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장금(大長今)’ 관련 기록의 현대적 수용 ― 문화콘텐츠로의 생성과 전개 양상 분석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0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텔레비전 사극(史劇)으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大長今)>은 원래 조선조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등장하는 궁중 여의(女醫)에 관한 단편적 역사기록을 토대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허구와 역사적 사실 을 결합해 만들어낸 사극 <대장금>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방송 드 라마로만 끝나지 않고, 소설과 뮤지컬, 그리고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 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드라마 촬영 장소는 테마파크로 만들어져 관광 객을 유치하였고, ‘대장금’이란 이름은 각종 상품명으로 쓰이며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해외에도 수출되어 한류(韓流) 드라마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렇듯 <대장금>은 과거의 고 전 자료가 다양한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활용되어 성공할 수 있음을 증 명한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대장금>의 성공 원인을 분석해 보면 현대적인 새로운 여성인물을 창조해내었고, 웰빙을 추구하는 시 대 흐름에 맞는 소재의 선택, 기존 사극과는 스토리 전개로 드라마 시 나리오가 매우 탄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마 방영 전부터 ‘원소스멀티뉴즈(one source multi use)’의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을 제작해낼 준비를 함께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대장 금의 성공은 우리 고전 연구자에게 ‘고전의 현대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번역하기

      2003년 텔레비전 사극(史劇)으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大長今)>은 원래 조선조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등장하는 궁중 여의(女醫)에 관한 단편적 역사기록을 토대로 만들어낸 이야기...

      2003년 텔레비전 사극(史劇)으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大長今)>은 원래 조선조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등장하는 궁중 여의(女醫)에 관한 단편적 역사기록을 토대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허구와 역사적 사실 을 결합해 만들어낸 사극 <대장금>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방송 드 라마로만 끝나지 않고, 소설과 뮤지컬, 그리고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 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드라마 촬영 장소는 테마파크로 만들어져 관광 객을 유치하였고, ‘대장금’이란 이름은 각종 상품명으로 쓰이며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해외에도 수출되어 한류(韓流) 드라마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렇듯 <대장금>은 과거의 고 전 자료가 다양한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활용되어 성공할 수 있음을 증 명한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대장금>의 성공 원인을 분석해 보면 현대적인 새로운 여성인물을 창조해내었고, 웰빙을 추구하는 시 대 흐름에 맞는 소재의 선택, 기존 사극과는 스토리 전개로 드라마 시 나리오가 매우 탄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마 방영 전부터 ‘원소스멀티뉴즈(one source multi use)’의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을 제작해낼 준비를 함께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대장 금의 성공은 우리 고전 연구자에게 ‘고전의 현대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ical drama played on TV in 2003, Daejanggeum is originally based on the short historical record of lady doctor of the palace from the [Jungjong record] of Josun. The drama <Daejanggeum> mixed fiction and historic record well together draw enormous interest and became a novel, musical and animation for children. Also the location of shooting drama became a theme park to attract travelers and the name 'Daejanggeum' was used for products to create great additional value. Most of all, the drama then was exported to overseas and became the representing drama of Korea. Therefore, drama <Daejanggeum> is the representing piece that proved the success of historic data with its application as various modern cultural contents. The analysis of success reason of <Daejanggeum> showed the creation of new modern woman character, fresh selection of the item that suits well in the time of desiring wellbeing, the strong drama scenario with different story development compared to previous historic drama. Also, it used 'one source multi use' method prior to the broadcasting and prepared produc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This success of Daejanggeum means a lot from the point of 'modern acceptance of tradition' to tradition researchers.
      번역하기

      The historical drama played on TV in 2003, Daejanggeum is originally based on the short historical record of lady doctor of the palace from the [Jungjong record] of Josun. The drama <Daejanggeum> mixed fiction and historic record well together d...

      The historical drama played on TV in 2003, Daejanggeum is originally based on the short historical record of lady doctor of the palace from the [Jungjong record] of Josun. The drama <Daejanggeum> mixed fiction and historic record well together draw enormous interest and became a novel, musical and animation for children. Also the location of shooting drama became a theme park to attract travelers and the name 'Daejanggeum' was used for products to create great additional value. Most of all, the drama then was exported to overseas and became the representing drama of Korea. Therefore, drama <Daejanggeum> is the representing piece that proved the success of historic data with its application as various modern cultural contents. The analysis of success reason of <Daejanggeum> showed the creation of new modern woman character, fresh selection of the item that suits well in the time of desiring wellbeing, the strong drama scenario with different story development compared to previous historic drama. Also, it used 'one source multi use' method prior to the broadcasting and prepared produc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This success of Daejanggeum means a lot from the point of 'modern acceptance of tradition' to tradition resear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大長今’ 관련 기록과 문화콘텐츠로의 생성
      • Ⅲ. ‘대장금 콘텐츠’의 다양한 전개 양상
      • Ⅳ. 나오는 말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大長今’ 관련 기록과 문화콘텐츠로의 생성
      • Ⅲ. ‘대장금 콘텐츠’의 다양한 전개 양상
      • Ⅳ. 나오는 말
      • 참고자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독립신문사 (822) : 2005

      2 주창규, "한류의 역사적 성격과 동아시아의 서발터니티에 대한 시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역류(逆流)하는 <대장금>의 사례 분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28): 287-324, 2006

      3 Yang yan, "한류드라마의 중국 수용에 대한 연구 : 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2008

      4 고재열, "한류 불러일으킨 ‘4대 여왕’: 한류의 핵심은 드라마이고, 드라마의 힘은 작가에게서 나온다…" 독립신문사 2005

      5 임해선, "한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Style Guide에 관한 연구 : <대장금>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일본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6

      6 최형규, "한국풍 유혹에 젖어… : “‘메이드 인 코리아’ 상품 붐 패션⋅출판 등 동남아문화 속으로…”" 중앙일보 J&P 32 (32): 2006

      7 김은진, "한국 사극 속 여성성과 담론 분석: 대장금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5 : 2004

      8 진민경,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한류 현상과 대장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2007

      9 조나현, "한국 TV드라마의 해외수출 지속화 방안연구: MBC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9

      10 이범준, "텔레비전 드라마와 ‘꿈’의 재현: <대장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15) : 2006

      1 독립신문사 (822) : 2005

      2 주창규, "한류의 역사적 성격과 동아시아의 서발터니티에 대한 시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역류(逆流)하는 <대장금>의 사례 분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28): 287-324, 2006

      3 Yang yan, "한류드라마의 중국 수용에 대한 연구 : 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2008

      4 고재열, "한류 불러일으킨 ‘4대 여왕’: 한류의 핵심은 드라마이고, 드라마의 힘은 작가에게서 나온다…" 독립신문사 2005

      5 임해선, "한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Style Guide에 관한 연구 : <대장금>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일본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6

      6 최형규, "한국풍 유혹에 젖어… : “‘메이드 인 코리아’ 상품 붐 패션⋅출판 등 동남아문화 속으로…”" 중앙일보 J&P 32 (32): 2006

      7 김은진, "한국 사극 속 여성성과 담론 분석: 대장금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5 : 2004

      8 진민경,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한류 현상과 대장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2007

      9 조나현, "한국 TV드라마의 해외수출 지속화 방안연구: MBC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9

      10 이범준, "텔레비전 드라마와 ‘꿈’의 재현: <대장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15) : 2006

      11 김영덕, "질풍노도 한류에 멈춤은 없는가: 일본⋅중국⋅홍콩⋅타이완의 ‘한류 판세와 미래’"

      12 류기영, "중문판 드라마 <대장금>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9

      13 곽 수 경, "중국에서의 대장금현상의 배경과 시사점" 중국연구소 37 : 197-213, 2006

      14 楊 萍, "중국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대장금> 수용 연구" 충남대 대학원 2006

      15 윤호우, "조선왕조실록재발견" 경향신문사 15 (15): 2006

      16 백인화, "조선시대 신분에 따른 궁중헤어스타일 연구 : 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서경대 미용예술대학원 2007

      17 조윤희, "전문직 여성의 이데올로기 연구: TV 역사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2004

      18 김정아, "일본에서의 드라마 대장금의 성공요인 분석: 대장금의 음식기호와 관광요인을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2010

      19 정재선, "인도네시아 시청자의 드라마 <대장금>수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 영상대학원 2007

      20 최은주, "이란에서의 한류 연구: 대장금 방영을 중심으로" 경희대 경영대학원 2009

      21 이정임, "원소스 멀티유스(One Source Multi Use)를 활용한 한국 창작 뮤지컬 연구 :뮤지컬 <대장금> 을 중심으로" 한세대 대학원 2008

      22 임수진, "영상매체 언어 교육 방법론 연구 : TV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충남대 교육대학원 2009

      23 김준호, "역사드라마의 대중성 확보를 위한 텍스트 외적 조건에 관한 연구: <대장금>을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6

      24 하효숙, "역사, 젠더, 그리고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 <대장금>을 중심으로" 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 : 2004

      25 이수미, "여성중심 역사드라마의 장르적 특성과 젠더 담론: <대장금>, <황진이>, <선덕여왕>을 중심으로" 한양대 대학원 2010

      26 김소현, "시청자들의 방송사 인터넷 게시판 참여현황과 이에 대한 제작진의 수용 형태에 관한 연구: MBC 드라마 「대장금」을 중심으로"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2004

      27 권기경, "방송 프로그램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상호작용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 <대장금>과 <인물현대사〉의 비교분석"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2004

      28 김태연, "드라마<대장금>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 어문연구학회 53 : 299-330, 2007

      29 한소진, "드라마 콘텐츠로서의 설화 연구: 신(新)모계사회와 영웅설화를 기반으로 한 대장금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3) : 2004

      30 이후석,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이미지간 관련성 연구-대장금, 해신, 불멸의 이순신 촬영지 관광객을 사례로-" 한국관광학회 30 (30): 271-293, 2006

      31 유헌식, "드라마 대장금 텍스트에 나타난 사유방법의 특성" 전북역사문화학회 2007

      32 백지운, "동아시아에서 한류 소비에 나타난 ‘아시아 노스탤지어’" 영남중국어문학회 47 (47): 163-187, 2006

      33 강진석, "동북아 한류의 감동 코드: 중국 : 동아시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9 (9): 2005

      34 김영현, "대장금: 오리지널 시나리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35 MBC 프로덕션, "大長今: 궁중요리 제1-4편" 파아란 2004

      36 MBC 프로덕션, "大長今: 궁중요리"

      37 유민주, "大長今1, 3(완결편)" 은행나무 2003

      38 권호종, "中國의 ≪大長今≫熱風 形成背景 硏究" 중국어문학회 (24) : 231-273, 2007

      39 조정래, "〈대장금〉의 서사적 특성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1 (1): 333-358, 2007

      40 정유미, "‘장금이’ 보며 떡볶이 먹는 중국인들 : 한국 음식, 한류 바람 타고 아시아로 ‘쭉쭉’… 요리 학교에 수강생 북적" 독립신문사 2006

      41 양근애, "TV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한국극예술학회 (28) : 309-343, 2008

      42 최민성, "<대장금>, 왜 인기 있는가: 대중서사의 성공 전략" 5 (5): 2004

      43 황지연, "<대장금> 문화단어 번역의 고찰" 통번역연구소 10 (10): 127-142, 2007

      44 김영현, "(만화) 대장금" 은행나무아이들 1-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