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학생의 적성, 능력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즐거운 수업이라 느끼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818770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740.72375.474 판사항(4)
광주
viii, 7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6-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학생의 적성, 능력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즐거운 수업이라 느끼고 ...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학생의 적성, 능력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즐거운 수업이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데, 이는 학생들의 흥미, 적성, 재능 등이 반영되고 개개인에게 적합한 학습 양식(learning style)에 따라 수업을 할 때 가능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영어교육의 관점에서 다중지능 이론에 따른 센터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초등학교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중지능 이론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다중지능 이론을 응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 네 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두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다른 두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집단에게는 제7차 교육과정의 영어교과서에 따른 수업을, 실험 집단에게는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 전, 후에 흥미도 및 태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에는 실험 수업 전, 후에 다중지능(MI) 측정 검사지를 이용하여 각 아동의 7가지 지능 영역별 점수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동기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수업 후에 실시한 다중지능 측정에서 실험 집단의 각 지능 영역의 점수도 실험 수업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센터학습 활동은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특성에 적합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동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둘째,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어 수업은 학습자 각자가 지닌 능력을 활용하여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개개인의 특성화된 지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 영어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실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tipul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lementary English lesson. When a lesson is tailored to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t coul...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tipul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lementary English lesson. When a lesson is tailored to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t could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 (MI) theory-based English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MI lessons. The MI theory was used in analyzing the current elementary English textbook for 5th graders and in developing appropriate classroom activities.
As subjects, four classes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Two of them (the comparison group) were taught by the current elementary English textbook for 5th graders, and the other two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MI-based English lessons during the period of 12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based English lessons on the affective areas,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attitude factors of the subjects were given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test for MI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less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I-based English less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interest in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individual intelligence growth at the end of the MI lessons.
This study suggested firstly that the center activities used in the MI lessons can help improve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by tailoring a lesson to each student's learning style. Secondly, MI-based English lessons c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intellectual capacity by encouraging them to make use of their abilities. Therefor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based English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focus the teaching on learn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