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숙, "학부생의 디지털 저자성 측정 문항 개발" 한국작문학회 (23) : 1-33, 2014
2 페터 크냅, "장르, 텍스트, 문법 :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3 김성숙, "복합양식적 의사 표현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293-300, 2017
4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5 나이즐 스피비, "구성주의와 읽기 쓰기" 박이정 2004
6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 2005
7 양영희, "「2011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법’ 영역의 텍스트 구현 방식 고찰: <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7 (57): 5-30, 2014
8 Leki, I., "Writing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Muitilingual Matters 2008
9 Miller, Carolyn R., "Genre and the new rhetoric" Taylor & Francis 57-67, 1994
10 Giddens, A., "Advances in social theory and methodology: toward an integration of micro-and macro-sociologies" Routledge and Kegan Paul 161-174, 1981
1 김성숙, "학부생의 디지털 저자성 측정 문항 개발" 한국작문학회 (23) : 1-33, 2014
2 페터 크냅, "장르, 텍스트, 문법 :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3 김성숙, "복합양식적 의사 표현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293-300, 2017
4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5 나이즐 스피비, "구성주의와 읽기 쓰기" 박이정 2004
6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 2005
7 양영희, "「2011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법’ 영역의 텍스트 구현 방식 고찰: <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7 (57): 5-30, 2014
8 Leki, I., "Writing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Muitilingual Matters 2008
9 Miller, Carolyn R., "Genre and the new rhetoric" Taylor & Francis 57-67, 1994
10 Giddens, A., "Advances in social theory and methodology: toward an integration of micro-and macro-sociologies" Routledge and Kegan Paul 161-174,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