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비교 연구: 5・18의 가해자/피해자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Focusing on the Allegory of The May 18’s Perpetrators/Victi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8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s it became known as the origin of Lee Chang-dong’s movie The Secret Sunshine (2007). However, much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works has been done without the relevance of the May 18. Studies discuss forgiveness and salvation, loss and mourning as the subject that two works have in comm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May 18. In particular,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ecret Sunshine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es of the content of the movie, which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not dealt properly. This study argues that Lee Chang-dong has a guilty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s in the 80s, and this consciousness was finally turned into a work as the movie The Secret Sunshine.


      This paper argues that Lee Chang-dong writes an allegorical text about the perpetrator/victim of the May 18 with The Secret Sunshine. As for how Lee Chang-dong expresses his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I use two methodologies. First, I follow details outside the text. Tracking down Lee Chang-dong’s career as a novelist and film director, I show that Lee Chang-dong tried to give a hint to the audience that his movie was about the May 18, especially with the title of the movie and the release date. Second, I try to reconstruct the stories by analyzing the main event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in order to show that they express a simila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 analyze these two texts through the narrative style of allegory.


      My analysis of the two texts are based on two allegory theories. One is Walter Benjamin’s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ast step that the reader understands the author’s intention completes the allegory. On the other hand, Paul de Man stresses that although it is the author who creates the allegory, how the meaning is conveyed to the reader is outside of the author’s hands. Regardless of which allegory theory we bu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e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shows that both texts expres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there can be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ithout the victim’s side of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ecret Sunshine shows a deeper perspective on the community. Just as the May 18 community resisted the false state’s authority, the community form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represents a community resisting God who forces the false kind of forgiveness.


      My analysis of these allegories shares a certain point with Stanley Fish’s ‘interpretive communities.’ According to Fish, the communities have a consistent perspective, forming the worldview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n a sense keeps writing a text together. Lee Chang-do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pretive community which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on the May 18, interpreting “The Story of a Worm” in a certain way and writing his own text with the creation of The Secret Sunshine.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theory further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May 18 as an open text and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text for the May 18. Considering that there could be many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ies, what I am arguing in this paper may be a position of a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y from the one who shows the viewpoint of The Secret Sunshine and its extended text such as “The Story of a Worm.” However, I believe that this paper’s discussion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interpretive community, revealing the hidden viewpoint of the text that Lee Ch...
      번역하기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s it became known as the origin of Lee Chang-dong’s movie The Secret Sunshine (2007). However, much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works has been done without the relevance of the May 18. Studies discuss forgiveness and salvation, loss and mourning as the subject that two works have in comm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May 18. In particular,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ecret Sunshine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es of the content of the movie, which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not dealt properly. This study argues that Lee Chang-dong has a guilty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s in the 80s, and this consciousness was finally turned into a work as the movie The Secret Sunshine.


      This paper argues that Lee Chang-dong writes an allegorical text about the perpetrator/victim of the May 18 with The Secret Sunshine. As for how Lee Chang-dong expresses his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I use two methodologies. First, I follow details outside the text. Tracking down Lee Chang-dong’s career as a novelist and film director, I show that Lee Chang-dong tried to give a hint to the audience that his movie was about the May 18, especially with the title of the movie and the release date. Second, I try to reconstruct the stories by analyzing the main event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in order to show that they express a simila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 analyze these two texts through the narrative style of allegory.


      My analysis of the two texts are based on two allegory theories. One is Walter Benjamin’s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ast step that the reader understands the author’s intention completes the allegory. On the other hand, Paul de Man stresses that although it is the author who creates the allegory, how the meaning is conveyed to the reader is outside of the author’s hands. Regardless of which allegory theory we bu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e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shows that both texts expres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there can be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ithout the victim’s side of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ecret Sunshine shows a deeper perspective on the community. Just as the May 18 community resisted the false state’s authority, the community form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represents a community resisting God who forces the false kind of forgiveness.


      My analysis of these allegories shares a certain point with Stanley Fish’s ‘interpretive communities.’ According to Fish, the communities have a consistent perspective, forming the worldview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n a sense keeps writing a text together. Lee Chang-do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pretive community which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on the May 18, interpreting “The Story of a Worm” in a certain way and writing his own text with the creation of The Secret Sunshine.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theory further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May 18 as an open text and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text for the May 18. Considering that there could be many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ies, what I am arguing in this paper may be a position of a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y from the one who shows the viewpoint of The Secret Sunshine and its extended text such as “The Story of a Worm.” However, I believe that this paper’s discussion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interpretive community, revealing the hidden viewpoint of the text that Lee 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후 이창동의 영화 <밀양>(2007)의 원작으로 알려지면서 이 소설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두 작품의 비교 연구는 오월 광주에 대한 재현이 탈색된 채 이루어져 왔다. 용서와 구원, 상실과 애도가 두 작품의 주제 의식임을 지적한 연구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의 바탕으로 5·18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이창동의 <밀양>의 경우 영화의 내용에 관한 분석에 연구가 국한됨으로써 감독의 작가 의식에 접근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창동이 8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오월 광주에 대해 죄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죄의식이 영화 <밀양>에서 비로소 표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창동이 <밀양>을 통해 5·18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알레고리적 텍스트를 쓰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창동이 5·18이라는 주제 의식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필자는 창작자의 주제 의식 표현을 짐작할 수 있는 텍스트 외적 사항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창동이 지닌 소설가로서의 이력과 영화감독 필모그래피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창동이 영화 제목과 개봉일 선정 등을 통해 5·18에 대한 문제의식을 관객에게 전달코자 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핵심적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두 텍스트가 유사한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지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두 텍스트를 알레고리라는 서사 양식을 통해 분석한다.


      필자는 두 가지 알레고리론에 주목해 두 텍스트를 분석한다. 한 가지는 발터 벤야민이 주장한 알레고리론으로서, 그것에 따르면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어 독자가 작가의 의중을 파악함으로써 알레고리의 완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폴 드 만은 알레고리를 창조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이르렀을 때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는지는 창작자의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두 알레고리론의 어느 입장을 받아들이든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알레고리 분석에 따르면, 두 텍스트 모두 피해자의 용서가 없이는 진정한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주제 의식을 그 이면에 깔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밀양>은 두 주인공이 새로운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에 대한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준다. 5·18공동체가 거짓 국가에 저항했듯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형성한 공동체는 거짓 용서를 강요하는 신에 저항하는 공동체이다.


      필자의 이러한 알레고리 분석은 스탠리 피쉬의 ‘해석의 공동체’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피쉬에 따르면 이 공동체는 일관성의 관점을 갖고 그들만의 공통된 세계관을 형성해가며 텍스트를 쓰는 특징을 갖는데, 이창동은 「벌레 이야기」 해석과 <밀양>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5·18에 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해석의 공동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해석의 공동체 개념은 더 나아가 우리에게 5·18을 열린 텍스트로서 받아들일 기회와 5·18에 대한 새로운 텍스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양>이 「벌레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 의식, 곧5·18에 ...
      번역하기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후 이창동의 영화 <밀양>(2007)의 원작으로 알려지면서 이 소설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두 작품의 비교 연구는 오월 광주에 대한 재현이 탈색된 채 이루어져 왔다. 용서와 구원, 상실과 애도가 두 작품의 주제 의식임을 지적한 연구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의 바탕으로 5·18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이창동의 <밀양>의 경우 영화의 내용에 관한 분석에 연구가 국한됨으로써 감독의 작가 의식에 접근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창동이 8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오월 광주에 대해 죄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죄의식이 영화 <밀양>에서 비로소 표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창동이 <밀양>을 통해 5·18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알레고리적 텍스트를 쓰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창동이 5·18이라는 주제 의식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필자는 창작자의 주제 의식 표현을 짐작할 수 있는 텍스트 외적 사항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창동이 지닌 소설가로서의 이력과 영화감독 필모그래피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창동이 영화 제목과 개봉일 선정 등을 통해 5·18에 대한 문제의식을 관객에게 전달코자 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핵심적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두 텍스트가 유사한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지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두 텍스트를 알레고리라는 서사 양식을 통해 분석한다.


      필자는 두 가지 알레고리론에 주목해 두 텍스트를 분석한다. 한 가지는 발터 벤야민이 주장한 알레고리론으로서, 그것에 따르면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어 독자가 작가의 의중을 파악함으로써 알레고리의 완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폴 드 만은 알레고리를 창조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이르렀을 때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는지는 창작자의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두 알레고리론의 어느 입장을 받아들이든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알레고리 분석에 따르면, 두 텍스트 모두 피해자의 용서가 없이는 진정한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주제 의식을 그 이면에 깔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밀양>은 두 주인공이 새로운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에 대한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준다. 5·18공동체가 거짓 국가에 저항했듯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형성한 공동체는 거짓 용서를 강요하는 신에 저항하는 공동체이다.


      필자의 이러한 알레고리 분석은 스탠리 피쉬의 ‘해석의 공동체’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피쉬에 따르면 이 공동체는 일관성의 관점을 갖고 그들만의 공통된 세계관을 형성해가며 텍스트를 쓰는 특징을 갖는데, 이창동은 「벌레 이야기」 해석과 <밀양>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5·18에 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해석의 공동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해석의 공동체 개념은 더 나아가 우리에게 5·18을 열린 텍스트로서 받아들일 기회와 5·18에 대한 새로운 텍스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양>이 「벌레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 의식, 곧5·18에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우기, "한국영화 세 감독, 이창동・홍상수・봉준호" 솔출판사 2021

      2 김성곤, "포스트모던 소설과 비평" 열음사 1993

      3 김소민, "토 → 목 → 화・수…개봉요일 ‘빨리 더 빨리’"

      4 김상봉, "철학의 헌정-5・18을 생각함" 도서출판 길 2015

      5 장윤수, "인간-되기와 소설의 발생론적 플롯, <벌레 이야기>" 한국현대소설학회 (44) : 351-376, 2010

      6 이대규, "이청준 소설 「벌레 이야기」의 상상력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5) : 1996

      7 "이창동・허문영 인터뷰, 유괴는 이 영화에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고통이다"

      8 "이창동・한선희 인터뷰, People-이창동 인터뷰"

      9 박유희, "이창동 작가론 -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3 (13): 95-143, 2017

      10 정재왈, "이창동 감독이 말하는 영화 ‘박하사탕’"

      1 임우기, "한국영화 세 감독, 이창동・홍상수・봉준호" 솔출판사 2021

      2 김성곤, "포스트모던 소설과 비평" 열음사 1993

      3 김소민, "토 → 목 → 화・수…개봉요일 ‘빨리 더 빨리’"

      4 김상봉, "철학의 헌정-5・18을 생각함" 도서출판 길 2015

      5 장윤수, "인간-되기와 소설의 발생론적 플롯, <벌레 이야기>" 한국현대소설학회 (44) : 351-376, 2010

      6 이대규, "이청준 소설 「벌레 이야기」의 상상력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5) : 1996

      7 "이창동・허문영 인터뷰, 유괴는 이 영화에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고통이다"

      8 "이창동・한선희 인터뷰, People-이창동 인터뷰"

      9 박유희, "이창동 작가론 -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3 (13): 95-143, 2017

      10 정재왈, "이창동 감독이 말하는 영화 ‘박하사탕’"

      11 김희선, "용서와 인간실존의 문제에 대한 두 태도 - 단편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4 (14): 163-194, 2009

      12 서정남,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영화학회 (43) : 199-228, 2010

      13 피셔-리히테, 에리카,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7

      14 이창동, "소지" 문학과지성사 1987

      15 최수웅, "소설과 영화의 창작방법론 비교분석-<벌레 이야기>와 <밀양>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4 : 481-503, 2007

      16 허만욱, "소설「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모티프 변환 연구 - 작가의식과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453-475, 2008

      17 송태현, "소설 「벌레 이야기」에서 영화 <밀양>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25) : 327-352, 2008

      18 김석회, "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사이" 한국문학치료학회 7 : 31-54, 2007

      19 한래희, "소설 <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서사전략 비교" 한국학연구소 (32) : 339-373, 2014

      20 이청준, "비화밀교" 문학과지성사 2013

      21 김현,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 문학과지성사 1992

      22 이청준, "벌레 이야기" 문학과지성사 2013

      23 김남혁, "벌레 이야기" 문학과지성사 2013

      24 이창동, "밀양 시나리오"

      25 이창동, "밀양"

      26 이글턴, 테리, "문학이론 입문" 창작과비평사 1986

      27 김주연, "문학을 넘어서" 문학과지성사 1987

      28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 사전" 민음사 2001

      29 김형중,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문학과지성사 2020

      30 이청준, "머물고 간 자리, 우리 뒷모습" 문이당 2006

      31 제임슨, 프레드릭, "맑스주의와 형식" 창비 2014

      32 벤야민, 발터, "독일 비애극의 원천" 한길사 2009

      33 드 만, 폴, "독서의 알레고리" 문학과지성사 2010

      34 제임슨, 프레드릭, "단일한 근대성" 창비 2020

      35 이창동, "녹천에는 똥이 많다" 문학과지성사 1992

      36 이창동, "그 섬에 가고 싶다" 살림 1991

      37 강의혁, "가족-공동체의 도래를 기다리며: 이창동의 <밀양>과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읽기" 문학과영상학회 20 (20): 417-441, 2019

      38 장안수, "反抗으로서의 自殺 -李淸俊 단편 <벌레 이야기>의 실존주의문학적 성격" 한국문학회 34 : 21-615, 2003

      39 최재헌, "『천로역정』의 알레고리와 해석" 인문학술원 (8) : 79-107, 2017

      40 김왕배, "‘분노의 분노’를 넘어, 5.18 항쟁의 시간과 기억" 호남학연구원 (23) : 191-225, 2021

      41 Parker, Andrew, "Performativity and Performance" Routledge 1995

      42 Fish, Stanley, "Is There a Text in This Cl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43 광주광역시 5・18 사료 편찬위원회, "5・18 광주 민주화운동 자료총서 2권" 광주광역시 5・18 사료 편찬위원회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amsung -> Emotion Studies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