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공개법’상 국가기밀을 이유로 알권리를 제한하는 것의 타당성 = The Validity of Restricting the Right to Know by National Confidentiality in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8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 the validity of how the law o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public institutions,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enforcement, conforms to the people’s realization of the ‘right to know’ and whether ‘right to...

      This study aims to exam the validity of how the law o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public institutions,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enforcement, conforms to the people’s realization of the ‘right to know’ and whether ‘right to know’ is reasonably restricted by ‘National Confidentiality’ in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In this paper, the cases of objection by each agency on the nondisclosure of information, the cases of administrative adjudication, the court preceden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s cases were analyzed. The Supreme Court has shown a tendency to basically focus on the value of public disclosure in a tug of war where legal interests clash between ‘right to know’ and ‘National Confidentiality protec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extent for ‘National Confidentiality’ does not violate void-for-vagueness. Freedom of expression or the ‘right to know’, which is contrary to national interests, may be restricted, but there have been some cases in which it is unclear whether the issue is clearly national interest or the interests of the government. This suggests that the yardstick for the use of ‘National Confidentiality’ may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times and the government. If the connotation and the definition of ‘National Confidentiality’ are integrated into one and clearly presented, it is judged that the people will make more responsible decisions about the legal enjoyment of the ‘right to know’. Other decisions by the judiciary and public institution on the nondisclosure of information are thought to have an antagonism in realizing the ‘right to know’ through the public’s request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2 조영종, "행정기관의 정보공개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 정주백, "평등정명론"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4 문재완, "정보공개청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85-114, 2017

      5 김승태, "정보공개제도 비교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25-57, 2014

      6 김용섭, "정보공개와 개인정보호호의 충돌과 조화" 29 (29): 167-199, 2001

      7 배정근, "정보공개법을 통한 알권리 실현의 한계 : 비공개조항 관련 대법원 판결 분석" 한국언론학회 53 (53): 368-390, 2009

      8 유일상,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정보의 범위에 관한 비교법제적 연구 -한․미․영․일을 중심으로-" 한국헌법학회 11 (11): 445-486, 2005

      9 안상운, "정보공개법" 자음과모음 2015

      10 조성규, "정보공개 거부처분을 둘러싼 법적 쟁점 - 정보의 부존재를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3) : 83-109, 2015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2 조영종, "행정기관의 정보공개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 정주백, "평등정명론"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4 문재완, "정보공개청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85-114, 2017

      5 김승태, "정보공개제도 비교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25-57, 2014

      6 김용섭, "정보공개와 개인정보호호의 충돌과 조화" 29 (29): 167-199, 2001

      7 배정근, "정보공개법을 통한 알권리 실현의 한계 : 비공개조항 관련 대법원 판결 분석" 한국언론학회 53 (53): 368-390, 2009

      8 유일상,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정보의 범위에 관한 비교법제적 연구 -한․미․영․일을 중심으로-" 한국헌법학회 11 (11): 445-486, 2005

      9 안상운, "정보공개법" 자음과모음 2015

      10 조성규, "정보공개 거부처분을 둘러싼 법적 쟁점 - 정보의 부존재를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3) : 83-109, 2015

      11 Mill, J. S., "자유론" 문예출판사 2010

      12 Siebert, S., "언론의4이론" 나남출판 1991

      13 박용상, "언론의 자유" 박영사 2015

      14 Durn, J., "민주주의의 수수께끼" 후마니타스 2015

      15 김태호, "국가비밀과 정보공개―정보공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비공개사유와 그 운용을 중심으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8 : 15-354, 2002

      16 권영설, "국가기밀의 보도와 그 법적 기준" 1987

      17 김흥규, "국가기밀과 보도" 1987

      18 이일세,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판례분석 - 공개·비공개사유를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5 : 145-210, 2015

      19 Foucault, M., "性의 역사1, 앎의 의지" 나남출판 1990

      20 Altschull, J. H., "From Millton to Mcluhan: The ideas behind American journalism" Longman 1990

      21 박기현, "Existence of smooth harmonic maps in homotopy classes"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3 1.53 2.10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