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호암산 호압사의 역사와 寺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9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울시 금천구 호암산에 자리하고 있는 호압사의 역사와 사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으며, 본문에서는 먼저 호압사의 창건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호압사는 호암이라고 하는 특정 바위(산)와 직결된 창건연기를 지니고 있다는 점, 호압사는 조선건국 초기 한양 궁궐을 수호하는 裨補道場의 하나로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그리고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무학대사는 호압사의 창건주로 인식되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 등을 확인하게 되었다. 계속해서 호압사의 다양한 寺名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여러 가지 정황상 18세기 이후부터 호압사는 현행 ‘虎壓寺’로 통칭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창건 이후 조선시대 호압사 역사와 관계된 자료로 각종 지리지와 사찰지,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들이 남긴 일부 시문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16-18세기의 호압사는 꾸준하게 寺勢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문에서는 1841년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義敏의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이라는 자료의 전문을 소개하면서 이 시기 호압사의 실상과 중창불사의 구체적 내용도 검토해 보았다. 한편, 일제강점기 관보 자료를 통해 이 시기 호압사는 모두 네 명의 승려가 주지직을 역임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1941년 법당 단청불사도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찰의 사격은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함께 아우르는 방향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논문의 맺음말에서는 호압사의 ‘현재’와 관련한 부분을 포함시키면서 호압사의 사격을 크게 네 가지의 측면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이 글이 향후 사찰사 연구 분야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서울시 금천구 호암산에 자리하고 있는 호압사의 역사와 사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으며, 본문에서는 먼저 호압사의 창건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

      이 논문은 서울시 금천구 호암산에 자리하고 있는 호압사의 역사와 사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으며, 본문에서는 먼저 호압사의 창건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호압사는 호암이라고 하는 특정 바위(산)와 직결된 창건연기를 지니고 있다는 점, 호압사는 조선건국 초기 한양 궁궐을 수호하는 裨補道場의 하나로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그리고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무학대사는 호압사의 창건주로 인식되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 등을 확인하게 되었다. 계속해서 호압사의 다양한 寺名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여러 가지 정황상 18세기 이후부터 호압사는 현행 ‘虎壓寺’로 통칭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창건 이후 조선시대 호압사 역사와 관계된 자료로 각종 지리지와 사찰지,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들이 남긴 일부 시문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16-18세기의 호압사는 꾸준하게 寺勢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문에서는 1841년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義敏의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이라는 자료의 전문을 소개하면서 이 시기 호압사의 실상과 중창불사의 구체적 내용도 검토해 보았다. 한편, 일제강점기 관보 자료를 통해 이 시기 호압사는 모두 네 명의 승려가 주지직을 역임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1941년 법당 단청불사도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찰의 사격은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함께 아우르는 방향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논문의 맺음말에서는 호압사의 ‘현재’와 관련한 부분을 포함시키면서 호압사의 사격을 크게 네 가지의 측면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이 글이 향후 사찰사 연구 분야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Hoap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Hoamsan in Geumcheon-gu, Seoul. This study focuses on its history and value as a temple. The contents related to its establishment were considered with special concern. From the result, we confirm that Hoapsa has an establishment story related directly to a specific rock (mountain) named Hoam, that it was possibly established as one of the complementary temples (裨補道場) that protect the palace in Han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at Muhak had been considered as the founder of the temple from the early period.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is the different titles that this temple held. Under the circumstantial evidence, we suggest that this temple has been called Hoapsa (虎壓寺) as currently since the 18th century. We considered different data related to the history of Hoapsa such as various geographic and temple-related documents and some poems written by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since its establishment. Based on the survey, we confirmed that this temple had powerful influence between the 16 to 18 centuries. Besides, we present the situation of the temple and the substantial contents of the Buddhist Renovation in the 19th century, by introducing the whole sentences of ‘Newly-written Signboard for Hoapsa at Samseongsan Mountain’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 in which sentences were possibly written by Uimin (義敏) in 1841. Moreover,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 fathomed that four monks in total had served as the head of the temple and that a project of paintwork on the sanctuary was conducted in 1941. A temple’s valu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direction of considering all of its historical facts together with a future expect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ncludes as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emple and providing four aspects of values that Hoamsa shows as a tem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the study of the temple histo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Hoap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Hoamsan in Geumcheon-gu, Seoul. This study focuses on its history and value as a temple. The contents related to its establishment were considered with special concern. From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Hoap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Hoamsan in Geumcheon-gu, Seoul. This study focuses on its history and value as a temple. The contents related to its establishment were considered with special concern. From the result, we confirm that Hoapsa has an establishment story related directly to a specific rock (mountain) named Hoam, that it was possibly established as one of the complementary temples (裨補道場) that protect the palace in Han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at Muhak had been considered as the founder of the temple from the early period.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is the different titles that this temple held. Under the circumstantial evidence, we suggest that this temple has been called Hoapsa (虎壓寺) as currently since the 18th century. We considered different data related to the history of Hoapsa such as various geographic and temple-related documents and some poems written by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since its establishment. Based on the survey, we confirmed that this temple had powerful influence between the 16 to 18 centuries. Besides, we present the situation of the temple and the substantial contents of the Buddhist Renovation in the 19th century, by introducing the whole sentences of ‘Newly-written Signboard for Hoapsa at Samseongsan Mountain’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 in which sentences were possibly written by Uimin (義敏) in 1841. Moreover,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 fathomed that four monks in total had served as the head of the temple and that a project of paintwork on the sanctuary was conducted in 1941. A temple’s valu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direction of considering all of its historical facts together with a future expect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ncludes as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emple and providing four aspects of values that Hoamsa shows as a tem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the study of the temple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호압사의 창건과 寺名
      • Ⅲ. 창건 이후의 호압사 역사
      • Ⅳ. 맺음말-호압사의 寺格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호압사의 창건과 寺名
      • Ⅲ. 창건 이후의 호압사 역사
      • Ⅳ. 맺음말-호압사의 寺格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재진, "호압사의 가람과 콘텐츠를 위한 제언" 한국불교학회 (83) : 151-180, 2017

      2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총무부, "일제시대 불교정책과 현황-조선총독부관보 불교관련 자료집-" 선우도량출판부 2001

      3 김승호, "사찰풍수의 문학적 반영과 그 의미-호암산, 호압사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47) : 439-468, 2017

      4 김상영, "봉녕사의 근현대 역사와 寺格" 대각사상연구원 (20) : 291-326, 2013

      5 황인규, "무학자초와 漢陽 奠都" 4 : 1996

      6 황인규, "관악산의 불교와 관악사(지) -전근대 관악산 불교의 복원 試攷와 자료집성-" 한국불교학회 69 : 307-311, 2014

      7 義敏, "朝鮮寺刹史料 上권"

      8 雪巖, "朝鮮寺刹史料 上권"

      9 이철교, "『서울 및 近郊寺刹誌(原題-奉恩本末寺誌)』해제" 대한불교진흥원 10 : 1994

      10 "『輿地圖書』上, 京畿道 衿川 「寺剎」"

      1 장재진, "호압사의 가람과 콘텐츠를 위한 제언" 한국불교학회 (83) : 151-180, 2017

      2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총무부, "일제시대 불교정책과 현황-조선총독부관보 불교관련 자료집-" 선우도량출판부 2001

      3 김승호, "사찰풍수의 문학적 반영과 그 의미-호암산, 호압사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47) : 439-468, 2017

      4 김상영, "봉녕사의 근현대 역사와 寺格" 대각사상연구원 (20) : 291-326, 2013

      5 황인규, "무학자초와 漢陽 奠都" 4 : 1996

      6 황인규, "관악산의 불교와 관악사(지) -전근대 관악산 불교의 복원 試攷와 자료집성-" 한국불교학회 69 : 307-311, 2014

      7 義敏, "朝鮮寺刹史料 上권"

      8 雪巖, "朝鮮寺刹史料 上권"

      9 이철교, "『서울 및 近郊寺刹誌(原題-奉恩本末寺誌)』해제" 대한불교진흥원 10 : 1994

      10 "『輿地圖書』上, 京畿道 衿川 「寺剎」"

      11 "『梵宇攷』, 경기도 衿川"

      12 安震湖, "『奉恩本末寺誌』, 第二編 京山各寺誌, 一. 總述, 第三章 京城과 寺院"

      13 "『大東地志』 권4, 경기도 20邑, 始興"

      14 "『伽藍考』, 경기 衿川"

      15 "『京畿誌』 寺刹, 『京畿邑誌』 寺刹, 『시흥군읍지』 山水"

      16 成俔, "「衿川守金君碩孫請題其縣小亭」, 『虛白堂集』 허백당보집 제3권 詩"

      17 尹慈, "「虎巖說」, 『동문선』권98, 說"

      18 申緯, "「戱爲八絶」, 『警修堂全藁』 冊十六 東陽申緯漢叟 九十九菴吟藁二"

      19 趙斗淳, "「將遊虎壓寺 約丹邱老人」, 『心庵遺稿』 권8 詩"

      20 姜浚欽, "「和蹇翁秋日東臯作 有序」, 『三溟詩集』 七編 [詩]○金剛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