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펄스 응답 신호를 이용한 인체 채널 분석 = Analysis of Human Body Channel Based on Impulse Response Sig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0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human body channel as an electric signal path using body impulseresponse (BIR). The human body communications (HBC) has recently emerged as an effective signal transmissionmethod to create wireless body area netw...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human body channel as an electric signal path using body impulseresponse (BIR). The human body communications (HBC) has recently emerged as an effective signal transmissionmethod to create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 We provide body channel characteristics based onmeasured BIR in a proper experimental environment for the HBC using capacitive coupling with a customizedchannel sounding device, which can be applied as a guideline for the HBC system design. The frequency responseof the BIR, extracted by a customized signal processing for the measure signals, shows the channel path loss (CPS)between 0 MHz and 100 MHz with an average CPS of approximately 46.8 dB. In addition, the relative noise powerdistributions can provide estimations on the signal to noise ratio at the HBC receiver in terms of capacitor andresistor values in the measured frequency band and the frequency band lower than 3 MHz considering thebaseband signal det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기 신호 경로로서의 인체 채널에 대해 임펄스 응답 신호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최근,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s)은 착용형 또는 임플란트형 센서 디바이스 간...

      본 연구에서는 전기 신호 경로로서의 인체 채널에 대해 임펄스 응답 신호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최근,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s)은 착용형 또는 임플란트형 센서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으로 인체 영역 통신망(wireless bodyarea networks)을 구성하는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인체 통신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지침인 인체 채널 특성 제공을위해, 자체 제작한 채널 응답측정장치를 사용하고 용량성 커플링(capacitive coupling) 특성에 적합한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측정을수행하고 그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측정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과정으로 임펄스 응답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0 MHz에서 100MHz 사이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평균 경로 손실 약 46.8 dB를 제시하고 주파수별 경로 손실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예측을 위한 수신기 필터의 커패시터와 저항값 변화에 따른전체 측정 주파수와 기저 대역 신호의 검출 성능 결정에 영향을 주는 3 MHz 이하 대역에서의 상대적인 잡음 전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amaneh Movassaghi,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Survey"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16 (16): 1658-1686, 2014

      2 S. Sen, "The body is the network : To safeguard sensitive data, turn flesh and tissue into a secure wireless channel" 57 (57): 44-49, 2020

      3 C. Otto, "System architecture of a wireless body area sensor network for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1 : 307-326, 2005

      4 강태욱 ; 오광일 ; 박형일 ; 강성원, "Review of capacitive coupling human body communications based on digital transmission" 한국통신학회 2 (2): 180-187, 2016

      5 Jung-Hwan Hwa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roperties of HBC Channel and Its Impulse Response Model"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5 (65): 177-188, 2016

      6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Part 15.6: Wireless Body Area Networks"

      7 Taewook Kang, "Evaluation of Human Body Characteristics for Electric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Measured Body Impulse Respons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9 (69): 6399-6411, 2020

      8 J. Park, "Channel Modeling of Miniaturized Battery-Powered Capacitiv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4 (64): 452-462, 2017

      9 S. Maity, "BioPhysical modeling,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electroquasistatic human body communication" 66 (66): 1791-1802, 2019

      10 Maria Amparo Callejon, "A Comprehensive Study Into Intrabody Communication Measurement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2 (62): 2446-2455, 2013

      1 Samaneh Movassaghi,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Survey"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16 (16): 1658-1686, 2014

      2 S. Sen, "The body is the network : To safeguard sensitive data, turn flesh and tissue into a secure wireless channel" 57 (57): 44-49, 2020

      3 C. Otto, "System architecture of a wireless body area sensor network for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1 : 307-326, 2005

      4 강태욱 ; 오광일 ; 박형일 ; 강성원, "Review of capacitive coupling human body communications based on digital transmission" 한국통신학회 2 (2): 180-187, 2016

      5 Jung-Hwan Hwa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roperties of HBC Channel and Its Impulse Response Model"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5 (65): 177-188, 2016

      6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Part 15.6: Wireless Body Area Networks"

      7 Taewook Kang, "Evaluation of Human Body Characteristics for Electric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Measured Body Impulse Respons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9 (69): 6399-6411, 2020

      8 J. Park, "Channel Modeling of Miniaturized Battery-Powered Capacitiv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4 (64): 452-462, 2017

      9 S. Maity, "BioPhysical modeling,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electroquasistatic human body communication" 66 (66): 1791-1802, 2019

      10 Maria Amparo Callejon, "A Comprehensive Study Into Intrabody Communication Measurement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62 (62): 2446-245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KEEE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 한국전기전자학회 -> 한국전기전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262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