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들의 학교급(초·중·고)별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과 효과 = 성 인식, 부정적 효과, 성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4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오픈마켓의 유해콘텐츠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되지 못하고 있고, 청소년보호를 위한 과학적인 스마트폰 오픈마켓 정책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연구설계를 수행하였다. 첫째,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급별 주요 측정변인의 평균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급별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 유해콘텐츠에 대한 인식, 도덕성, 집단 규범, 성 인식,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의 효과 인식, 성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의 효과, 즉 성 인식,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의 부정적 효과, 성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량 중 음란물, 게임(사행성) 콘텐츠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이용량이 많았다. 폭력물, 자살물, 게임(폭력, 선정성)은 초등학생에 비해 중고등학생의 이용량이 많았다.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규제에 대한 인식은 학교급이 높을수록 부정적이었고, 유해 콘텐츠에 대한 경고 메시지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본 경험이 많았다. 성 인식은 학교급이 높을수록 개방적이었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음란물 이용량, 성별(남성)이었다. 초, 중, 고등학생의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의 부정적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오픈마켓 규제에 대한 긍정 인식, 주변 친구가 오픈마켓 유해콘텐츠를 많이 이용할 것이라는 개인의 인식(집단 규범)이었다. 초, 중, 고등학생들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도덕성, 집단 규범이었다. 이 밖에 개별독립변인이 각각의 종속 변인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적절하게 규제하기 위한 수용자 차원의 가이드 라인과 정책안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마트폰 오픈마켓의 유해콘텐츠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되지 못하고 있고, 청소년보호를 위한 과학적인 스마트폰 오픈마켓 정책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오픈마켓의 유해콘텐츠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되지 못하고 있고, 청소년보호를 위한 과학적인 스마트폰 오픈마켓 정책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연구설계를 수행하였다. 첫째,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급별 주요 측정변인의 평균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급별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 유해콘텐츠에 대한 인식, 도덕성, 집단 규범, 성 인식,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의 효과 인식, 성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의 효과, 즉 성 인식,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의 부정적 효과, 성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마트폰 유해콘텐츠 이용량 중 음란물, 게임(사행성) 콘텐츠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이용량이 많았다. 폭력물, 자살물, 게임(폭력, 선정성)은 초등학생에 비해 중고등학생의 이용량이 많았다.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규제에 대한 인식은 학교급이 높을수록 부정적이었고, 유해 콘텐츠에 대한 경고 메시지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본 경험이 많았다. 성 인식은 학교급이 높을수록 개방적이었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음란물 이용량, 성별(남성)이었다. 초, 중, 고등학생의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이용의 부정적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오픈마켓 규제에 대한 긍정 인식, 주변 친구가 오픈마켓 유해콘텐츠를 많이 이용할 것이라는 개인의 인식(집단 규범)이었다. 초, 중, 고등학생들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은 도덕성, 집단 규범이었다. 이 밖에 개별독립변인이 각각의 종속 변인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콘텐츠 적절하게 규제하기 위한 수용자 차원의 가이드 라인과 정책안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수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there had been no accumulation of empirical studies on harmful content on the smartphone open market and no scientific policy plans for the smartphone open market to protect adolescent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amounts of obscene and speculative game content of harmful smartphone content increased by school leve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more violence, suicide, and violent or obscene game content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students moved up along the school levels, they had negative perceptions of regulations on harmful content on the open market and more experiences of watching a warning message for harmful content. The gender consciousness became increasingly open according to school level. Secondly,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gender conscious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usage amounts of obscene content and gender (male).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s of negative effects of harmful content usage on the open market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open market regulations and individual perceptions (collective norm) that their friends would use a lot of harmful content on the open market.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grad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ality and collective norm. In addition,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had differentiating impacts on their respective dependent variabl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there had been no accumulation of empirical studies on harmful content on the smartphone open market and no scientific policy plans for the smartphone open market to protect adolescents. T...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there had been no accumulation of empirical studies on harmful content on the smartphone open market and no scientific policy plans for the smartphone open market to protect adolescent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amounts of obscene and speculative game content of harmful smartphone content increased by school leve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more violence, suicide, and violent or obscene game content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students moved up along the school levels, they had negative perceptions of regulations on harmful content on the open market and more experiences of watching a warning message for harmful content. The gender consciousness became increasingly open according to school level. Secondly,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gender conscious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usage amounts of obscene content and gender (male).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s of negative effects of harmful content usage on the open market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open market regulations and individual perceptions (collective norm) that their friends would use a lot of harmful content on the open market.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grad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ality and collective norm. In addition,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had differentiating impacts on their respective dependent variab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동필, "폭음행위 이해: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회 49 (49): 346-372, 2005

      2 곽금주, "컴퓨터 게임과 아동, 청소년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개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47-175, 2004

      3 주지혁, "초등학생의 우울증, 스마트폰 중독 및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Partial Least Square(PLS) 경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9-60, 2013

      4 김여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양동규,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경험과 성비행간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 (52): 325-347, 2004

      6 김덕모,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이용 행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3 (3): 5-50, 2003

      7 이현우, "청소년의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이 사이버 일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163-198, 2009

      8 최믿음,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간접적․공적, 직접적․사적 인터넷 공간에서의 언어폭력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375-402, 2012

      9 오대영, "청소년들의 스마트미디어 이용과 중독, 효과에 관한 연구: 스마트 미디어 이용동기, 중독, 공격성, 성적, 학교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25-158, 2014

      10 김유정,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이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이용 후의 성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4 (24): 45-84, 2010

      1 차동필, "폭음행위 이해: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회 49 (49): 346-372, 2005

      2 곽금주, "컴퓨터 게임과 아동, 청소년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개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47-175, 2004

      3 주지혁, "초등학생의 우울증, 스마트폰 중독 및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Partial Least Square(PLS) 경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9-60, 2013

      4 김여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양동규,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경험과 성비행간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 (52): 325-347, 2004

      6 김덕모,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이용 행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3 (3): 5-50, 2003

      7 이현우, "청소년의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이 사이버 일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163-198, 2009

      8 최믿음,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간접적․공적, 직접적․사적 인터넷 공간에서의 언어폭력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375-402, 2012

      9 오대영, "청소년들의 스마트미디어 이용과 중독, 효과에 관한 연구: 스마트 미디어 이용동기, 중독, 공격성, 성적, 학교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25-158, 2014

      10 김유정,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이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이용 후의 성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4 (24): 45-84, 2010

      11 KBS,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심각...여학생 더 심해"

      12 이성아, "청소년 스마트폰 음란물차단프로그램 설치율 4.6%"

      13 백혜정, "청소년 성 인식 및 행동 실태와 대처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14 유평수,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33-51, 2010

      15 윤미애,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김인숙, "주류 광고 모델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PR학회 17 (17): 5-36, 2013

      17 오치선, "전자영상매체가 청소년의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 237-265, 1996

      18 이해길, "인터넷 음란물 제공 청소년이 위험하다"

      19 행정안전부, "음란물 본 청소년 5% “성추행·성폭행 충동 느껴"

      20 오대영, "스마트환경에서의 청소년 유해정보 실태 및 대응 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3

      21 최현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005-1015, 2012

      22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스마트폰(iSO 기반)애플리케이션 오픈마켓 내 유해정보 유통실태 조사결과" 2011

      23 이창호,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13

      24 오예진, "스마트폰 음란물 90%가 앱에서 나와"

      25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스마트폰 오픈마켓 불법·유해정보 현황 및국내외 규제정책 비교연구" 2013

      26 김현아, "스마트폰 앱이 10대 성매매 창구 역할 한다"

      27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오픈마켓 내 유해정보 유통실태 조사결과" 2010

      28 조아미, "사회환경과 청소년-중·고등학생의 유해 음란 전자영상물 접촉실태와 그 영향" 9 : 1997

      29 김인철, "방심위, 성인용 앱 82개 ‘청소년유해매체물’ 결정"

      30 김경휘, "근로빈곤가구의 주거 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49-179, 2009

      31 이정기, "국내외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정보 실태와 청소년보호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86) : 7-44, 2014

      32 채경혁,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탁수연, "고등학생의 사이버일탈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및 행동특성의 관계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33-258, 2007

      34 이정기,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5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보도자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스마트폰 청소년 유해 매체물 결정 현황"

      36 Greeson, L. E., "Social implications of music video on youth : 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effects of MTV" 18 : 177-189, 1986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2014

      38 여성가족부, "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2012

      39 방송통신위원회, "2012년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