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정주, "호, 조선 선비의 자존심" 다산초당 2015
2 최재석, "한국의 친족용어" 민음사 1988
3 도이힐러, 마르티나, "한국의 유교화 과정: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Korean)" 너머북스 2013
4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 비평사 87-95, 1982
5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집문당 1994
6 권내현,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468-479, 2008
7 김인걸,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335-350, 2008
8 고석규,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440-452, 2008
9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일조각 24 : 1999
10 신용하, "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연구" 지식산업사 2000
1 한정주, "호, 조선 선비의 자존심" 다산초당 2015
2 최재석, "한국의 친족용어" 민음사 1988
3 도이힐러, 마르티나, "한국의 유교화 과정: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Korean)" 너머북스 2013
4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 비평사 87-95, 1982
5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집문당 1994
6 권내현,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468-479, 2008
7 김인걸,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335-350, 2008
8 고석규, "한국사연구입문: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하)" 지식산업사 440-452, 2008
9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일조각 24 : 1999
10 신용하, "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연구" 지식산업사 2000
11 페이샤오퉁, "중국 사회의 기본 구조(Rural China)" 일조각 1995
12 이욱, "족보 위조의 사회사" 21 : 259-265, 2005
13 유봉학,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신구문화사 1998
14 정승모, "조선후기 지역사회 구조 연구" 민속원 2010
15 차장섭, "조선후기 벌열 연구" 일조각 1997
16 차장섭,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47 (47): 1994
17 백광렬, "조선후기 ‘양반지배네트워크’의 성격과 구조변동: 상층양반의 친족연결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18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1800~1863(상)" 청년사 1990
19 윤인숙,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역사비평사 2016
20 차장섭, "조선전기(朝鮮前期)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의 성분(成分)" 조선사연구회 40 : 1994
21 양웅열, "조선의 왕비가문" 역사문화 2014
22 김재호, "조선왕조 장기지속의 경제적 기원" 한국경제학회 59 (59): 53-117, 2011
23 와그너, 에드워드,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Achievement and ascription in Joseon Dynasty)" 일조각 2007
24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학회 (44) : 239-278, 2010
25 정진영,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의 연구 성과와 새로운 전망(장동표, 2015,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태학사, 473쪽)" 역사문화학회 18 (18): 243-263, 2015
26 권기석, "조선시대 族譜의 入錄階層 확대와 한계 -凡例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55) : 127-178, 2010
27 송준호, "이조 생원진사시의 연구" 국회도서관 1970
28 백승종, "위조 족보의 유행" 일조각 24 : 1999
29 "용인이씨대동보"
30 지두환, "왕실친인척과 조선정치사" 역사문화 2014
31 "여주이씨세보(전11권)"
32 미야지마 히로시, "양반: 역사적 실체를 찾아서(兩班: 李朝社會の特權階層)" 강 1996
33 "안동권씨추밀공파대동보"
34 윤민경, "세도정치기 안동 김문의 정치적 기반 : 국왕, 유력 가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35 "선원속보(성종대왕자손록: 영산군파)(1902, 전2권)『宋子大全』"
36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3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38 미야지마 히로시,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39 정일균, "다산 사서경학 연구" 일지사 2000
40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37-261, 2002
41 노명호, "개념체계와 사실인식의 관계: 고려시대 ‘가문’ 연구의 회고와 전망"
42 "黨議通略"
43 "順菴集"
44 이광규, "韓國의 家族과 宗族" 민음사 1990
45 최재석, "韓國家族制度史硏究" 一志社 1983
46 "迂書"
47 안승준, "萬家譜" 한국인문과학원 1-4, 1998
48 유봉학, "燕巖一派 北學思想 硏究" 一志社 1995
49 송준호, "朝鮮社會史硏究: 朝鮮社會의 構造와 性格 및 그 變遷에 관한 硏究" 일조각 1987
50 김영모, "朝鮮支配層硏究" 일조각 1977
51 한상우, "朝鮮後期 兩班層의 親族 네트워크" 성균관대학교 2015
52 이해준, "朝鮮後期 門中書院 硏究" 경인문화사 2008
53 "國朝文科榜目"
54 "名世譜"
55 North, C. Douglass, "Violence and Social Orders: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Recorded Hum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6 Sangkuk Lee, "Strategizing Marriage: A Genealogical Analysis of Korean Marriage Networks" 48 (48): 2017
57 Wasserman, Stanley,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1994
58 "Pajek 웹페이지"
59 Giddens, Anthony, "Introduction to Sociology" W. W. Norton & Company, Inc 2009
60 Nooy, Wouter de, "Exploratory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Paj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1 Acemoglu, Daron, "Economic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62 De Mesquita, Bruce Bueno, "Dictator’s Handbook: Why Bad Behavior is Almost Always Good Politics" Public Affairs 2010
63 권기석, "19世紀 勢道政治 勢力의 形成 背景(下)" 91 : 2001
64 권기석, "19世紀 勢道政治 勢力의 形成 背景(上)" 90 : 2000
65 신용하, "1894년 갑오개혁의 사회사" 한국사회사학회 50 : 1996
66 김필동, "17세기 사족 문중의 형성 : 파평윤씨 노종파(魯宗派)의 사례" 사회과학연구소 20 (20): 31-47, 2009
67 이경구, "17~18세기 장동 금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68 원창애, "16~17세기 과거제도의 추이" 1992
69 최완수,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1·2" 돌베개 2003
70 노명호, "(신편)한국사 15권" 75-153, 2003
71 이영춘, "(신편) 한국사 30" 94-120, 1997
72 오수창, "(신편) 한국사" 69-94,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