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Ⅵ’의 연구목적은 지난 4개년 간의 청소년행복지표의 비교 분석과 시계열 자료를 축적하고,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 청소년동아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20062
2018
Korean
334
학술저널
1-437(4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Ⅵ’의 연구목적은 지난 4개년 간의 청소년행복지표의 비교 분석과 시계열 자료를 축적하고,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 청소년동아리...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Ⅵ’의 연구목적은 지난 4개년 간의 청소년행복지표의 비교 분석과 시계열 자료를 축적하고,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 청소년동아리활동’의 시범사업 운영과 ‘마을교육공동체’ 현장사례 조사를 통해 지역별 특성의 분석과 필요한 정책 제언을 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청소년행복지표의 조사・분석 및 국제비교 ②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운영에 대한 시범사업(3개 지역) 운영 및 성과분석 ③ 청소년활동 관련 마을공동체사업(4개 지역)을 통한 요인 분석 및 시사점 도출 ④ 영역별 정책과제 발굴 등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시범사업, 설문조사, 현장 면접조사, 콜로키움, 정책포럼,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건강 증진 지원 및 관리 시스템 구축과 청소년 참여 역량 및 권리 의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청소년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및 협력망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마을공동체 단위에 청소년활동 시설・공간인프라 및 놀이·여가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민간청소년활동지도자’ 양성 및 관리체계를 확대 운영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ere the Youth is Happy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VI』 is aimed at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and accumulating time-series data on the previous four years of Youth Happiness Index as well as...
『Study on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ere the Youth is Happy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VI』 is aimed at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and accumulating time-series data on the previous four years of Youth Happiness Index as well as to analyze local characteristics and make policy proposals based on a pilot project of running “Youth Club Activities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on-site case study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study mainly covers ① study, analysi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Youth Happiness Index, ② analysis of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a pilot project, “Youth Club Activities Based on Local Resources (3 local communities),” ③ analysis of main factors and implications based on Village Community Project (4 local communities) related to youth activities, ④ identification of policy challenges in each area.
The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pilot project, questionnaire survey, on-site interview, colloquium, policy forum, and working-level consultative meeting on policy research, among others. The following policy challenges were identified from the study findings.
First, there should be a system to support and manage youth health; measures to improve the youth capacity to participate and their awareness of rights; and an adequate environment for youth activities.
Second, there should be measures, network, and system to promote local community-based “Youth Club Activities.”
Third, there should be expanded facilities, space, infrastructure, and play・leisure programs at the Village Community level to support youth activities.
Fourth, there should be an expanded system to manage and foster various types of “Private Youth Activity Leaders” in local commun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청소년 `일 경험` 제도 운영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