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환경 특성에 따른 산지형 및 해안형 아파트의 주거가치 상승 결정요인 비교 분석 =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Mountainous and Coastal Area's Housing Valu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3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of mountainous and coastal area's housing valu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current issue of housing value is throwing the spotlight on the climate change recently, environ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of mountainous and coastal area's housing valu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current issue of housing value is throwing the spotlight on the climate change recently, environmental features are significantly important than before.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 the housing price but these studies were mostly dealing with the housing price in especially apartments nearby Han-river in Seoul, South Korea. To have differences with existing studi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stimating housing value are classified as 8 elements including the view, the wind speed, and the humid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 following; there were few significant environmental variables in mountainous housing value growth model. This means people living in mountainous area recognize on environmental factors more such as housing or complex characteristics. People living in coastal area are much more sensitive environment variables in their residence value than mountainous area. Especially, the view for the ocean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ousing value, and wind speed is second positively significant. Humidity and safety of disaster are negatively significant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연환경 특성에 따른 산지형 및 해안형 아파트의 주거가치 상승 결정요인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최근 주거가치의 쟁점은 기후 변화이고, 자연환경 요인이 점점 중요한...

      본 연구는 자연환경 특성에 따른 산지형 및 해안형 아파트의 주거가치 상승 결정요인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최근 주거가치의 쟁점은 기후 변화이고, 자연환경 요인이 점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그래서 많은 연구들이 자연환경이 주거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지만, 대부분 서울 한강 근처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을 위하여, 자연환경 요인들을 조망, 체감풍속, 체감습도 등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지형 아파트의 경우에는 유의한 자연환경적 요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산지형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환경적 요소보다는 주택특성이나 다른 특성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해안형 아파트 거주민들은 산지형 아파트 거주민들에 비해 자연환경적 요소들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특히, 해안지역의 조망여부는 주거가치 상승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체감풍속은 두 번째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습도와 재해에 대한 안전도는 부정적 변수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성돈, "한강시민공원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뚝섬지구한강시민공원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275-285, 2003

      2 이정수, "친환경 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01-110, 2008

      3 최열,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대한토목학회 32 (32): 275-281, 2012

      4 최열,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을 이용한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0, 2003

      5 최열, "누적로짓모형을 이용한 주거지 침수 위험에 대한 지불의사 분석" 대한토목학회 27 (27): 629-637, 2007

      6 김태호, "그린벨트 및 주택의 어메니티 요소가 주택임대료에 미치는 영향력의 시계열적 변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5-5, 2006

      7 최막중, "고용 및 녹지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한 잠재력 모형의 주거입지 수요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55-63, 2002

      8 Luttik, J., "The valuse of trees, water and open space as reflected by house prices in the Netherlands" 48 : 161-167, 2000

      9 Sander, H, "The value of urban tree cover : A hedonic property price model in Ramsey and Dakota Counties, Minnesota, USA" 69 : 1646-1656, 2010

      10 Tyrvainen, L., "The amenity value of the urban forest: an application of the hedonic pricing method" 37 : 211-222, 1997

      1 양성돈, "한강시민공원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뚝섬지구한강시민공원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275-285, 2003

      2 이정수, "친환경 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01-110, 2008

      3 최열,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대한토목학회 32 (32): 275-281, 2012

      4 최열,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을 이용한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0, 2003

      5 최열, "누적로짓모형을 이용한 주거지 침수 위험에 대한 지불의사 분석" 대한토목학회 27 (27): 629-637, 2007

      6 김태호, "그린벨트 및 주택의 어메니티 요소가 주택임대료에 미치는 영향력의 시계열적 변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5-5, 2006

      7 최막중, "고용 및 녹지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한 잠재력 모형의 주거입지 수요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55-63, 2002

      8 Luttik, J., "The valuse of trees, water and open space as reflected by house prices in the Netherlands" 48 : 161-167, 2000

      9 Sander, H, "The value of urban tree cover : A hedonic property price model in Ramsey and Dakota Counties, Minnesota, USA" 69 : 1646-1656, 2010

      10 Tyrvainen, L., "The amenity value of the urban forest: an application of the hedonic pricing method" 37 : 211-222, 1997

      11 Shim, J. h, "The Effect of Perceived Housing Value on the Apartment Pric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Hong Ik University 2010

      12 Mansfield, "Shades of Green : measuring the value of urban forests in the housing market" 11 (11): 177-199, 2005

      13 Pindyck, R. S, "Microeconomics" Prentice Hall 2001

      14 Hui, Eddie C. M, "Measuring the neighboring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 Using spatial weighting matrix" 42 : 2333-2343, 2007

      15 Anderson, L. M, "Influence of trees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s in Athens, Georgia (USA) : a survey based on catual sales prices" 15 : 153-164, 1988

      16 Chattopadhyay, S., "Estimating the demand for air quality : New Evidence based on the Chicago housing market" 75 (75): 22-38, 1999

      17 Agresti, A.,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1996

      18 Son, E. J, "A Study on the effect of Seoul Forest on Surrounding Apartment Pric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19 Kim, K. H, "A Study on the Pric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ing in the Waterfront Area and the directions for Site Planning" 33 (33): 119-134,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