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단체활동이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7652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1.9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effect of youth membership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 형태사항

        ii, 124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은경
        참고문헌 : 62-66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effect of youth membership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goals of this study, 8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6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experimental group(4 disabled children and 30 nondisabled children) that di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and the other one was comparative group that didn'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but picture drawing after reading books without any interchange activities.
      In this stud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an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hold 25 sessions. The measures of self-concept, social skills have took by self-concept inventory,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nd the measures of disability perception have took by questionaire. The examiner computerized the test scores and retuned questionaires through the program SPSS and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windows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was made of the data statistical and it executed the t-test and ANCOV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omparative group didn't make a big difference but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post-test and it showed a increase as compared against the pre-test.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Through youth membership activ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ble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would have advanced on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ecreased in prejudice by understanding disability in person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effect of youth membership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goals of this study, 8 children with d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effect of youth membership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goals of this study, 8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6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experimental group(4 disabled children and 30 nondisabled children) that di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and the other one was comparative group that didn'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but picture drawing after reading books without any interchange activities.
      In this stud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an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hold 25 sessions. The measures of self-concept, social skills have took by self-concept inventory,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nd the measures of disability perception have took by questionaire. The examiner computerized the test scores and retuned questionaires through the program SPSS and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windows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was made of the data statistical and it executed the t-test and ANCOV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omparative group didn't make a big difference but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post-test and it showed a increase as compared against the pre-test.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Through youth membership activ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ble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would have advanced on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ecreased in prejudice by understanding disability in person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동 8명, 비장애아동 60명을 2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장애아동4명, 일반아동 30명)은 실험 집단으로 하고 한 집단은 비교 집단으로 하여 실험 집단에는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청소년단체활동을 하지 않고 상호교류활동이 없는 독후화 그리는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며 청소년단체활동은 총 25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자아개념, 사회성 기술은 자아개념검사와 사회성 기술검사를 사용하였고, 장애인식개선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변인별로 산출된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test와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 일반아동의 장애인식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 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실험집단은 유의한 향상도를 보이는 반면 비교집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들이 청소년단체라는 집합 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고 그 속에서 경험한 유대감과 친구와의 교류는 개인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일반아동도 장애를 서로의 개성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게 가지고 있었던 편견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단체활동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동 8명, 비장애아동 60명을 2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장애아동4명, 일반아동 30명)은 실험 집단으로 하고 한 집단은 비교 집단으로 하여 실험 집단에는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청소년단체활동을 하지 않고 상호교류활동이 없는 독후화 그리는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며 청소년단체활동은 총 25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자아개념, 사회성 기술은 자아개념검사와 사회성 기술검사를 사용하였고, 장애인식개선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변인별로 산출된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test와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 일반아동의 장애인식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 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실험집단은 유의한 향상도를 보이는 반면 비교집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들이 청소년단체라는 집합 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고 그 속에서 경험한 유대감과 친구와의 교류는 개인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일반아동도 장애를 서로의 개성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게 가지고 있었던 편견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단체활동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6
      • 초록 = i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8
      • 1. 청소년단체 = 8
      • 2. 청소년단체 활동을 적용한 중재의 효과 = 18
      • 3. 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선행 연구 = 20
      • Ⅲ. 연구 방법 = 26
      • 1. 연구 대상 = 26
      • 2. 연구 설계 = 30
      • 3. 연구 도구 = 31
      • 4. 연구 절차 = 41
      • 5. 자료 처리 = 44
      • Ⅳ. 연구 결과 = 46
      • 1. 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46
      • 2. 장애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 51
      • 3. 일반아동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56
      • Ⅴ. 논의 및 결론 = 59
      • 참고문헌 = 62
      • ABSTRACT = 67
      • 【부록1】 자아개념검사 = 69
      • 【부록2】 SSRS - 교사용 = 71
      • 【부록3】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 = 72
      • 【부록4】 스카우트 활동 일지 기록 양식 = 75
      • 【부록5】 회기별 지도안 및 활동일지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