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고전종합DB"
2 이황, "퇴계집"
3 김종구, "퇴계와 高足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국한문교육학회 (48) : 289-328, 2017
4 "춘추좌전"
5 "중용"
6 "주역"
7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8 "예기"
9 "시경"
10 유교넷, "선인의 일상 생활, 일기"
1 "한국고전종합DB"
2 이황, "퇴계집"
3 김종구, "퇴계와 高足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국한문교육학회 (48) : 289-328, 2017
4 "춘추좌전"
5 "중용"
6 "주역"
7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8 "예기"
9 "시경"
10 유교넷, "선인의 일상 생활, 일기"
11 "맹자"
12 "논어"
13 "근사록집해"
14 장흥효, "경당집"
15 백태한, "경당 장흥효 연구 : '경사상'과 '시세계'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장윤수,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대한철학회 107 : 329-371, 2008
17 장윤수, "敬堂及門諸賢錄 연구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性理學界의 동향-" 한국학연구원 (40) : 321-374, 2010
18 장윤수,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대한철학회 99 : 313-366, 2006
19 심순옥, "敬堂 張興孝 敬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14
20 우인수,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한국국학진흥원 (21) : 445-474, 2012
21 남춘우, "(국역) 경당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