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敬堂日記』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그 의미 = The Aspects and Meaningof Dreams in the 『Gyeongdang Di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yeongdang, Jang, Heung-Hyo(1564-1633) was the Hermit wh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study by retreating to being out of the government without entering into the governmental post. He was only a person who promoted and practiced Taoism without clinging to the official position. He was also at the heart of the 17th-century Yeongnam Neo Confucianism.
      The “Gyungdang Diary” disappeared, but a total of 2 books still remain. The pursuit of study was the core content in these 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discussions in the diary and the records of numerous dreams. The Aspects of dreams are as follows: First, Meetings and questions with a dear teacher were appearing.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from the masters of those days to a person named Confucius, he was meeting.
      Next, Th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extreme tenets of everyday life were appearing. Questions and answers as well as Neo Confucian related books were discussed by extending its scope into the dream.
      The meaning of Gyeongdang, Jang, Heung-Hyo’s dream is as follows. First, he reflected on the placidity which was not realized on a daily basis through the dream. Jang, Heung-Hyo enjoyed Hansujak with refined taste such as sightseeing, and writing poems, which were not possible in daily life.
      Next, He inherited and practiced the central idea of the Toegye school. The way things are and evidence are seen in the Gyeongdang Diary. He passionately tried to complete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not only in his daily life, but also in his dreams. Jang, Heung-Hyo wanted to become a wise person and a saint through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번역하기

      Gyeongdang, Jang, Heung-Hyo(1564-1633) was the Hermit wh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study by retreating to being out of the government without entering into the governmental post. He was only a person who promoted and practiced Taoism without clingi...

      Gyeongdang, Jang, Heung-Hyo(1564-1633) was the Hermit wh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study by retreating to being out of the government without entering into the governmental post. He was only a person who promoted and practiced Taoism without clinging to the official position. He was also at the heart of the 17th-century Yeongnam Neo Confucianism.
      The “Gyungdang Diary” disappeared, but a total of 2 books still remain. The pursuit of study was the core content in these 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discussions in the diary and the records of numerous dreams. The Aspects of dreams are as follows: First, Meetings and questions with a dear teacher were appearing.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from the masters of those days to a person named Confucius, he was meeting.
      Next, Th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extreme tenets of everyday life were appearing. Questions and answers as well as Neo Confucian related books were discussed by extending its scope into the dream.
      The meaning of Gyeongdang, Jang, Heung-Hyo’s dream is as follows. First, he reflected on the placidity which was not realized on a daily basis through the dream. Jang, Heung-Hyo enjoyed Hansujak with refined taste such as sightseeing, and writing poems, which were not possible in daily life.
      Next, He inherited and practiced the central idea of the Toegye school. The way things are and evidence are seen in the Gyeongdang Diary. He passionately tried to complete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not only in his daily life, but also in his dreams. Jang, Heung-Hyo wanted to become a wise person and a saint through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敬堂 張興孝(1564-1633)는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만을 탐구한 隱求之士이다. 은구지사는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오로지 道學을 증진하고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영남 성리학과 영남학파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기도 한다.
      『경당일기』는 소실되어 총 2권이 남아있고, 내용은 講學이 그 중심을 이룬다. 본 논의는 일기에 나타나고 있는 수많은 꿈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꿈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리운 스승과의 만남과 문답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대의 스승과 공자에 이르기까지 성리학의 宗師와 만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의 지극한 강학의 연장과 재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과 관련된 책과 문답이 꿈까지 연장을 시켜 논의를 하고 있었다.
      경당 장흥효의 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루지 못한 일상의 실현과 꿈을 통해 다시 성찰을 하는 계기를 완성했다. 장흥효는 유람, 詩會 등 일상에서 누리지 못한 풍류의 閒酬酢을 이렇게 누리고 있었다. 다음으로 장흥효는 퇴계학의 중심 사상을 이어받아 실천하고 있었다. 그 상황과 증거가 『경당일기』를 통해 나타나고 있었다. 그는 持敬과 求道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꿈속에서조차 완성하려고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장흥효는 持敬과 求道를 통해 自得하여 賢人과 聖人이 되고자 했다.
      번역하기

      敬堂 張興孝(1564-1633)는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만을 탐구한 隱求之士이다. 은구지사는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오로지 道學을 증진하고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영남 성리학과...

      敬堂 張興孝(1564-1633)는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만을 탐구한 隱求之士이다. 은구지사는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오로지 道學을 증진하고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영남 성리학과 영남학파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기도 한다.
      『경당일기』는 소실되어 총 2권이 남아있고, 내용은 講學이 그 중심을 이룬다. 본 논의는 일기에 나타나고 있는 수많은 꿈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꿈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리운 스승과의 만남과 문답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대의 스승과 공자에 이르기까지 성리학의 宗師와 만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의 지극한 강학의 연장과 재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과 관련된 책과 문답이 꿈까지 연장을 시켜 논의를 하고 있었다.
      경당 장흥효의 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루지 못한 일상의 실현과 꿈을 통해 다시 성찰을 하는 계기를 완성했다. 장흥효는 유람, 詩會 등 일상에서 누리지 못한 풍류의 閒酬酢을 이렇게 누리고 있었다. 다음으로 장흥효는 퇴계학의 중심 사상을 이어받아 실천하고 있었다. 그 상황과 증거가 『경당일기』를 통해 나타나고 있었다. 그는 持敬과 求道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꿈속에서조차 완성하려고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장흥효는 持敬과 求道를 통해 自得하여 賢人과 聖人이 되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고전종합DB"

      2 이황, "퇴계집"

      3 김종구, "퇴계와 高足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국한문교육학회 (48) : 289-328, 2017

      4 "춘추좌전"

      5 "중용"

      6 "주역"

      7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8 "예기"

      9 "시경"

      10 유교넷, "선인의 일상 생활, 일기"

      1 "한국고전종합DB"

      2 이황, "퇴계집"

      3 김종구, "퇴계와 高足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국한문교육학회 (48) : 289-328, 2017

      4 "춘추좌전"

      5 "중용"

      6 "주역"

      7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8 "예기"

      9 "시경"

      10 유교넷, "선인의 일상 생활, 일기"

      11 "맹자"

      12 "논어"

      13 "근사록집해"

      14 장흥효, "경당집"

      15 백태한, "경당 장흥효 연구 : '경사상'과 '시세계'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장윤수,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대한철학회 107 : 329-371, 2008

      17 장윤수, "敬堂及門諸賢錄 연구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性理學界의 동향-" 한국학연구원 (40) : 321-374, 2010

      18 장윤수,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대한철학회 99 : 313-366, 2006

      19 심순옥, "敬堂 張興孝 敬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14

      20 우인수,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한국국학진흥원 (21) : 445-474, 2012

      21 남춘우, "(국역) 경당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