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직업교육 단계에서 효과적인 직업기초능력 지도, 평가 및 활용을 위한 모형 개발 = Development a Model for Basic Competencies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5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l for guidance, assessment, and utilization of basic competencies on the sta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identify education need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l for guidance, assessment, and utilization of basic competencies on the sta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identify education need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draft of the model for guidance, assessment, and utilization of basic competencies has been desig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n, the validity has been confirmed by the experts o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to develop a detailed model of basic competencies. In addition, a needs analysis of basic competencies on the sta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by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advance researches and excellent cases, basic competencies development can be divided into instruction, evaluation & accreditation, and exploitation domain. Second, after conducting the needs analysis, the field showed highest demand for basic competencies of exploitation domain. Demand level for each domain was also analyzed. In the instruction domain the demands for curriculum analysis, annual curriculum plan establishment, basic competencies domain usage selection were high. In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domain the demands for establishment of accreditation standard and method,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 of each level, and preparation of national evaluation were high. In exploitation domain the demand for use of recruitment standard was high. Third, through the needs analysis result, model for basic competencies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instructio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and exploitation domain was develop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enhanc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basic competencies evaluation result, analyzing the usability, and linking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and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NQF) should be discuss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단계에서 직업기초능력 지도, 평가 및 활용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단계에서 직업기초능력 지도, 평가 및 활용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해 직업기초능력 지도, 평가 및 활용을 위한 모형 초안을 구안한 후 직업교육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 받아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형에 기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가 인식한 중등 직업교육 단계의 직업기초능력 개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우수사례를 고찰한 결과 직업기초능력 개발 방안은 크게 지도영역, 평가 및 인증 영역, 활용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요구분석 결과, 현장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의 활용 영역의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역별 세부사항의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지도영역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연간 교육과정 계획 수립, 직업기초능력 영역기반 활용유형 선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평가 및 인증영역에서는 인증기준 및 방법수립, 수준별 세부 성취기준 추출, 국가수준 평가 준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끝으로 활용영역에서는 인재 채용 기준으로의 활용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직업기초능력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제고, 효용성 분석,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국가역량체계(NQF)와의 지속적인 연계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언, "한국의 성인직업기초능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 이종구, "한국 대기업의 인재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980년대 이후 삼성·현대·LG·SK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8 (28): 49-78, 2013

      3 이무근,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16 (16): 109-129, 1997

      4 정진철, "직업기초능력평가 결과 활용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진로직업교육중점연구소 2014

      5 정철영,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6 배은영,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상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구성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7 주인중,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기초능력 연구학교 결과 발표 및 평가도구 개발 방향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9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제연구 보고서 2000

      10 박동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 임언, "한국의 성인직업기초능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 이종구, "한국 대기업의 인재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980년대 이후 삼성·현대·LG·SK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8 (28): 49-78, 2013

      3 이무근,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16 (16): 109-129, 1997

      4 정진철, "직업기초능력평가 결과 활용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진로직업교육중점연구소 2014

      5 정철영,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6 배은영,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상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구성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7 주인중,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기초능력 연구학교 결과 발표 및 평가도구 개발 방향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9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제연구 보고서 2000

      10 박동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1 이종성, "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12 박동열,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63-87, 2006

      13 박동열,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모듈개발과 가중치 분석 : AHP법의 활용(W)"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4 이무근,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산업현장 적응능력 평가를통한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11 (11): 1-17, 1992

      15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를 통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24, 2005

      16 박동열, "수원여자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7 이정표,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8 임언,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2004), OECD AL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9 박동열,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0 이찬,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 진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13-238, 2007

      21 양정승, "마이스터고 정책의 초기 노동시장 효과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7 (37): 75-99, 2014

      22 박동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349-385, 2010

      23 이정표, "대학생의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주요국의 직업기초능력 지원 실태 비교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4 진미석,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25 홍아정,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89-417, 2015

      26 나승일,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131-160, 2012

      27 나승일,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 및 표준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28 이정표, "기업의 직업기초능력 교육훈련 실태와 과제"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2004

      29 조정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30 변숙영, "교수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1 양영근,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5-68, 2014

      32 이찬, "IT 인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61-189, 2009

      33 Custer, R. L., "Critical Skill Clusters for Vocational Education" 17 (17): 15-40, 1992

      34 이종범, "2008년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자격체제구축 :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