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변화에 대한 교육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사된 학생일인당 사교육비 시계열에서 소득증가의 효과를 제거한 시계열의 추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74274
2020
-
3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7-51(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교육비 변화에 대한 교육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사된 학생일인당 사교육비 시계열에서 소득증가의 효과를 제거한 시계열의 추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사교육비 변화에 대한 교육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사된 학생일인당 사교육비 시계열에서 소득증가의 효과를 제거한 시계열의 추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 시계열로 (1) 소득증가율과 사교육비 증가율의 차이, (2) 사교육비 평균소비성향, (3) 피셔 사교육비지수 등의 세 가지를 제안하고, 이들 시계열을 지난 13년간의 통계청 발표 학생일인당 사교육비 시계열과 비교한다. 연구결과는 조사가 시작된 2007년부터 가장 최근인 2020년 발표 2019년 조사까지 13년 동안 통계청발표 학생일인당 사교육비는 계속 증가하여 이 기간 동안 총 44.05%가 증가하였으나 소득효과를 제거한 세 가지 시계열에서는 모두 공통적으로 2009년의 사교육비가 가장 높고,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15 년에 최저가 되었다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다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의 사교육비는2007년보다 평균소비성향에 의해서는 0.25% 감소, 피셔 사교육비지수에 의해서는 2.0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득대비 사교육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 피셔지수에서도 2007년부터 2019년 조사까지 44.05%의 사교육비 증가 중에서 95.28%는 소득증가의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 변화에대한 정책효과의 추출을 위해서는 사교육비 시계열에서 소득변화 효과 외에 가구당 자녀수 변화 효과의 추가제거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imeseries of (a)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change rate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change rate, (b)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c) privat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imeseries of (a)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change rate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change rate, (b)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c)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dices for Laspeyres, Paache, and Fisher.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increased 44.05% from 2007 to 2019. However, all three timeseries showed the highest expenditure in 2009, a decrease until the lowest figures in 2015, then another increase from 2016 to 2019. The expenditure in 2019 as compared to 2007 is 0.25% lower based on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2.08% higher based on the Fisher index. According to the Fisher index, an increase resulting from income-change makes up 95.28% of the total 44.05% increase between 2007 and 2019.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철,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지역별 소비함수 분석" 21 (21): 195-206, 2001
2 박종규, "한일 최저소득층 평균 소비성향 비교 및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8-9, 2007
3 오영수, "한국의 중학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사교육비 지출의 소득탄력성 및 교육수요함수 추정" 6 : 145-184, 1992
4 김혜자, "한국의 교육 양극화와 재생산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경중, "한국의 경제지표" 매일경제신문사 1996
6 김민영, "한국 소비자물가지수의 여러 작성방법과 생계비지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현철, "학교급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양상" 한국교육개발원 47 (47): 63-98, 2020
8 통계청, "통계학개론" 통계청 1988
9 서현덕, "최근 국내 가계 평균소비성향 감소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통상학회 35 (35): 75-105, 2017
10 양정호,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사교육비 추이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421-448, 2013
1 안병철,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지역별 소비함수 분석" 21 (21): 195-206, 2001
2 박종규, "한일 최저소득층 평균 소비성향 비교 및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8-9, 2007
3 오영수, "한국의 중학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사교육비 지출의 소득탄력성 및 교육수요함수 추정" 6 : 145-184, 1992
4 김혜자, "한국의 교육 양극화와 재생산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경중, "한국의 경제지표" 매일경제신문사 1996
6 김민영, "한국 소비자물가지수의 여러 작성방법과 생계비지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현철, "학교급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양상" 한국교육개발원 47 (47): 63-98, 2020
8 통계청, "통계학개론" 통계청 1988
9 서현덕, "최근 국내 가계 평균소비성향 감소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통상학회 35 (35): 75-105, 2017
10 양정호,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사교육비 추이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421-448, 2013
11 김대유, "소비자물가지수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 물가지수 지수산식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12 박기백, "소비 성향 변화의 분해" 한국경제학회 65 (65): 79-102, 2017
13 김현철,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지출격차 추이분석" 한국교육학회 56 (56): 133-153, 2018
14 김현철, "상대적 빈곤층의 사교육비 지출규모와 변화추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155-183, 2019
15 김동욱, "사교육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분석" 사교육정책연구소 2007
16 박효정, "사교육비 추이와 규모 예측" 한국교육개발원 2011
17 김민정, "사교육비 추이와 교육정책의 관계분석" 교육종합연구원 7 (7): 47-72, 2009
18 이은우, "사교육비 지출행위에 대한 경제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2 (22): 1-31, 2004
19 최상근,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20 현대경제연구원, "국내가구의 교육비 지출 구조" 현대경제연구원 2012
21 이영, "교육의 효과, 수요 및 그 영향요인에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31-161, 2004
22 김미란,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1-26, 2009
23 이성림, "가계의 교육비 지출에 관한 시계열 분석" 대한가정학회 40 (40): 101-118, 2002
24 한국은행, "가계소비의 자산효과 분석과 시사점" 23-53, 2007
25 Fisher, I., "The making of index numbers" Houghton Mifflen 1922
26 Eurostat, "European price statistics– An overview" European Communities 2018
포자모형을 적용한 교권보호 정책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 학생인권 정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학습기대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2-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5 | 1.65 | 1.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1 | 1.85 | 2.063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