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과의 교육출판 교류 협력 방안 연구 :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asures to Promote Exchange in Educational Publishing with China : Focusing o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5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educational publishing between Korea and China, particularl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o do so, it examines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in both countries and the bilateral exchanges that have been going on in the past, particularly focusing o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Both Koreans and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seen decreasing demand for education due to a sharp drop in the population resulting from low birth rates and their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for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ublishing as a way to resolve the problems that have arisen therefrom. First, the exchanges should be made on a regular basi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Second, they should be set up in a way that can develop the educational culture, rather than merely highlighting the educational aspect. Third, they should focus on building a win-win partnership instead of providing one-sided support.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Korea’s advanced education system to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order to nurture talents who reflect the values in today’s society, such as creativity and expertis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educational publishing between Korea and China, particularl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o do so, it examines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in both countries and the bilatera...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educational publishing between Korea and China, particularl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o do so, it examines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in both countries and the bilateral exchanges that have been going on in the past, particularly focusing o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Both Koreans and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seen decreasing demand for education due to a sharp drop in the population resulting from low birth rates and their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for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ublishing as a way to resolve the problems that have arisen therefrom. First, the exchanges should be made on a regular basi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Second, they should be set up in a way that can develop the educational culture, rather than merely highlighting the educational aspect. Third, they should focus on building a win-win partnership instead of providing one-sided support.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Korea’s advanced education system to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order to nurture talents who reflect the values in today’s society, such as creativity and expert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민정, "한중 간 인재 육성 및 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1

      2 이진하, "한국과 중국의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2017

      3 류천, "한․중 고등교육 교류와 협력 발전방안"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 김경준, "청소년 국제교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5

      5 채휘균, "중국내 조선족 교육의 전개와 현안문제 고찰" 한국교육철학회 (29) : 179-197, 2006

      6 이병진, "중국 조선족의 민족교육 실태와 과제" 10 (10): 215-255, 2000

      7 주봉호, "중국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과제"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49-172, 2006

      8 최상록,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전망" 연변대학출판사 1995

      9 최우길,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과의 교육 교류를 중심으로"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6 (6): 83-102, 2012

      10 박금해, "중국 조선족 교육 그 현황과 과제" 3 (3): 1999

      1 손민정, "한중 간 인재 육성 및 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1

      2 이진하, "한국과 중국의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2017

      3 류천, "한․중 고등교육 교류와 협력 발전방안"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 김경준, "청소년 국제교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5

      5 채휘균, "중국내 조선족 교육의 전개와 현안문제 고찰" 한국교육철학회 (29) : 179-197, 2006

      6 이병진, "중국 조선족의 민족교육 실태와 과제" 10 (10): 215-255, 2000

      7 주봉호, "중국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과제"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49-172, 2006

      8 최상록,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전망" 연변대학출판사 1995

      9 최우길,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과의 교육 교류를 중심으로"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6 (6): 83-102, 2012

      10 박금해, "중국 조선족 교육 그 현황과 과제" 3 (3): 1999

      11 박금해, "조선족중소학교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대안모색" 역사문화연구소 (41) : 173-200, 2012

      12 구자억, "재외동포 교육실태 및 인재육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9-81, 2008

      13 허명철, "연변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4 崔埰卿, "세계화와 國際理解敎育에 關한 硏究 : 우리나라 中·高 社會科 敎育을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5 김기헌, "동북아시대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청소년 국제교류 발전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6 이문학, "교과서출판사의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46 (46): 29-52, 2020

      17 허강, "교과서 발행사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교과서 편집인력의 전문성 확보 및교과서 전문출판사 육성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교과서연구재단 150-152, 2003

      18 "https://ko.wikipedia.org/wiki/%EC%82%B0%ED%95%B4%EA%B4%80"

      19 최성학, "21세기 초 조선족 교육의 문제 및 개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