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읍면동 정책에 대한 평가 = A Evaluation of The Eup・Myeon・Dong Poli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8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읍면동은 행정계층에서 대주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선행정기관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정과제로 혁신읍면동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역대정부에서도 이와 유사한 읍면동 관련 국정...

      읍면동은 행정계층에서 대주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선행정기관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정과제로 혁신읍면동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역대정부에서도 이와 유사한 읍면동 관련 국정과제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읍면동 정책은 행정의 민주성 제고를 위한 주민자치 활성화와 지방행정 효율성 제고 등을 명분으로 한다. 그러나 읍면동이 기초지방자치단체인 시・군・구의 하위 행정기구라는 점에서 읍면동 정책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중앙정부가 기초지방정부 하위행정기구의 역할과 기능을 중앙정부 정책목적에 따라 활용하려는 것인데, 자치권을 가진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개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방자치 기본이념과 자치권 보장의 취지를 고려할 때 지방자치단체의 읍면동 개편은 정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 이후 주요 읍면동정책의 추진목적을 효율성과 민주성이라는 행정이념 측면에서 비교・평가하였고, 기능개편의 성과로서 1999년 읍면동 기능개편 전후와 현재 읍면동 기능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각각의 읍면동정책 추진에 있어 목적이 정합성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기능개편의 성과와 관련해서는 1999년 이관되었던 읍면동 기능이 대부분 다시 읍면동에서 수행되고 있어 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up・Myeon・Dong are at the lowest tier of administrative hierarchy structure in Korea. The current government is pursuing a national government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the Eup・Myeon・dong, and similar government-rel...

      The Eup・Myeon・Dong are at the lowest tier of administrative hierarchy structure in Korea. The current government is pursuing a national government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the Eup・Myeon・dong, and similar government-related tasks have appeared in the previous government. These policies are justified by the expansion of the residents self-govern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for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this policy may cause problems because Eup・Myeon・Dong are sub-administrative bodies of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the central government tries to reorganize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front-line administrative agenc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but the local governments can adjust them agai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objectives of the Eup・Myeon・ Dong policy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organization. In summary, the results show that the purpose of each promotion is not ensured, and most of the functions of the Eup・Myeon・Dong,
      which was transferred in 1999, are performed ag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평가체계
      • Ⅲ. 읍면동 정책 평가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평가체계
      • Ⅲ. 읍면동 정책 평가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3 김승렬, "행정구역 통합의 효과분석 : 구조조정 및 비용절감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93-124, 2011

      4 정정길, "행정과정책연구를위한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19, 2002

      5 전영평, "한국의 지방자치와 주민참여:대구지역의 참여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53-83, 2003

      6 김순은, "한국의 주민자치센터의 구성과 운영" 4 (4): 9-16, 2012

      7 유재원, "한국 지방자치의 특색과 과제" 1-7, 2005

      8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으로서의 주민자치센터 참여의영향요인과 사회심리적 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45-170, 2007

      9 이선미,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제3섹터연구소 3 (3): 173-205, 2005

      10 오재일, "지방정부의 조직개편에 관한 고찰 –광주, 전남을 중심으로-" 6 : 133-148, 1999

      1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3 김승렬, "행정구역 통합의 효과분석 : 구조조정 및 비용절감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93-124, 2011

      4 정정길, "행정과정책연구를위한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19, 2002

      5 전영평, "한국의 지방자치와 주민참여:대구지역의 참여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53-83, 2003

      6 김순은, "한국의 주민자치센터의 구성과 운영" 4 (4): 9-16, 2012

      7 유재원, "한국 지방자치의 특색과 과제" 1-7, 2005

      8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으로서의 주민자치센터 참여의영향요인과 사회심리적 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45-170, 2007

      9 이선미,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제3섹터연구소 3 (3): 173-205, 2005

      10 오재일, "지방정부의 조직개편에 관한 고찰 –광주, 전남을 중심으로-" 6 : 133-148, 1999

      11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2006

      12 임승빈, "지방자치론" 법문사 2005

      13 배철효, "지방자치단체의 평가: 조직개편을 중심으로" 4 : 29-54, 1998

      14 윤석완, "지방세무조직의 개편과제: 읍면동 기능전환에 따른 지방세정 기능의 재검토" 2002 (2002): 5-13, 2002

      15 김석태, "지방분권 사상과 한국의 지방자치"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24, 2016

      16 김홍환, "중앙-지방간 관계개선을 위한 지방재정제도 개편방안" 2016

      17 김종성,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96-222, 2004

      18 원구환, "주민자치센터 이용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론적 변수추정 - 춘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21-36, 2004

      19 안성수, "주민자치센터 운영실태분석과 바람직한 운영방안" 한국도시행정학회 19 (19): 3-30, 2006

      20 김홍환, "주민자치 실현을 위한 읍・면・동 기능강화방안: 재산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7

      21 류지성, "정책학" 대영문화사 2007

      22 정정길, "정책과 제도의 변화과정과 인과법칙의 동태적 성격- 시차적(時差的) 접근방법 (Time Lag Approach)을 위한 제언 -" 한국정책학회 11 (11): 255-272, 2002

      23 김필두, "읍면동 중심의 주민자치 강화방안" 2008

      24 최근열, "읍면동 주민자치회의 발전방안" 330-351, 2015

      25 조석주, "읍면동 기능전환정책의 평가" 275-306, 2005

      26 임도빈, "시간적 관점에서 조직연구의 필요성" 한국정책학회 12 (12): 375-396, 2003

      27 안성호, "스위스 코뮌자치와 읍・면・동 주민자치 발전방향" 4 (4): 57-65, 2012

      28 한동효, "소규모 동 통폐합의 추진실태와 정책성과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4개 시 동 통폐합 실패 및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343-372, 2014

      29 고경민, "세계화・지방화시대의 지역발전: 지방주도적 발전전략의 시론적 모색" 9 : 115-140, 1998

      30 김찬동,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 서울연구원 2012

      31 장덕희, "도농통합의 효과 분석" 한국정책학회 19 (19): 363-386, 2010

      32 최흥석, "도농통합의 재정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45-172, 2005

      33 Hardin, G., "The tragedy of the commons" 162 (162): 1243-1248, 1968

      34 Huntington, Samuel P., "No easy choice: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Vol. 3)"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35 Goggin, Malcolm L., "Implementation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Third Generation"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90

      36 Oates, W., "Fiscal Federalism"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2

      37 Verba, Sidney., "Democratic Participation" 373 (373): 53-78, 1967

      38 Peterson, P. E., "City Limits" Little & Brown 1981

      39 OECD,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