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로벌 평생교육을 위한 한국어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 탐색 = Exploring Structural Factors of Korean Multi-modal Content for Global Lifelo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2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genre-based teaching methods that ar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and looks at factors related to authorship of written public genre. The purpose was to link the structural factors of this new genre to the written genre schema guarante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The structural factor was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video production to develop content that would help global citizens learn Korean in an easier and fun way. Of course, since this Korean grammar teaching content was aimed at beginner, it could not cover task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such a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ut it reflected the structuring factors of multi-modal content such as narrative consistency, interest, and repet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will contribute to the structural stabilization of the multimodal genre which is newly expanding the territory. Multimodal genres with les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re well suited to meet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of the global learner popul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help modern people access the digital lifestyl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media edu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reviews genre-based teaching methods that ar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and looks at factors related to authorship of written public genre. The purpose was to link the structural factors of this new genre to the writt...

      This paper reviews genre-based teaching methods that ar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and looks at factors related to authorship of written public genre. The purpose was to link the structural factors of this new genre to the written genre schema guarante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The structural factor was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video production to develop content that would help global citizens learn Korean in an easier and fun way. Of course, since this Korean grammar teaching content was aimed at beginner, it could not cover task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such a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ut it reflected the structuring factors of multi-modal content such as narrative consistency, interest, and repet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will contribute to the structural stabilization of the multimodal genre which is newly expanding the territory. Multimodal genres with les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re well suited to meet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of the global learner popul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help modern people access the digital lifestyl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media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입각한 장르 기반 교수법을 검토하여 공적 문 어 장르의 저자성 요인을 확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장르, 특히 교육용 영 상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타당하게 수립하고자 하였다. 학술적 담화 공동체에서 공 인된 문어 장르 스키마를 기반으로 새로운 장르의 구조화 요인을 연계시키기 위함이 었다. 그리고 이 구조화 요인을 영상 제작에 적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수월하고 재미있게 할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물론 한국어 초급용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므로 비판 적 담화 분석 등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과제를 포괄할 수 없었지만 서사의 일 관성과 흥미성, 반복 등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자 리터러시 연구가 새로이 영토를 확장 중인 멀티모달 장르의 구조적 안정화에 기여되길 바란다. 멀티모달 한국어교육 콘텐츠는 현대인의 디지털 생활양식 접근성을 높이고 언어 교육을 매개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소통할 계기 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입각한 장르 기반 교수법을 검토하여 공적 문 어 장르의 저자성 요인을 확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장르, 특히 교육용 영 상 콘텐츠의 구조화 요...

      본고에서는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입각한 장르 기반 교수법을 검토하여 공적 문 어 장르의 저자성 요인을 확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장르, 특히 교육용 영 상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타당하게 수립하고자 하였다. 학술적 담화 공동체에서 공 인된 문어 장르 스키마를 기반으로 새로운 장르의 구조화 요인을 연계시키기 위함이 었다. 그리고 이 구조화 요인을 영상 제작에 적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수월하고 재미있게 할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물론 한국어 초급용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므로 비판 적 담화 분석 등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과제를 포괄할 수 없었지만 서사의 일 관성과 흥미성, 반복 등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자 리터러시 연구가 새로이 영토를 확장 중인 멀티모달 장르의 구조적 안정화에 기여되길 바란다. 멀티모달 한국어교육 콘텐츠는 현대인의 디지털 생활양식 접근성을 높이고 언어 교육을 매개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소통할 계기 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숙, "학부생의 디지털 저자성 측정 문항 개발" 한국작문학회 (23) : 1-33, 2014

      2 페터 크냅, "장르, 텍스트, 문법 :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3 김성숙, "복합양식적 의사 표현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293-300, 2017

      4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5 나이즐 스피비, "구성주의와 읽기 쓰기" 박이정 2004

      6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 2005

      7 양영희, "「2011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법’ 영역의 텍스트 구현 방식 고찰: <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7 (57): 5-30, 2014

      8 Leki, I., "Writing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Muitilingual Matters 2008

      9 Miller, Carolyn R., "Genre and the new rhetoric" Taylor & Francis 57-67, 1994

      10 Giddens, A., "Advances in social theory and methodology: toward an integration of micro-and macro-sociologies" Routledge and Kegan Paul 161-174, 1981

      1 김성숙, "학부생의 디지털 저자성 측정 문항 개발" 한국작문학회 (23) : 1-33, 2014

      2 페터 크냅, "장르, 텍스트, 문법 :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3 김성숙, "복합양식적 의사 표현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293-300, 2017

      4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5 나이즐 스피비, "구성주의와 읽기 쓰기" 박이정 2004

      6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 2005

      7 양영희, "「2011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법’ 영역의 텍스트 구현 방식 고찰: <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7 (57): 5-30, 2014

      8 Leki, I., "Writing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Muitilingual Matters 2008

      9 Miller, Carolyn R., "Genre and the new rhetoric" Taylor & Francis 57-67, 1994

      10 Giddens, A., "Advances in social theory and methodology: toward an integration of micro-and macro-sociologies" Routledge and Kegan Paul 161-174,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