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대강은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시기에 나타난 주요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측정된 한국인의 이념성향이, 지지하는 후보자나 정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64977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5-98(34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대강은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시기에 나타난 주요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측정된 한국인의 이념성향이, 지지하는 후보자나 정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
본 연구의 대강은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시기에 나타난 주요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측정된 한국인의 이념성향이, 지지하는 후보자나 정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유권자들이 스스로를 이념 지표에 자리매김할 때와 지지후보와 정당을 결정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국가보안법 이슈가 진보를 보수로부터 분리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권자가 실제 선거를 앞두고 지지후보 혹은 지지정당을 결정할 경우에는 자신의 이념성향을 인식할 때보다 더 단순화된 이슈를 근거로(즉, ‘요약적 심리성향’을 근거로) 판단을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국회의원선거에서보다는 대통령선거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사회적 이슈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보 성향을 표방하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경우 2004년 17대 총선을 앞둔 조사에서 볼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의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보다 좀 더 다양한 분야의 이슈들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한국인의 이념성향이란 것은 여전히 국가보안법 이슈가 중요한 준거틀로 활용되고 있지만, 또 다른 주요 판단 준거로 작용하는 이슈들의 경우는 당시 사회적 상황에 따라서 어느 정도 변화할 개연성이 감지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35 (35): 153-171, 2001
2 "한국인의 주관적 이념과 대외정책 신념체계 대북인식과 대미인식에서 나타나는 일반국민과 엘리트의 차이를 중심으로" 11 : 91-105, 2005
3 "한국인의 정치의식 정치적 이념의 형성과 가치변화 16대 대선에 나타난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7) : 125-148, 2003
4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13 (13): 6-32, 2005
5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지속성 그리고 민주화" 33 (33): 111-131, 1999
6 "한국의 이념성향 선거정치" 서울: 푸른길 115-148, 1999
7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서울: 오름 1999
9 "한국의 선거 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서울: 푸른길 2003
10 "한국 정치이념의 역사와 과제" 11 (11): 1-42, 2002
1 "한국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35 (35): 153-171, 2001
2 "한국인의 주관적 이념과 대외정책 신념체계 대북인식과 대미인식에서 나타나는 일반국민과 엘리트의 차이를 중심으로" 11 : 91-105, 2005
3 "한국인의 정치의식 정치적 이념의 형성과 가치변화 16대 대선에 나타난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7) : 125-148, 2003
4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13 (13): 6-32, 2005
5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지속성 그리고 민주화" 33 (33): 111-131, 1999
6 "한국의 이념성향 선거정치" 서울: 푸른길 115-148, 1999
7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서울: 오름 1999
9 "한국의 선거 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서울: 푸른길 2003
10 "한국 정치이념의 역사와 과제" 11 (11): 1-42, 2002
11 "한국 정치에서 이념적 중도 유권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362-380, 2005
12 "한국 유권자의 정치사회적 균열구조에 대한 인식 지역 이념 그리고 세대갈등을 중심으로" 21 : 249-266, 2003
13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39 (39): 321-344, 2005
14 "지역주의의 정치적 정향과 태도" 18 (18): 155-178, 2002
15 "지역주의 논쟁 비판이론적 시각에 대한 비판" 31 (31): 203-232, 1997
16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39 (39): 375-394, 2005
17 "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13 (13): 143-165, 2004
18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유권자 투표결정요인 분석" 13 (13): 117-141, 2004
19 "제16대 대선의 정치이념과 정책비교분석" 10 (10): 127-153, 2003
20 "정치이념과 정당에 대한 태도의 변화와 상호적 역동성" 108-125, 2006
21 "전환시대의 국가체제와 정치개혁"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0
22 "이데올로기와 지역주의 그리고 2002년 대통령선거" 9 (9): 139-168, 2003
23 "이념적 스펙트럼의 제한적 확장과 진보정당의 원내진출"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24 "유권자의 지역주의 성향과 투표" 서울: 푸른길 1998
25 "왜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는 위기에 처하게 되었나?" 36 (36): 395-415, 2002
26 "영남 지역주의의 변화" 27 (27): 161-191, 2005
27 "수평적 정권교체: 한국정치의 대안인가" (창간) : 1996
28 "세대와 정치이념" 2002
29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서울: 도서출판 후마니타스 2002
30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의 갈등구조와 전망 공간이론과 2002년 대통령선거" 15 (15): 111-131, 2005
31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의 갈등구조와 전망" 2003
32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33 (33): 115-134, 1999
33 "노동 없는 정당체제와 노동 있는 정당체제" 35 (35): 317-335, 2004
34 "남북관계와 국내정치의 갈등구조 통일담론을 중심으로" 40 (40): 311-330, 2000
35 "남남갈등의 기원과 전개과정" 서울: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4
36 "균열구조의 발전과 한국 정당정치의 전개: 역사적 고찰" 231-250, 1998
37 "가치변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1990-2001년간의 변화 비교연구" 38 (38): 2004193-215
38 "“한국인의 투표행태 제14대 총선을 중심으로" 3113-3132, 1992
39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의 정당지지분석 한국의 선거Ⅰ" 67-115, 1993
40 "“정치세대와 14대 국회의원선거" 257-274, 1994
41 "“유권자의 여야성향과 투표행태 한국의 선거 I" 도서출판 나남 1993
42 "Public Attitudes toward Capitalism and Dem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43 "Ideology and the Theory of Political Choic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44 "Ideology and Voter Choice in Korea" 40 (40): 61-83, 2006
45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46 "4ㆍ15총선과 한국정치의 갈등구조: 지역주의와 갈등의 대체" 10 (10): 209-235, 2004
47 "2007년 대통령 선거와 지역주의" 51-68, 2007
48 "2007년 대통령 선거와 이념갈등" 69-90, 2007
49 "2002년도 대선 평가1-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이슈와 후보자 전략" 23-46, 2003
50 "2002년도 대선 평가 2 16대 대통령선거와 세대" 71-93, 2003
51 "2002년 대통령선거에서 이념성향이 투표에 미친 영향" 13 (13): 1-17, 2003
52 "1인2표 병립제의 도입과 유권자의 투표행태" 40 (40): 71-90, 2006
53 "1인 2표제 도입의 정치적 효과"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4 "17대 총선의 정치적 의미: 정치지형의 재편문제를 중심으로"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5 "17대 총선과 탄핵 쟁점"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6 "17대 총선과 지역주의"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7 "17대 총선과 세대 정당 지지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8 "16대 대통령 선거 분석 정치변동에서 사회변혁으로"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59 "16대 대선에서 세대, 이념 그리고 가치의 영향력"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6
연방제도 정립과정 비교: 안정된 연방국가 7개국의 다층구조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의 민주화와 외교정책: 위임형 외교정책결정의 등장과 구조
개혁 개방에 관한 비교사회주의 연구: 중국과 러시아의 체제전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7-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9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8 | 0.95 | 1.328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