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초단체장의 거버넌스 리더십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Effects of governance leadership on the Concurrent Local Elections of 2014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5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oroug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ocal election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leadership on the concurrent local elections of 2014 in Korea. We can classify thre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lo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oroug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ocal election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leadership on the concurrent local elections of 2014 in Korea. We can classify thre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local leadership especially according to priority of political party and values. Classical bureaucratic leadership centered on procedure and hierarchy in organization. C.E.O. leadership focused on markets serving individuals as customers. Governance leadership stressed on the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of the public. The analysis shows that governance leadership have a great influence on candidates’' winning as another variable in electoral outcome.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two structural change. First. our research show that modern-day citizens in Korea are the most educated, most cosmopolitan, and most supportive of self-expressive values and stressed on independent, assertive civic activism ranging form volunteerism to public protest. Second. the appearance of Life Politics in Korea which emphasize on civi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리더십의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고 지난 지방선거에서 어떤 유형의 리더십이 재선에 가장 많이 성공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리더십의 세 가지 유형은 전통적 행정통치 모...

      본 연구는 리더십의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고 지난 지방선거에서 어떤 유형의 리더십이 재선에 가장 많이 성공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리더십의 세 가지 유형은 전통적 행정통치 모델인 관료형 리더십, 효율성과 성과를 중시하는 기업가형 리더십, 그리고 소통과 주민참여를 중심하는 거버넌스 리더십이다.
      지난 지방선거를 분석한 결과 거버넌스 리더십의 재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결과는 낳은 원인으로 시민들의 직접행동과 자기-표현가치를 중심하는 후기산업화 시대의 흐름과 삶의 질과 복지 등을 중심하는 생활정치로의 정책 전환을 제시하였다. 우리 실정에 맞는 성공적인 거버넌스 리더십 모델의 구축이 시급한 과제임을 밝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민, "한국지방정치의 특징" 33 (33): 1999

      2 이상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성패에 따른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4 (14): 187-219, 2012

      3 박찬표, "책임정당정치(책임정당정부)의 논리와 조건" 2008

      4 김범수,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에 미치는 정당요인 분석" 2013

      5 이승종,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자질" 2001

      6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 관한 경험적 연구: Yates의 모형을 기준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1 (21): 79-102, 2012

      7 이창원, "지방자치단체의 계층이 단체장의 리더십 행태와 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34 (34): 2000

      8 희망제작소, "지방자치가 우리 삶을 바꾼다: 지역을 바꾼 77가지 혁신사례, 목민관 총서" 2014

      9 잉글하트, "조용한 혁명" 종로서적 1980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 6. 4)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 2014

      1 박종민, "한국지방정치의 특징" 33 (33): 1999

      2 이상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성패에 따른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4 (14): 187-219, 2012

      3 박찬표, "책임정당정치(책임정당정부)의 논리와 조건" 2008

      4 김범수,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에 미치는 정당요인 분석" 2013

      5 이승종,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자질" 2001

      6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 관한 경험적 연구: Yates의 모형을 기준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1 (21): 79-102, 2012

      7 이창원, "지방자치단체의 계층이 단체장의 리더십 행태와 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34 (34): 2000

      8 희망제작소, "지방자치가 우리 삶을 바꾼다: 지역을 바꾼 77가지 혁신사례, 목민관 총서" 2014

      9 잉글하트, "조용한 혁명" 종로서적 1980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 6. 4)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 2014

      11 정상호, "정치담론으로서 ‘생활정치’ 연구의 현황 및 과제" 제3섹터연구소 7 (7): 5-38, 2009

      12 제임스 번즈,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지식의날개) 2006

      13 잉글하트, "민주주의는 어떻게 오는가" 김영사 2011

      14 제임스 번즈, "미국지방정치론" 大旺社 2001

      15 정상호, "리더십의 조건과 과제: 초대 통합 청주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10 (10): 2015

      16 희망제작소, "똑똑똑 시장님 지금 뭐하세요?, 목민관 총서" 2013

      17 권경환, "기초단체장 재선이 자치단체 세출예산 지출패턴에 미친 영향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291-308, 2005

      18 희망제작소, "군수님 지금 뭐하세요?, 목민관 총서" 2013

      19 리처드 P. 채이트, "거버넌스 리더십" 삼우반 2013

      20 Cunningham, J. V., "Urban Leadership in the Sixties" Schenkman 1970

      21 Conger, J. A.,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Business" 3 : 81-98, 1987

      22 Vroom, V., "The new leadership" prentice-hall 1988

      23 Northrop, Alana,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1

      24 Yates, Douglas, "The Ungovernable City" An MIT press classic 1977

      25 House, R. J., "Path-Goal Theory of Leadership. Contemporary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12) : 637-651, 1974

      26 Miller L., "Models of Local Governance" Palgrave 2000

      27 Brunk, Gregory G., "How Important is Elite Turnover to Policy Change?" 28 (28): 559-569, 1984

      28 Bass, B. M., "Hansbook of Leadership : Theory, Research, & Managerial Application" Free Press 1990

      29 Gyford, John., "Half a Century of Municipal Decline" Allen & Unwin 1985

      30 Crenson, Matthew A., "Dow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2

      31 Fung, Archon, "Deepening Democracy: Institutional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Verso 2003

      32 Bledsoe, Timothy, "Careers in City Politics: The Case for Urban Democrac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3

      33 Quinn, Robert E., "Becoming a Master Manager: A Competence Framework" John Wiley & Sons, Inc 1996

      34 남기헌, "21세기 자치단체장에 요구되는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2005

      35 황아란,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한국정치학회 47 (47): 277-29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