남북경협이 가능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에 접근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엔 대북제재와 남북경협과의 양립성을 검토하였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문제는 상당 부분 정치적, 외교적 사안일 수 있겠지만, 이에 대해 법적인 측면에서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유엔 대북제재의 법적 성격과 어떤 내용이 남북경협의 걸림돌이 되는지, 그리고 유엔 대북제재의 해제 요건에 따라 어떤 경우에 대북제재가 해제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2016년 이후 유엔 안보리에서 강화된 대북제재 결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남북경협은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유엔 안보리 결의는 회원국들에게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회원국이 당사국인 다른 조약상의 의무에 우선하므로 한국도 이에 동참해야 한다.
      그렇다면 현 유엔 대북제재 국면에서 예외적으로 남북경협 추진이 가능할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는 “북한의 이행상황에 비추어”라는 문구가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대북제재의 해제 가능성은 북한의 이행과 유엔 안보리의 수용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남북한의 경제협력이 재개되었으면 하는 뜨거운 마음을 잠시 내려놓고 국제사회의 객관적인 현실을 살펴본다면 현실적 측면과 법적 측면에서 모두 유엔 대북제재와 남북경협은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미사일 문제 해결이 진전되지 않는다면 정치적, 외교적으로도 남북경협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남북경협 재개를 위한 새롭고 현실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남북경협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교착 상태에 있다. 2016년부터 유엔 대북제재가 대폭 강화되면서 한국 정부가 ‘5·24 조치’ 등 독자제재를 해제하더라도 유...

      현재 남북경협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교착 상태에 있다. 2016년부터 유엔 대북제재가 대폭 강화되면서 한국 정부가 ‘5·24 조치’ 등 독자제재를 해제하더라도 유엔 대북제재가 해제되지 않으면 남북경협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시 말하면 유엔 대북제재는 향후 남북경협 재개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 것이다. 실제로 최근 우리 정부의 남북경협 재개 움직임에 대하여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유엔 대북제재에 근거하여 확고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없이 남북경협이 가능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에 접근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엔 대북제재와 남북경협과의 양립성을 검토하였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문제는 상당 부분 정치적, 외교적 사안일 수 있겠지만, 이에 대해 법적인 측면에서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유엔 대북제재의 법적 성격과 어떤 내용이 남북경협의 걸림돌이 되는지, 그리고 유엔 대북제재의 해제 요건에 따라 어떤 경우에 대북제재가 해제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2016년 이후 유엔 안보리에서 강화된 대북제재 결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남북경협은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유엔 안보리 결의는 회원국들에게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회원국이 당사국인 다른 조약상의 의무에 우선하므로 한국도 이에 동참해야 한다.
      그렇다면 현 유엔 대북제재 국면에서 예외적으로 남북경협 추진이 가능할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는 “북한의 이행상황에 비추어”라는 문구가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대북제재의 해제 가능성은 북한의 이행과 유엔 안보리의 수용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남북한의 경제협력이 재개되었으면 하는 뜨거운 마음을 잠시 내려놓고 국제사회의 객관적인 현실을 살펴본다면 현실적 측면과 법적 측면에서 모두 유엔 대북제재와 남북경협은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미사일 문제 해결이 진전되지 않는다면 정치적, 외교적으로도 남북경협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남북경협 재개를 위한 새롭고 현실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홈페이지"

      2 "통일부 홈페이지"

      3 "통일부 보도자료, 이인영 통일부장관, 경제계 인사 간담회 개최"

      4 "통일부 보도자료, 남북 철도 현지 공동조사 시작"

      5 이효원, "통일법의 이해" 박영사 2014

      6 "통계청 홈페이지"

      7 홍제환, "코로나 19 충격과 북한 경제" 통일연구원 2020

      8 "전략물자관리원 홈페이지"

      9 이동은, "일방적 경제제재 조치의 국제법적 타당성 및 대북제재 관련 시사점 - 미국의 2차 제재를 중심으로" 대한국제법학회 65 (65): 191-226, 2020

      10 인남식,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 외교안보연구소 2015

      1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홈페이지"

      2 "통일부 홈페이지"

      3 "통일부 보도자료, 이인영 통일부장관, 경제계 인사 간담회 개최"

      4 "통일부 보도자료, 남북 철도 현지 공동조사 시작"

      5 이효원, "통일법의 이해" 박영사 2014

      6 "통계청 홈페이지"

      7 홍제환, "코로나 19 충격과 북한 경제" 통일연구원 2020

      8 "전략물자관리원 홈페이지"

      9 이동은, "일방적 경제제재 조치의 국제법적 타당성 및 대북제재 관련 시사점 - 미국의 2차 제재를 중심으로" 대한국제법학회 65 (65): 191-226, 2020

      10 인남식,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 외교안보연구소 2015

      11 박지연, "유엔의 스마트제재 연구 : 앙골라 사례가 대북제재에 주는 시사점" 세종연구소 21 (21): 79-106, 2015

      12 "유엔 안보리 결의안 데이터베이스"

      13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14 정형곤,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15 손기웅,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소고"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3 (3): 2019

      16 장형수, "북한의 외화수급 및 외화보유액 추정과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시사점" 심연북한연구소 22 (22): 8-43, 2019

      17 손현진, "대북제재와 해제에 관한 법적 문제" 한국법제연구원 2018

      18 임수호, "대북제재 해제 단계별 남북경협 추진방향" KDI 2018

      19 김병연, "대북경제제재의 효과" 동아시아연구원 2018

      20 김상기, "대북경제제재의 유효성 분석 : 실태와 효과" KDI 2007

      21 임수호, "대북 경제제재 현황과 남북경협 추진방향" 한국은행 2019

      22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23 최승환, "국제연합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후의 남북교류협력 방안" 법무부 (34) : 98-118, 2018

      24 Antonio Cassese, "국제법" 삼우사 2014

      25 자유아시아방송(RFA), "국무부, 이인영 ‘남북경협’ 발언에 “안보리 결의 이행해야”"

      26 최승환, "UN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부합되는 남북교류협력의 범위와 요건" 2018

      27 AP NEWS, "UN exempts sanctions for North Korea’s Olympic delegation"

      28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97,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8151st meeting, S/RES/2397"

      29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75,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8042nd meeting, S/RES/2375"

      30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71,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8019th meeting, S/RES/2371"

      31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56,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7958th meeting, S/RES/2356"

      32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21,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7821st meeting, S/RES/2321"

      33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7638th meeting, S/RES/2270"

      34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094,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6932nd meeting, S/RES/2094"

      35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087,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6904th meeting, S/RES/2087"

      36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74,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6141st meeting, S/RES/1874, 10 June 2009"

      37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718,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5551st meeting, S/RES/1718"

      38 UN Security Council, "Security Council Committee established pursuant to resolution 1718 (2006)"

      39 White House, "Remarks by President Trump to the 72nd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40 White House, "Remarks by President Trump on the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41 "Presidential Documents, Blocking Property of Certain Persons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Arms Activities of Iran, E.O. 13949 of September 21"

      42 OECD, "NORTH KOREA : The last Transition Economy?" 2020

      43 Schrijver N., "International Economic Law and Armed Conflict" 1994

      44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홈페이지"

      45 Washington Post, "Despite sanctions and tough rhetoric, North Korean Olympians wear American sports gear"

      46 KBS, "30년 된 ‘남북교류협력법’, 통일부 개정안에 외교부 ‘이견’"

      47 통일부, "2019년 12월 18일 통일부 정례브리핑"

      48 KOTRA, "2019 북한 대외무역 동향" KOTRA 2020

      49 통일부, "2018년 2월 9일 통일부 정례브리핑"

      50 통일부, "2018년 2월 7일 통일부 정례브리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