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8 판문점 사건은 두 명의 유엔사 소속 미군 장교가 남·북한의 중립 지대였던 판문점에서 북한군에 의해 살해당한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에는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80350
김보국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22
Korean
archives ; diplomatic documents ; Hungary ; Joint Security Area ; Korean axe murder incident ; North Korea ; Panmunjom axe murder incident ; South Korea ; Cold War ; Eastern Europe ; 8.18 판문점 사건 ; 아카이브 ; 헝가리 ; 외교문서 ; 남한 ; 북한 ; 냉전 ; 동유럽 ; 공동경비구역
KCI등재
학술저널
153-178(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8.18 판문점 사건은 두 명의 유엔사 소속 미군 장교가 남·북한의 중립 지대였던 판문점에서 북한군에 의해 살해당한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에는 다�...
8.18 판문점 사건은 두 명의 유엔사 소속 미군 장교가 남·북한의 중립 지대였던 판문점에서 북한군에 의해 살해당한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에는 다시 전운의 긴장감이 최고조로 달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외교문서를 통해 이 사건의 특징과 이 사건이 발발하기 전의 상황, 그리고 사건의 추이와 결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해석은 북한이 당시 불리한 외교적 입지를 “뒤흔들어” 보려는 의도에서 이 사건을 계획했다거나, 한국 방어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시험해 보고자 행했던 북한의 도발, 또는 한·미 동맹의 공고성을 확인하기 위한 북한의 모험에 해석의 방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고는 미루나무 가지치기 도중 유엔사와 북한군 측의 충돌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이 사건이 우발적으로 발생하였음을 주장한 선행논문의 후속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외교문서를 통해 이 사건의 특징과 이 사건이 발발하기 전의 상황, 그리고 사건의 추이, 결과 및 헝가리 측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당시 수년에 걸쳐 미국과 접촉하며 북·미 관계 정상화를 기대했던 북한의 시도는 더 이상 실효성을 갖지 못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unprecedented incident, in which two U.S. officers belonging to the UNC were killed by North Korean forces at Panmunjom, a neutral zon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escalated military tensions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to the brink of war ...
This unprecedented incident, in which two U.S. officers belonging to the UNC were killed by North Korean forces at Panmunjom, a neutral zon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escalated military tensions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to the brink of war again.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ase, the situation before the outbreak of this case, its progress,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the Hungarian diplomatic documents.
According to the avaluation of South Korea and US, the Panmunjom incident could be viewed as a provocation designed by North Korea to“shake up” its unfavorable diplomatic position at the time, a provocation to test the US will to defend South Korea, or an adventure to confirm the solidity of the ROK-US alliance.
It is interesting that the ex-socialist countries appearing in Hungarian diplomatic documents, including the Soviet Union and China, took a critical stance on North Korea.
In any case, due to this incident, North Korea’s attempts to normalize North Korea-US relations through contact with the United States over the years at that time could no longer be vali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국, "헝가리 외교문서로 본 한국 현대사의 주요 장면들" 선인 2017
2 정치부, "정가반사-판문점 사건"
3 김필재, "서울에서 버젓이 팔리는 日좌익잡지 <世界>" 조갑제닷컴
4 문순보, "데탕트의 쇠퇴와 남-북-미 관계의 동학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6) : 265-294, 2010
5 오진용, "김일성 시대의 중소와 남북한" 나남 2004
6 송호창, "北傀, 我軍哨所에 銃질"
7 "XIX-J-1-K. Észak-Korea. 1976. 39 doboz. 4008/9.“A koreai nagykövet látogatása Rácz elvtársnál”(조선대사가 라츠 팔(Rácz Pál) 동지를 방문)"
8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8.“Emlékeztető a KNDK küldöttségével folytatott megbeszélésről”(조선 파견단과 나눈 대화에 관한 보고)"
9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7.“Szovjet vélemén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판문점 사건에 대한 소련의 견해)"
10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5.“Vélemé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판문점사건에 관한 의견)"
1 김보국, "헝가리 외교문서로 본 한국 현대사의 주요 장면들" 선인 2017
2 정치부, "정가반사-판문점 사건"
3 김필재, "서울에서 버젓이 팔리는 日좌익잡지 <世界>" 조갑제닷컴
4 문순보, "데탕트의 쇠퇴와 남-북-미 관계의 동학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6) : 265-294, 2010
5 오진용, "김일성 시대의 중소와 남북한" 나남 2004
6 송호창, "北傀, 我軍哨所에 銃질"
7 "XIX-J-1-K. Észak-Korea. 1976. 39 doboz. 4008/9.“A koreai nagykövet látogatása Rácz elvtársnál”(조선대사가 라츠 팔(Rácz Pál) 동지를 방문)"
8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8.“Emlékeztető a KNDK küldöttségével folytatott megbeszélésről”(조선 파견단과 나눈 대화에 관한 보고)"
9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7.“Szovjet vélemén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판문점 사건에 대한 소련의 견해)"
10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5.“Vélemé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판문점사건에 관한 의견)"
11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5.“Vélemé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판문점사건에 관한 의견)"
12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4.“Véleméyek a panmindzsoni provokációról”(판문점 도발에 관한 의견들)"
13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3.“Koreai nagykövet látogatása a panmindzsoni incidenssel kapcsolatban”(판문점 사건과 관련하여 조선 대사의 방문)"
14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2.“KNDK véleméy a panmindzsoni provokációról” (판문점 도발에 관한 조선의 의견)"
15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14.“KNDK véleméy a panmindzsoni eseményekkel kapcsolatban”(판문점 사건과 관련된 조선의 의견)"
16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13.“A koreai feszültség kiéleződése”(조선에서 첨예화되는 긴장)"
17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11.“Koreai véleméy a panmindzsoni eseményekről” (판문점 사건에 대한 조선의 의견)"
18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1.“KNDK véleméy a panmindzsoni provokációról” (판문점의 도발에 관한 조선의 의견)"
19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522.“A KNDK támogatás kérése /Mongólia/”(조선의 지원요청/몽골/)"
20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4254/8.“A jelentés a MN. Katonai küldöttsége Koreában tett hivatalos látogatásáról”(헝가리 군 사절단의 공식 조선 방문에 관한 보고)"
21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2759/1. “A katonai fegyverszüneti bizottség 377. ülése”(제377차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22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2759. “A KNDK és az USA tisztjeinek érintkezése Panmindzsonban-a semleges ellenőrző bizottság ülése”(판문점에서 조선과 미국 장교들의 만남 –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
23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7. “A KNDK belpolitikai helyzetének alakulása a panmindzsoni incidens után”(판문점 사건 이후 조선 내정 상황의 추이)"
24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5. “A Panmindzsoni eseményeket követő KNDK in tézkedések”(판문점 사건들 이후 조선의 조치들)"
25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4. “A Panmindzsoni eseményeket követő KNDK intézkedések”(판문점 사건 이후 북한의 조치들)"
26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3. “NDK tájékoztatás és érdeklődés a koreai félszigeten kialakult helyzettel kapcsolatos álláspontról”(동독의 안내와 조선 반도의 상황과 관련된 입장에 대한 문의)"
27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2. “A koreai helyzet értékelése”(조선의 상황 평가)"
28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1. “KNDK belső helyzete”(조선의 내정 상황)"
29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 “KNDK külügymin. h. véleménye a FKP politikájáról és a koreai helyzetről”(프랑스 공산당의 정책과 조선 상황에 관한 조선 외무성 부상의 의견)"
30 "XIX-J-1-J. Észak-Korea. 1976. 82 doboz. 001915. “KNDK belpolitikai helyzete”(조선의 내정 상황)"
31 International Cultural Society of Korea, "South-North Dialogue in Korea, No. 11, Nov. 1976" International Cultural Society of Korea 1979
32 DeLateur, Colonel Conrad A., "MURDERAT PANMUNJOM: The Role of the Theatre Commander in Crisis Resolution"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Service Institute 1987
33 "M-KS 288. f. 32. cs. 202. ő. e. 195. doboz. B tétel. 1976. 00255/26/1976. “Feljegyzések delegációk látogatásáról”(사절단들의 방문에 관한 보고들)"
34 박영민, "DMZ 평화지대화 추진의 조건과 과제" 3 (3): 151-172, 2019
35 Choudhury, G. W, "China in World Affairs: The Foreign Policy of the PRC since 1970" Westview Press 1982
36 김보국, "8.18 판문점 사건, 계획된 도발인가, 우발적 사건인가?" 인문학연구소 35 : 219-243, 2021
37 홍석률, "1976년 판문점 도끼 살해사건과 한반도 위기"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271-299, 2005
나진·김상연 역술 『국가학』의 저본: 정혜정의 논문을 계기로
2021년 한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과 선거 경쟁
2021년 중국: 시진핑(习近平) 주석의 장기집권을 향한 포석 다지기와 도전
정치리더십 선호 배경 분석: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6 | 1.013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