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병대는 군 복무와 전투의 가혹한 현실을 회복시키는 힘을 영성(Spirituality)으로 정의하였고, 영성(Spirituality)은 리더십은 장병들의 정신 무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요소로써 상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13441
2019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67(35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 해병대는 군 복무와 전투의 가혹한 현실을 회복시키는 힘을 영성(Spirituality)으로 정의하였고, 영성(Spirituality)은 리더십은 장병들의 정신 무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요소로써 상호 연...
미 해병대는 군 복무와 전투의 가혹한 현실을 회복시키는 힘을 영성(Spirituality)으로 정의하였고, 영성(Spirituality)은 리더십은 장병들의 정신 무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요소로써 상호 연계시켰을 때 군 조직에서 시너지(synergy)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Fry(2003)가 영성과 리더십을 연계하여 제시한 리더십인 Spiritual Leadership(정신적 리더십)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조직에서 효과성이 입증된 정신적(Spiritual) 리더십이 군 조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이론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군 조직의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Spiritual) 리더십이 부하들의 사기와 관련된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군 조직의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Spiritual) 리더십과 부하들의 사기와 관련된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군 특전사와 해병대 장병 8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분석한 결과,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은 부하의 직무열의와 소명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하의 소명의식 또한 직무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과 부하의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도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군 조직 대상으로 정신적 리더십 연구를 진행하였고,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긍정심리학과 정신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연계시켰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군 조직에서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 리더십은 부하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군 조직의 리더들이 적용할 수 있는 리더십 이론으로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 Marine Corps defines ‘spirituality’ as the force that restores the harsh realities of military service and combat, and the spiritual leadership can be expected to have synergy effects in military organizations when interconnected as a key...
The U.S. Marine Corps defines ‘spirituality’ as the force that restores the harsh realities of military service and combat, and the spiritual leadership can be expected to have synergy effects in military organizations when interconnected as a key factor that can influence the soldiers" mental.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spiritual leadership theory presented by Fry (2003) linking spirituality to leadership.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 whether the spiritual leadership in civilian organizations is applicable to military organizations. Second, we examine how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leaders of military organizations affects job engagement associated with morale. Third, we examine the influence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leader of military organization and job engagement associated with morale of subordinat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 "s spiritual leadership on the job engagement of the subordinat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in this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from 826 Army special forces and Marines, and analyzed i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the leader"s spiritu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and calling. And the cal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wa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conducted a spiritual leadership research on military organizations.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linked positive psychology with effectiveness of spiritual leadership.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leadership theory that the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a leader in a military organization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his subordinat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서현, "호텔 직원의 자기주도학습, 직업소명의식, 직무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225-250, 2015
2 이삼주, "현대적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육군 지휘관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7
3 권선영,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93-420, 2014
4 김인수, "육군항공부대 지휘관의 리더십이 부대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259-285, 2010
5 오상택, "육군 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투상황과 평시상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6 장석원, "영성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행동 및 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구성원의 자발적 반응에 의한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2019
7 이지은, "영성 리더십이 소명의식을 통해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항공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2 (22): 899-916, 2018
8 이정아,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리더십학회 6 (6): 5-40, 2014
9 김하나, "영성 리더십(Spiritual leadership)이 구성원의 소명의식을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1-31, 2012
10 윤소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61-86, 2013
1 황서현, "호텔 직원의 자기주도학습, 직업소명의식, 직무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225-250, 2015
2 이삼주, "현대적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육군 지휘관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7
3 권선영,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93-420, 2014
4 김인수, "육군항공부대 지휘관의 리더십이 부대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259-285, 2010
5 오상택, "육군 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투상황과 평시상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6 장석원, "영성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행동 및 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구성원의 자발적 반응에 의한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2019
7 이지은, "영성 리더십이 소명의식을 통해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항공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2 (22): 899-916, 2018
8 이정아,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리더십학회 6 (6): 5-40, 2014
9 김하나, "영성 리더십(Spiritual leadership)이 구성원의 소명의식을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1-31, 2012
10 윤소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61-86, 2013
11 송용욱, "서번트 리더십이 공무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조선대학교 2019
12 진두찬, "상담자의 직무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177-192, 2015
13 이강국, "부하들의 능동적 참여가 지휘관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47-458, 2015
14 송형지,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의 매개효과와 친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5
15 김도일, "기독교 영성교육" 도서출판 동연 2009
16 오창택, "개인-조직부합은 자기효능감과 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를 제고시키는가?" 한국행정학회 47 (47): 121-143, 2013
17 유규창, "Workplace spirituality" 2009
18 Pinder, C, "Work motivation in organizational behavior" The Psychology Press 2008
19 Bakker, A. B., "Work engagement : An emerging concept i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2 (22): 2008
20 Fry, L. W., "Toward a theory of Spiritual leadership" 14 (14): 2003
21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 2002
22 Chen, C. Y., "The impact of Spiritu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A multi-sample analysis" 105 (105): 2012
23 Seyed A. H.,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16 : 2017
24 Wrzesniewski, A.,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2011
25 고현종, "Spiritual 리더십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41 (41): 63-89, 2019
26 Fry, L. W., "Spiritual leadership as a model for performance excellence : a study of Baldrige award recipients" 14 (14): 2017
27 Fry, L. W., "Spiritual leadership and army transformation : Theory, measurement, and establishing a baseline" 16 (16): 2005
28 윌리암 다니엘 훈세커, "Spiritual Leadership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 Establishing a Baseline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241-264, 2014
29 Jeon, K. S., "Spiritual Leadership : A Validation Study in a Korean Context" 10 (10): 2013
30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2005
31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Vol. 198)"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2 Duffy, R. D., "Perceiving a calling, l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 testing a moderated, multiple mediator model" 59 (59): 2012
33 Baumeister, R. F., "Meanings of Life" Guilford 1991
34 "MCWP 6-11, Leadeing Marines"
35 권인수, "Job-Calling,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 The Joint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4 (24): 1-19, 2017
36 Fry L. W, "Introduction to the Leadership Quarterly Special Issue : Toward a Paradigm of Spiritual Leadership" 16 : 2005
37 Fry, L. W., "In integrating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Macmillan India Ltd 2007
38 Fry, L. W., "Impact of Spiritual leadership on unit performance" 16 : 2011
39 Dik, B.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and brief calling scale(BCS)" 20 (20): 2012
40 Fry, L. W.,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Spiritual leadership" 64 (64): 2012
41 Elangovan, A. R.,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76 (76): 2010
42 Dik, B. J.,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37 : 2009
43 Chen, C. Y., "Assessing the Spiritual Leadership Effectiveness : The Contribution of Follower's Self-concept and Preliminary Tests for Moderation of Culture and Managerial Position" 24 : 2013
44 Mitroff, I. I., "A study of Spirituality in the workplace" 40 (40): 1999
독일연방군 ‘내적지휘’ 철학의 한국적 적용 - 한국군의 ‘내적가치’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軍 소장 민족기록화 보존처리 및 복원을 통한 장병 정신전력 강화 방안 연구
전투상황하 소부대(小部隊) 리더의 리더십 향상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