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리의 치안권력과 ‘선도’의 통치기술 —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과 부랑아·우범소년 = Police Power and Juvenile Guidance in the 1960s: Vagrants and Delinquents in the Youth Protectio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olicing of vagrants through the lens of discourses and governmental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youth protection policies in the 1960s. The 1960s witnessed a rise of youth protection discourses that emphasized adolescent psychological states as distinct from adulthood. Expert discourses on adolescence,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social issue of juvenile crime, called for juvenile guidance policies. Spearhead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the 1964 Youth Protection Committee produced policies that aimed to solve the problem of ‘street kids.’ While purporting to promote the general welfare and guidance of minors, these policies disproportionately targeted vagrants along with teenagers working on the streets.
      During this period, the link between vagrants and post-war orphans gradually weakened, and the image of vagrants as runaway teenagers emerged. Street teenagers who did not belong to any disciplinary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factories made a living in urban space, which exposed them to the gaze of police power and led to their association with delinquency. Vagrants and teenagers working on the streets were representative categories that embodied the volatile and immature nature of adolescence,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problem groups distinctive from model teen workers and students who conform to school rules and family discipline. Such policing mechanisms for youth protection and guidance extended to vagrants and street teens and categorically established these groups as probable offenders, which had the effects of controlling underclass youths’ mode of being and living.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olicing of vagrants through the lens of discourses and governmental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youth protection policies in the 1960s. The 1960s witnessed a rise of youth protection discourses that emphasized adoles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olicing of vagrants through the lens of discourses and governmental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youth protection policies in the 1960s. The 1960s witnessed a rise of youth protection discourses that emphasized adolescent psychological states as distinct from adulthood. Expert discourses on adolescence,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social issue of juvenile crime, called for juvenile guidance policies. Spearhead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the 1964 Youth Protection Committee produced policies that aimed to solve the problem of ‘street kids.’ While purporting to promote the general welfare and guidance of minors, these policies disproportionately targeted vagrants along with teenagers working on the streets.
      During this period, the link between vagrants and post-war orphans gradually weakened, and the image of vagrants as runaway teenagers emerged. Street teenagers who did not belong to any disciplinary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factories made a living in urban space, which exposed them to the gaze of police power and led to their association with delinquency. Vagrants and teenagers working on the streets were representative categories that embodied the volatile and immature nature of adolescence,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problem groups distinctive from model teen workers and students who conform to school rules and family discipline. Such policing mechanisms for youth protection and guidance extended to vagrants and street teens and categorically established these groups as probable offenders, which had the effects of controlling underclass youths’ mode of being and liv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의 맥락에서 나타난 우범소년 선도 담론과통치기술을 통해 부랑아에 대한 치안권력의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1960년대에는성인과 구별되는 존재로서 청소년의 특수성이 강조되고 이들에 대한 보호와 선도가 필요하다는 담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특수한 사회문제로 등장한 소년범죄와 청소년기에 대한 전문지식 담론의 결합은 청소년을 국가와 민간이 연합하여선도해야 할 통치대상으로 소환해냈다. 1964년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의 설립을 기점으로 하여 본격적으로 전개된 청소년보호정책은 치안국이 속한 내무부가 주도하였고 거리의 ‘문제소년’에 대한 가두보도와 우범관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은 전사회적인 아동·청소년의 복지증진과 선도를 목적으로 내세웠지만 선별적 선도사업 대상으로 실체화된 것은 부랑아와 가두직업소년과 같은 도시하층민 청소년들이었다. 이 시기에 부랑아와 전재고아의 연결고리는 점차 약해지고 가출청소년으로서의 부랑아 표상이 부상하였다. 그리고 학교와공장이라는 조직화된 규율장치의 관리에서 벗어나 도시공간을 점유한 가두직업소년은 도시치안을 담당하는 공권력의 시선에 직접 노출되는 존재로서 우범성과 결부되었다. 이들을 통칭하는 ‘우범부랑소년’은 자활하는 모범직업소년, 학교와 가정의 규율에 순응하는 모범학생과 구별되는 특수범주인 동시에, 본원적으로 불안정하고 미성숙한 청소년기의 자연적 특성을 응축적으로 체현한 대표범주이기도 하였다.
      1960년대의 청소년보호정책은 특정 집단을 선도되어야 할 대상으로 호명함으로써, 범죄의 씨앗을 품은 타락한 ‘습성’을 지닌 존재로 낙인찍는 동시에 그러한 습성을제거하여 갱생과 자활의 길로 인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격려하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거리를 관리하는 치안권력이 수행했던 선도의 통치기술은 부랑아·가두직업소년을 우범자로 관리하면서 도시하층민 청소년의 노동양식과 생존방식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의 맥락에서 나타난 우범소년 선도 담론과통치기술을 통해 부랑아에 대한 치안권력의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1960년대에는성인과 구별되는 존재로서 청...

      이 논문은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의 맥락에서 나타난 우범소년 선도 담론과통치기술을 통해 부랑아에 대한 치안권력의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1960년대에는성인과 구별되는 존재로서 청소년의 특수성이 강조되고 이들에 대한 보호와 선도가 필요하다는 담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특수한 사회문제로 등장한 소년범죄와 청소년기에 대한 전문지식 담론의 결합은 청소년을 국가와 민간이 연합하여선도해야 할 통치대상으로 소환해냈다. 1964년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의 설립을 기점으로 하여 본격적으로 전개된 청소년보호정책은 치안국이 속한 내무부가 주도하였고 거리의 ‘문제소년’에 대한 가두보도와 우범관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60년대 청소년보호정책은 전사회적인 아동·청소년의 복지증진과 선도를 목적으로 내세웠지만 선별적 선도사업 대상으로 실체화된 것은 부랑아와 가두직업소년과 같은 도시하층민 청소년들이었다. 이 시기에 부랑아와 전재고아의 연결고리는 점차 약해지고 가출청소년으로서의 부랑아 표상이 부상하였다. 그리고 학교와공장이라는 조직화된 규율장치의 관리에서 벗어나 도시공간을 점유한 가두직업소년은 도시치안을 담당하는 공권력의 시선에 직접 노출되는 존재로서 우범성과 결부되었다. 이들을 통칭하는 ‘우범부랑소년’은 자활하는 모범직업소년, 학교와 가정의 규율에 순응하는 모범학생과 구별되는 특수범주인 동시에, 본원적으로 불안정하고 미성숙한 청소년기의 자연적 특성을 응축적으로 체현한 대표범주이기도 하였다.
      1960년대의 청소년보호정책은 특정 집단을 선도되어야 할 대상으로 호명함으로써, 범죄의 씨앗을 품은 타락한 ‘습성’을 지닌 존재로 낙인찍는 동시에 그러한 습성을제거하여 갱생과 자활의 길로 인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격려하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거리를 관리하는 치안권력이 수행했던 선도의 통치기술은 부랑아·가두직업소년을 우범자로 관리하면서 도시하층민 청소년의 노동양식과 생존방식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완, "형제복지원 인권침해불법행위 사건의 책임, 기억 그리고 미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7) : 13-53, 2015

      2 공보부, "혁명정부일년간의 업적"

      3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통계연감 1966" 1966

      4 정근식, "한국의 노숙인: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내무부 치안본부, "한국경찰사(Ⅲ)" 1985

      6 내무부, "청소년선도종합대책" 1965

      7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행사종합계획" 1966

      8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행사결과보고" 1965

      9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설정보고" 1967

      10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설정보고" 1965

      1 김재완, "형제복지원 인권침해불법행위 사건의 책임, 기억 그리고 미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7) : 13-53, 2015

      2 공보부, "혁명정부일년간의 업적"

      3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통계연감 1966" 1966

      4 정근식, "한국의 노숙인: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내무부 치안본부, "한국경찰사(Ⅲ)" 1985

      6 내무부, "청소년선도종합대책" 1965

      7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행사종합계획" 1966

      8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행사결과보고" 1965

      9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설정보고" 1967

      10 내무부, "청소년선도의달설정보고" 1965

      11 법무부,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 설치에 관한 건"

      12 문교부,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 사무이관"

      13 문교부,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 사무이관"

      14 김현우, "청소년범죄와 그 대책" 15 (15): 62-69, 1968

      15 정희경, "청소년기필요의 이해: 소년범죄의 예방책은" 14 (14): 94-102, 1967

      16 김영길, "정상소년 집단과 비행소년 집단에 대한 자아개념의 비교연구" 5 (5): 47-63, 1967

      17 소현숙, "전쟁고아들이 겪은 전후 -1950년대 전쟁고아 실태와 사회적 대책-" 한국근현대사학회 (84) : 321-351, 2018

      18 법무부 교정국, "전국교도소장 및 소년원장회의 질의사항" 15 (15): 139-142, 1968

      19 법무부 교정국, "전국교도소장 및 소년원장회의 자문사항에 대한 답신서" 15 (15): 103-122, 1968

      20 예지숙, "일제시기 조선에서 부랑자의 출현과 행정당국의 대책" 한국사회사학회 (107) : 73-96, 2015

      21 예지숙, "일제 하 부랑자의 탄생과 그 특징 - 1910년대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4) : 29-58, 2014

      22 권명아, "이브의 범죄와 혁명" 동남어문학회 1 (1): 237-258, 2010

      23 권세미, "유신체제기 대중영화에서 갱생의 서사와 사회적 타자의 재현양상 연구: 소년범의 집단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24 홍성태, "유신 독재와 주민등록제도" 역사문제연구소 (99) : 91-112, 2012

      25 이상해, "원생의 합리적 교육방안" 14 (14): 48-56, 1967

      26 이덕인, "우범자관리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45-171, 2013

      27 내무부, "우범소년표본조사결과보고" 1965

      28 김주숙, "우리나라 소년 비행문제의 사회학적 고찰" 2 : 83-102, 1963

      29 권순영, "오늘의 소년범죄" 2 (2): 17-19, 1963

      30 유선영, "식민지의 스티그마 정치 - 식민화 초기 부랑자표상의 현실효과" 한국사회사학회 (89) : 41-84, 2011

      31 소현숙, "식민지시기 ‘불량소년’ 담론의 형성 - ‘민족/국민’ 만들기와 ‘협력’의 역학" 한국사회사학회 (107) : 41-72, 2015

      32 김종국, "소년비행의 예측: 이론과 실제" 중앙청소년회관출판부 1973

      33 원혜욱, "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입법정책" 한국형사정책학회 18 (18): 375-398, 2006

      34 법무부, "소년보호육십년사" 2004

      35 이진국, "소년보호대상의 범위에 관한 형사정책적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17): 89-116, 2006

      36 최종식, "소년법개정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183-209, 2007

      37 염상덕, "소년범죄의 실태 및 그 예방" 14 (14): 51-57, 1967

      38 임덕영, "새로운 시설’의 탄생 형제복지원 사건의 배경: 부랑인개념 및 부랑인 정책의 변화" 2013

      39 법무부, "사회질서 확립을 위한 대책" 1962

      40 박홍근, "사회적 배제의 형성과 변화 - 넝마주이 국가동원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08) : 227-261, 2015

      41 내무부, "사회악제거에 대한 실적보고" 1965

      42 하금철, "빈곤의 범죄화와 ‘우범소질자’의 탄생: 일제강점기~1950년대부랑아 문제를 중심으로" 73 : 225-253, 2017

      43 법무부, "비행소년통계 제2집"

      44 이근후, "비행소년의 가족관계에 관한 연구" 7 (7): 9-15, 1968

      45 김영자, "비행소년에 대한 연구: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3 : 69-81, 1964

      46 최금자, "비행 소년에 관한 연구" 5 : 22-34, 1964

      47 임병순, "비행 소녀의 실태(上)" 15 (15): 70-77, 1968

      48 보건사회부, "부랑아보호선도사업계획" 1961

      49 보건사회부, "부랑아 보호책 확립의 건"

      50 보건사회부, "부랑아 근절책 확립의 건"

      51 김일환, "복지는 어떻게 ‘사업’이 되었는가:한국 사회복지법인의 역사로 본 형제복지원" 5.18연구소 19 (19): 39-87, 2019

      52 보건사회부, "보건사회통계연보"

      53 법무부, "법무연보 1964년"

      54 법무부, "법무연보 1963년"

      55 김원,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 기억, 사건 그리고 정치" 현실문화 2011

      56 정택한, "문제아동과 그 지도방법" 16 (16): 45-51, 1969

      57 임병순, "교정시설에 있어서의 개별지도" 14 (14): 101-109, 1967

      58 임병순, "교정시설에 있어서의 개별지도" 14 (14): 102-111, 1967

      59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 ― 4·19~5·16시기 혁명의 전유를 둘러싼 경합과 전략들"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15-158, 2011

      60 정수남, "거리 위의 사회악 일소(一掃)와 억압권력의 역설 1970년대 부랑인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285-316, 2018

      61 내무부, "가두직업소년실태 종합분석결과보고" 1965

      62 박정미, "‘무작정 상경’ —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한국사회사학회 (113) : 311-344, 2017

      63 신진규, "<글륙크> 조기비행예측표(잠재적비행소년조기식별표)"

      64 김아람, "5·16군정기 사회정책‒아동복지와 부랑아 대책의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82) : 329-365, 2011

      65 박태균, "1960년대 중반 안보 위기와 제2경제론" 역사문제연구소 (72) : 250-276, 2005

      66 정수남, "1960년대 ‘부랑인’ 통치방식과 ‘사회적 신체’ 만들기" 5.18연구소 15 (15): 149-18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