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주관성 = Subjectivity of Job Values among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09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33개의 Q표본 (Q smple)을 이용하여 G지역 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0이상으로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만족추구·보람형”, 제 2유형은 “보수추구·안주형”, 제 3유형은 “안정추구·가장형”, 제 4유형은 “현실적·개인주의형”으로 명명되었다. 이 결과는 예비간호사인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별 향후 진로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특성을 고려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적용한다면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돕고 간호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33개의 Q표본 (Q smple)을 이용하여 G지역 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33개의 Q표본 (Q smple)을 이용하여 G지역 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0이상으로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만족추구·보람형”, 제 2유형은 “보수추구·안주형”, 제 3유형은 “안정추구·가장형”, 제 4유형은 “현실적·개인주의형”으로 명명되었다. 이 결과는 예비간호사인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별 향후 진로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특성을 고려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적용한다면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돕고 간호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pplying a Q methodology for the purpose of human subjectivity, it analyzed the types of the job values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orty nursing students was classified for the 33 selected Q statements into 9 points standar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C-QUANL progra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4 types of job values, and were named by researcher. The first type was `satisfying, finding something worthwhile`. The second type was `remaining without challenge, finding rewards`. The third type was `role of head of household, finding comfort zone minimum change`. The fourth type was `being realistic self-centered, finding a negotiable point in any circumsta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jective structure of nursing student`s of job values.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as a basic resources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who will choose a job by using different sense of value of their job. Also it can be helpful to suggest a different direction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Therefore, these result can help to promot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to increase satisfaction of nurses starting a new job in future.
      번역하기

      In this study, applying a Q methodology for the purpose of human subjectivity, it analyzed the types of the job values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orty nursing students was classified for the 33 selected Q statements into 9 poi...

      In this study, applying a Q methodology for the purpose of human subjectivity, it analyzed the types of the job values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orty nursing students was classified for the 33 selected Q statements into 9 points standar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C-QUANL progra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4 types of job values, and were named by researcher. The first type was `satisfying, finding something worthwhile`. The second type was `remaining without challenge, finding rewards`. The third type was `role of head of household, finding comfort zone minimum change`. The fourth type was `being realistic self-centered, finding a negotiable point in any circumsta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jective structure of nursing student`s of job values.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as a basic resources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who will choose a job by using different sense of value of their job. Also it can be helpful to suggest a different direction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Therefore, these result can help to promot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to increase satisfaction of nurses starting a new job in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숙,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1998

      2 엄나연,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3 주석진, "청소년의 직업가치가 진로성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 모형을 적용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4 박보경, "직업성격 유형과 적성및 직업가치관의 관계" 23 (23): 59-83, 2002

      5 양한주,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 정경아,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가치관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함연숙,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요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8 안강현,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17 (17): 1-18, 1998

      9 박송자, "임상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태도 : Q 방법론 적용" 23 (23): 544-554, 1993

      10 서윤진, "의료기관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인식 : Q-방법론적 접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5

      1 김병숙,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1998

      2 엄나연,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3 주석진, "청소년의 직업가치가 진로성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 모형을 적용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4 박보경, "직업성격 유형과 적성및 직업가치관의 관계" 23 (23): 59-83, 2002

      5 양한주,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 정경아,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가치관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함연숙,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요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8 안강현,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17 (17): 1-18, 1998

      9 박송자, "임상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태도 : Q 방법론 적용" 23 (23): 544-554, 1993

      10 서윤진, "의료기관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인식 : Q-방법론적 접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5

      11 김경선, "노인케어에 대한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357-376, 2006

      12 두현정, "남자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주관적 구조"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167-175, 2008

      13 황미아,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4 박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 군건강정책연구소 29 (29): 111-123, 2011

      15 고영지,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62-71, 2011

      16 권영미,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3 (13): 285-292, 2007

      17 문영숙,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72-79, 2011

      18 윤현경,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658-667, 2013

      19 성지아,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콘텐츠학회 14 (14): 798-809, 2014

      20 김현용,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전공만족 도와 직업 가치관 비교 연구" 3 (3): 41-51, 2015

      21 박현정,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17-426, 2014

      22 조보라,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718-1727, 2013

      23 김윤숙, "간호대학 4학년의 직업가치관" 9 : 159-175, 2004

      24 McGlynn, K., "Registered nurse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practice model" 20 (20): 260-265, 2012

      25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8

      26 Nesje, K, "Nursing students’ prosocial motivation: does it predict professional commitment and involvement in the job?." 71 (71): 115-125, 2015

      27 Tyler, S.,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Perceptions of the Staff Nurse" 28 (28): 32-3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0.95 1.3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