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찰은 현대기 선학원의 역사와 성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선학원의 이해 및 역사는 선학원의 창립, 전개 과정 및 이념을 서술하면서도 일제하 선학원의 역사만을 다루었다. 즉 해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찰은 현대기 선학원의 역사와 성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선학원의 이해 및 역사는 선학원의 창립, 전개 과정 및 이념을 서술하면서도 일제하 선학원의 역사만을 다루었다. 즉 해방 ...
본 고찰은 현대기 선학원의 역사와 성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선학원의 이해 및 역사는 선학원의 창립, 전개 과정 및 이념을 서술하면서도 일제하 선학원의 역사만을 다루었다. 즉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 탐구에는 소홀하였다. 이런 불균형의 역사인식은 역사성, 객관성, 보편성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시킨다. 최근, 최근 조계종과 선학원 간에는 ‘법인법’을 둘러싸고 치열한 갈등을 전개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계종과 선학원은 선학원의 정체성 및 진로를 놓고 법정 소송도 벌였다. 그래서 선학원은 정화불교, 민족불교라는 정체성을 강하게 홍보하였다. 그런 대응 및 소송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는 선학원의 역사에 대한 자의적 해석이었다. 이와 같은 선학원 역사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흐름은 상당한 문제점을 노정시켰다. 요컨대 선학원의 역사와 이념도 자료에 근거한 역사적 흐름, 활동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현대기의 선학원에 대한 역사적 정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필자는 본 글에서 정화운동이 일단락이 된 이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를 다루었다. 선학원 문제는 개혁종단(1994)이 등장하면서는 선학원과 조계종이 수차례 회의 주제로 상정되었다. 그 결과 양측은 공통적인 역사 이해를 하고 공동적인 노선을 가기로 2002년에 합의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 다른 현대기의 선학원의 역사는 지금의 선학원 문제를 객관적으로 살필 수 있다는 관점에서 중요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고찰이 선학원의 근현대사 이해, 선학원의 운영과 성격, 조계종과의 상관성 등의 균형적인 해석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a survey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Seonhakwon in the contemporary times. Previous studies on understanding Seonhakwon and its history have dealt with its incorporation, development and ideology. However, these works only conce...
This work is a survey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Seonhakwon in the contemporary times. Previous studies on understanding Seonhakwon and its history have dealt with its incorporation, development and ideology. However, these works only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Seonhakw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at is, there rarely exists research concerning the period after the independence and contemporary times that follow. An imbalance of historical awareness raises many problems regarding historicity,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Recently, a serious conflict erupted between the Jogye Order and Seonhakwon concerning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the course of this conflict, the two parties engaged in litigation, mostly centering on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Seonhakwon. The Buddhist institute, at that time, intensively promoted its status as purified Buddhism and national Buddhism. However, by doing so, it interpreted the history arbitrary for its own interest. The arbitrary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has revealed a severe problem. After all, the history and ideology of Seonhakwon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line with historical flow and activities based on factual data.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a historical survey of Seonhakwon in the contemporary times is evident. This survey, which finds its justification from this need, covers the period stretching from the end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to the early 1990s. The problem of Seonhakwon has been tabled for several times as one of the agenda between the Jogye Order and Seonhakwon since the emergence of the Reformative Order in 1994. A resolution was reached between the two in 2002 to develop a consensus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mutual line of course. In this regard, the contemporary history of Seonhakwon, which is the topic of this study, can be apprec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having an objective eye for the problem of Seonhakw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well as a reference for a balanced interpretation of Seonhakwon’s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Jogye Ord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식, "한국근대불교사연구" 민족사 1996
2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3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4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5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 ‘帶妻食肉’의 이원적 노선" 13 : 2015
6 김광식, "청백가풍의 표상 - 벽안스님의 수행과 가르침" 벽안문도회 2013
7 김순석, "중일전쟁 이후 선학원의 성격 변화" (창간) : 2006
8 김광식, "조계종과 선학원, ‘同根’의 역사 및 이념" 44 : 2015
9 조계종 중앙종회, "제2대 중앙종회 회의록" 조계종출판사 2000
10 현 응, "재단법인 선학원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1 김광식, "한국근대불교사연구" 민족사 1996
2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3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4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5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 ‘帶妻食肉’의 이원적 노선" 13 : 2015
6 김광식, "청백가풍의 표상 - 벽안스님의 수행과 가르침" 벽안문도회 2013
7 김순석, "중일전쟁 이후 선학원의 성격 변화" (창간) : 2006
8 김광식, "조계종과 선학원, ‘同根’의 역사 및 이념" 44 : 2015
9 조계종 중앙종회, "제2대 중앙종회 회의록" 조계종출판사 2000
10 현 응, "재단법인 선학원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11 金淳碩, "일제하 禪學院의 禪脈 계승운동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20 : 141-162, 2002
12 월암, "유교법회(遺敎法會)와 조계종의 오늘" 대각사상연구원 (14) : 291-336, 2010
13 제점숙, "식민지 조선과 불교" 대각사상연구원 (22) : 241-278, 2014
14 오경후, "선학원 운동의 정신사적 기초" (창간) : 2006
15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16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17 고영섭,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조계종출판사 2007
18 김광식, "대한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성격 ; 1941~1962년의 조계종" 한국선학회 (34) : 198-239, 2013
19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00
20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00
21 정광호, "근대한일불교관계사연구" 인하대출판부 1994
22 법 진, "選佛場" 선리연구원 2007
23 오경후, "日帝下 禪學院의 設立과 中興의 背景" 국학연구원 (136) : 161-188, 2006
『한국사 속의 다문화』(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기획)
논쟁적 역사수업, 어떤 가치를 담을까? - 역사수업, 마침표 대신 물음표를 던지다 -
무학대사의 조선건국 참여와 불교계 수호 - 제 연구성과의 종합 검토와 재론 및 강조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