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이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나주시 지역 소재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36856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체육교육 , 2015. 2
2015
한국어
370
광주
64 ; 26 cm
지도교수: 김인숙 교수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이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나주시 지역 소재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이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나주시 지역 소재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본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Rendom Smpling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227명의 자료를 SPSS Win Ver.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처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 몰입,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성역할 인식의 여성성이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 도전과 통제감, 수업만족도의 교수행동 만족, 체육환경 만족, 체육성적 만족, 운동능력 만족 등 모든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 도전과 통제감 등, 모든 요인이 수업만족도의 교수행동 만족, 체육환경 만족, 운동능력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가 체육성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및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체육수업에 있어서 성역할 인식의 남성성이 여성성 요인 보다 수업 몰입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수업에 몰입하며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성 요인이 수업 몰입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으며 체육수업을 남성성이 강하고 여성미와 거리가 있는 수업이 아닌 여성에게도 적합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과목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신체적 구조․운동 능력 면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고, 여학생도 체육을 잘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gender role affect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tudy represents the population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gender role affect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tudy represents the popu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Na-ju, Jeollanam-do,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and having them to answer by Self-Administrated Method.
To validate the hypothesis, SPSS Win Ver. 18.0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except the questionnaire which the answer was insincere, and left out. As a result,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 and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all factors. In other words, feminity in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 affects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ense of challenge and control, the satisfaction about acting of professor,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record, and exercise ability.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all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ense of challenge and control showed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satisfaction about acting of professor,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exercise ability. Also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howed positive effect i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record.
Synthetically, in the recognition of preceding research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erception toward gender role of masculin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bigger effects in the commitment to the class satisfaction, and male students were more absorbed to the class and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Meanwhile, in this study, the factor of feminity showed higher effects in the commitment to the class and satisfac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lso suitable for female and arouse them interest, not have only a masculinity and is not a long way from feminity. As result,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of body structure and exercise ab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it is considered that female students can also good at physical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